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C-reactive protein accelerates DRP1-mediated mitochondrial fission by modulating ERK1/2-YAP signaling in cardiomyocytes

        ( Suyeon Jin ),( Chan Joo Lee ),( Gibbeum Lim ),( Sungha Park ),( Sang-hak Lee ),( Ji Hyung Chung ),( Jaewon Oh ),( Seok-min Kang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3 BMB Reports Vol.56 No.12

        C-reactive protein (CRP) is an inflammatory marker and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owever, the mechanism through which CRP induces myocardial damage remains unclea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CRP damages cardiomyocytes via the change of mitochondrial dynamics and whether survivin, an anti-apoptotic protein, exerts a cardioprotective effect in this process. We treated H9c2 cardiomyocytes with CRP and found increase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and shortened mitochondrial length. CRP treatment phosphorylated ERK1/2 and promoted increased expression, phosphorylation, and translocation of DRP1, a mitochondrial fission-related protein, from the cytoplasm to the mitochondria. The expression of mitophagy proteins PINK1 and PARK2 was also increased by CRP. YAP, a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PINK1 and PARK2, was also increased by CRP. Knockdown of YAP prevented CRP-induced increases in DRP1, PINK1, and PARK2. Furthermore, CRP-induce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DRP1 and increases in YAP, PINK1, and PARK2 were inhibited by ERK1/2 inhibition, suggesting that ERK1/2 signaling is involved in CRP-induced mitochondrial fission. We treated H9c2 cardiomyocytes with a recombinant TAT-survivin protein before CRP treatment, which reduced CRP-induced ROS accumulation and reduced mitochondrial fission. CRP-induced activation of ERK1/2 and increases in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YAP and its downstream mitochondrial proteins were inhibited by TAT-survivin. This study shows that mitochondrial fission occurs during CRPinduced cardiomyocyte damage and that the ERK1/2-YAP axis is involved in this process, and identifies that survivin alters these mechanisms to prevent CRP-induced mitochondrial damage. [BMB Reports 2023; 56(12): 663-668]

      • KCI등재

        향기요법이 통증을 주소증으로 입원한 환자의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박수곤 ( Soo Gon Park ),양미성 ( Mi Sung Yang ),김오영 ( Oh Young Kim ),조희근 ( Hee Guen Jo ),최진봉 ( Jin Bong Choi ),김선종 ( Sun Jong Kim ),설재욱 ( Jae Uk Sul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0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ma therapy on sleep disorder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Methods :The 44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xperimental group(Exp. group) was treated with aroma therapy and control group was treated except aroma therapy.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roma therapy, the Korean sleep scale A(Jin-Joo Oh, Mi-Soon Song, Sin-Mi Kim. 1998)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appli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5 days treatment. Results :1.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rov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leep disorder score a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2. The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score of Exp.group has difference according to impression. 3. The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has an effect on pain decrease. Conclusions :Aroma therapy has effects of improvement on sleep disorder with musculoskeletal pain.

      • 경주지역 여고생의 초경과 체성장간의 관계

        김준섭,권오구,박진석,오종수,박정현,박제식,안세한,이용환,서정호,신태섭,최영배,김덕수,이관,박수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본 연구는 경주지역 1개 고등학교 3학년 여고생을 대상으로 초경 시작 전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 수치와 초경 연령을 파악하여 여성의 초경이 빠를수록 체성장 속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초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 1개 여자고등학교 3학년생 총 317명에 대해 ㅊ경 나이, 초경시 심리 상태, 초경이 시작되었을 때의 상담 여부와 상담하였던 사람, 부모 신장과 초경전후의 식사 규칙성, 다이어트 경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음주/흡연 여부, 질병력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에 대한 정보는 건강기록부에서 확보하였다. 상기 대상자 중 건강기록부가 분실된 39명, 초경나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던 29명 및 결석 등으로 조사를 하지 못하였던 42명을 제외한 조사 대상자는 206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초경연령 평균값(Mean±SD)은 13.0±1.11이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초경 이후 신장 성장률은 감소하였으며,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 때는 신장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나 고등학교에 오면서 신장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초경후 1-2년 사이에 체중과 흉위의 증가율은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체중과 흉위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흔히 이차 성징의 시작 시점 혹은 사춘기의 시작 시점으로 보고있는 초경 연령이 청소년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특히 체중과 흉위의 성장 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onset of menarche in relation to changes in physical growth that take place during female adolescence, especially the changes in height and weight velocity. The 207 senior in one women high school of Kyongju were investigated in April 3 to 8, 2001.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ion in the age at menarche, height & weight of parents, regularity of eating, and obesity diet, duration of sleeping, sickness & stress near age at menarche, by self-recording. The status of height, weight &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junior of high school was collected by individual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95±1.11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age of menarche is 13 years. After menarche, the velocity of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time passed, they dont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get an advantage in the weight and the girth of chest after elementary school. The height of subjec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rting age at menestuation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양자우물 구조에서의 confined states 계산

        박진호,조화석,오영기 嶺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0 基礎科學硏究 Vol.10 No.-

        We calculate the confined states in the quantum well of GaAs/AlAs semiconductor superlattice with the modified Kronig-Penney model. In this, the barrier height is taken to the valence band offset, 0.47 eV from the GaAs/AlAs local density of states(LDOS) near the interface using the tight binding approximation and recursion method. The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recent experimemts.

      •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hioctic acid의 유효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철영,김영설,오승준,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1

        연구배경: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서 임상 증상은 가볍거나 없을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이나 무감각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이나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었다. 최근에 신경세포내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로 신경세포의 손상이 발생된다는 기전이 주목을 받으면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 항산화제인 thiotic acid를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관찰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의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thiotic acid를 경구 투여 후에 신경병증에 의한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모든 대상 환자에게 Thioctic acid 600㎎ 을 1일 1회 아침 식전 30분에 8주간 투여하여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SS의 개선여부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 및 이상반응, 내약성, 실험실적 지표의 변화를 통한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치료시작 전에 관찰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무감각, 작열감, 이상감각 순의 빈도를 보였다.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무감각증의 평균 TSS는 1차 방문시 5.8± 1.8, 2차방문시는 4.4±1.7, 3차 방문시는 3.1±1.1로 사용기판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또한 TSS의 개선 뿐만 아니라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및 무감각증 각각의 증상도 치료전과 치료 4주 후 및 치료 8주 후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TSS가 1차 방문 시와 비교했을 때 3차 방문시에 30% 이상 개선되었을 때(1차 방문시에 TSS 4인 환자는 2점 이상 개선되었을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반응으로 간주하고 계산한 반응률은 71.3%였다. 결론: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중 환자에 대해 항 산화제인 thioctic acid 600㎎ 경구 투여요법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완화에 유용하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treatment with the antioxidant α-lipoic acid (Thioctcid??) in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Methods: Thioctacid?? 600㎎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8 weeks in 61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Neuropathic symptom(pain, burning, paresthesia, and numbness) were scored before, and of 4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addition, neuropathy by the physician and patients at the end of treatment.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response role after 8 weeks treatment, defined as an improvement in the total symptom score of at least more than 30%. Results: Efficacy was evaluated among forty-four patients who had completely the study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safety was evaluated among all of 61 patients who had taken the study medication. The response rate after 8 weeks was 77.3%. The total symptom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of 8-week. All the individual scores for neuropathic symptom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at 8-week. Conclusion: These finding indicate that oral treatment with thioctacid?? at a dose of 600㎎/day for 8 weeks will improve peripheral poly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causing any serious adverse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