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

        이문숙,양창국,한홍무,김재우,Lee, Moon-Sook,Yang, Chang-Kook,Hah, Hong-Moo,Kim, Jae-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3 정신신체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에서 다양한 정신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상의 동반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파킨슨병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의 초점이 질병의 진행 억제나 증상의 완화에 있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에 대한 관심과 치료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원치료 중인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관련 임상요인들과 우울증상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일 대학교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에서 특발성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환자들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자료, 파킨슨병 관련 자료[발병연령, 치료약물 용량, 임상양상, Hoehn과 Yahr의 단계(Hoehn and Yahr stage, H&Y stage), 일상생활 평가척도(Modified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설문지(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DQL),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 간이정신 검사 등을 조사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이용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60.4\pm7.1$세(범위:34-73세)였고, 남성이 56명(47.5%), 여성이 62명(52.5%)이었다. 대상군은 BDI 점수에 따라 비우울군 39명(33.1%), 경도 우울군 15명(12.7%), 중등도 우울군 16명(13.6%), 중증 우울군 48명(40.7%)으로 분류되었다.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상은 H & Y stage(r=0.34, p<0.001) 및 파킨슨병 증상의 정도(r=0.35, p<0.001), 스필버그 특성 불안 척도(TAI)(r=0.33, p<0.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육정도(r=-0.34, p<0.001), ADL(r=-0.37, p<0.001), PDQL(r=-0.69, p<0.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 중 우울증을 예측하는데 가장 의미있는 척도는 PDQL(p<0.005)이었다. 결 론: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한 평가에 의하면 본 연구 대상 환자 118명 중 79명(67%)이 주관적인 우울증상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 증상이 심할수록, 그리고 H & Y stage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또한 BDI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에 제한이 많으며,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증상에 대한 치료 이외 우울증상에 대한 정신의학적 관심과 치료가 중요함을 뒷받침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3) the correlation of depressive symptoms with clinical variables, and 4) factors that contribute to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One hundred eightee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referred from the Parkinson's Disease Clinic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ackage, which included basic demographic data,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and the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 addition, a structured interview and a complete neur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the Hoehn and Yahr stage, the motor part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some selected scales of UPDRS part III), the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DL), an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performed. Results: 1) Based on BDI sco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severely(40.7%), moderately(13.6%) and mildly(12.7%) depressive and non-depressive(33.1%).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in Parkinson's dise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ehn and Yahr(H & Y) stage(r=0.34, p<0.0001), the severity of motor symptom(r=0.35, p<0.0001), and trait anxiety inventory(r=0.33, p<0.001). On the other h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al level(r=-0.34, p<0.001), ADL(r=-0.37, p<0.0001) and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PDQL)(r=-0.69, p<0.0001). Among several clinical variables, the PDQL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predicting whether the depressive symptom was present or no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pressive symptom is very prevalent amo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ata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medical staffs who take car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should pay attention to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ve symptom among their patients. With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patient's depressive symptom can be minimized or alleviated and thus, the quality of life in these patients is likely enhanced.

      • KCI등재

        3차원 운동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보행분석에 있어서 검사간의 재현도

        이문숙,위향민,Lee, Moon-Sook,Wui, Hyang-Mi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5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intrates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3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3DMAS) by tester on normal subject. Twenty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9 and 29(x=22) were evaluated with 3DMAS using a test-retest reliability procedure after a familiarization session. Computerized 3DMAS was done with 4 50 - Hz CCD cameras connected to the ELITE system(B. T. S., Italy) and kinetic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MTI force platform(AMTI., U. S. A). Data were analyzed by the Eliclinic software to obtain gait parameters, joint angles and joint internal moment and power. Test-retest reveale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rom .80 to .99. A series of paired t-tes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st and retest values.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ester with 3DMAS could obtain reliable measurements with 3DMAS for determining kinetic, kinematic and gait parameters in normal subjects.

      • KCI등재

        사람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의 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이문숙,한효심,정재성,Lee Moon Sook,Han Hyo Shim,Jung Jae Sung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1

        사람의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분리 동정한 후 이 세균들의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와 건강인의 모발에서 39개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19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S. aureus가 14주, S. waneri가 5주, S. pasteuri가 1주 순으로 나타났다. Amikacin, ampicillin, bacitracin, carbenicilline, cefazolin , cefoperazone ,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methicillin, nalidixic acid, neomycin, oxacillin, penicillin, streptomycin, tetracycline,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들은 모두 입원환자의 모발로부터 분리된 것들이었다. 사람의 모발에 부착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모발 세정제와 계면활성제인 SDS를 처리하였으나 제거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의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들이 병원 등에서 교차 감염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모발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 소독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bacterial strains adhered to human scalp hair and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them. A total of 39 isolat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and healthy persons. The most common species isolated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19 isolates), followed by S. aureus (14 isolates), S. waneri (5 isolates), and S. pasteuri (1 isolate). The susceptibility of isolates to amikacin, ampicillin, bacitracin, carbenicillin, cefazolin, cefoperazone,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methicillin, nalidixic acid, neomycin, oxacillin, penicillin,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vancomycin was determined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All of the antibiotic resistant isolates were obtained from patient scalp hair. To examine the effect of conventional shampoo and detergent SDS on removing of bacteria from hair, we treated hair with culture solution of S. aureus. The bacteria attached to hair were not removed even by repeated washing with deterg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air could be a sourc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hospital.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인지재활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다차원적 치료레크리에이션 기능 개입 전략 연구

        이문숙(Moon-Sook Lee),조병준(Byung-Jun Cho),양재식(Jae-Sik Y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12

        이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과 다차원적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방향과 내용을 도출하고자 D시의 치매안심센타 인지재활 치료프로그램 참여 노인 각 50명씩(5개구)을 선정하였고, 9명을 전문가 집단 의견수렴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구성요소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계층구조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인지재활 지원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와는 달리 지원프로그램이 충분하지 않아 경험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돌봄이나 보호시설 확대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 구성요소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대분류(6개) 운동요법, 중분류(16개) 운동요법의 행동중심 접근법, 소분류(47개) 힘뇌체조, 실버건강체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시 각 영역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다차원적 프로그램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0 elderly people each (5) participating i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at the Dementia Care Center in D City to derive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a multidimensional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and a revitaliza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perture) was selected, and 9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expert group opinion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as SPSS ver. Using the 18.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component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structure analysis. First, unlike the needs of users,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s currently being provided are not sufficient and require considerable experience. It was found to be low, and the areas for improvement were the expansion of care and protection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users. Seco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component of therapeutic recreation were categorized into 6 major categories: exercise therapy , middle category (16 items) behavior-centered approach to exercise therapy, small category (47 items) strength and brain gymnastics, and silver health gymnastics were the highest. This result shows that a multidimensional program plan that considers the priorities of each area must be made when developing a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이문숙 ( Moon-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일대의 공원과 등산로에서 걷기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걷기 경험이 3년 이상, 주 2회 이상으로 하였다. 148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 및 수집하였고 13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자기효능감, 건강위험지각, 운동지속의지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과 운동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위험지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walking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8 walking partipants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37( over 3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health risk perception scal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risk percep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mediated by health risk perception.

      • KCI등재

        좌식배드민턴 프로그램에 따른 척수장애인의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이문숙 ( Moon 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좌식배드민턴 실시에 따른 척수장애인들의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3개월간의 좌식배드민턴 실시집단과 비실시집단간 사전·사후 자아효능감과 심리적 웰빙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좌식배드민턴 실시가 척수장애인의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신체적 자아효능감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장애인연합회에 등록되어 있으며, 실험집단은 좌식배드민턴 경기의 특성상 장애인 성인 남, 여 각각 20명과 일반인 남,여 각각 20명을 표집하여 4인 1조로 20팀을 구성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규칙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을 하지 않는 특정 생활체육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는 장애인 남,여 각각 20명으로 표집 하였다.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웰빙 척도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 입력하여, 가설검증을 위해 SPSS WIN VER 14.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및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좌식배드민턴 프로그램은 척수장애인의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좌식배드민턴 프로그램은 척수장애인의 심리적 웰빙을 향상시키며, 셋째, 좌식배드민턴 실시에 따른 신체적 자아효능감 변화는 심리적 웰빙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심리적 웰빙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sitting badminton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The subjects of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ere two folds as one experimental group(n=40) and one control group(n=40). All the subjects were currently registered in Daejeon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itting badminton for 3 month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activity.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to test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p<.05).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p<.05). It was also founded that a favorable change in the self-efficacy following the sitting badmint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p<.05).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erceptive physical capacit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may influence positively on life-satisfaction, positive relationship, autonomy, and personal development.

      • KCI등재

        스포츠스태킹 참가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위험행동 및 적응유연성과의 구조적 관계

        이문숙(Lee, Moon-Sook),김재운(Kim, Chae-Woon)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2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portstaking participants leisure attitude, risk behavior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200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and 172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adolescent leisure attitude scale, risk behavior scale and resilience. SPSS WIN VER 23.0 and Amos 22.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olescents’leisure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risk behavior. Second, the adolescents’leisure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resilience. Third, the adolescents’risk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resilience. Fourth, the adolescents’leisure attitude has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Risk behavior and Resili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addition, the adolescents’leisure attitude has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subjective resilience mediated by risk behavior.

      • KCI등재

        스포츠 참가가 척수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감에 미치는 영향

        이문숙 ( Moon Sook Lee ),( Stephen J. Langsner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 참가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스포츠 활동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간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감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스포츠 활동 참가가 사회적지지 및 장애수용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장애인연합회에 등록되어 있으며, 1년이상 휠체어 배드민턴, 휠체어 탁구, 휠체어 테니스, 휠체어 농구에 참가하는 78명의 참가집단과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88명의 비참가 집단을 표집하였다. 사회적지지 및 장애수용감 척도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 입력하여, 가설검증을 위해 SPSS WIN VER 17.0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및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포츠 활동 참가는 척수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스포츠 활동 참가는 척수장애인의 장애수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스포츠 활동 참가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장애수용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평가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는 장애수용감 하위요인인 자기만족, 장애를 독특히 생각하지 않는 것, 보상적 행동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ies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 total of 166 subjec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ty-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wheelchair table tennis, tennis, and basketball more than one year, and 88 subjects did not participate in any sport activity. Using SPSS WIN VER 17.0,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disability acceptance were positively affected by sport activities. Thus, the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such as emotional, testable,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subfactor of the disability acceptance including self-satisfa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