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SFC 언어에서 자기진단기능과 고유기능의 동시동작에 관한 연구

        공헌택(Heon-Tag Kong),유정봉(Jeong-Bong You) 대한전자공학회 201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6 No.1

        현대의 제어시스템은 복잡하고 고기능 및 고속의 제어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 PLC 이다. PLC는 오늘날 산업현장에서 없어서는 안될 핵심 제어장치이다. PLC를 제어하기 위한 언어로 Ladder Diagram(LD)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Sequential Function Chart(SFC)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SFC 언어는 전체 제어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고, 유지보수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SFC 언어를 사용하여 제어시스템을 설계할 때 제어 프로그램중 원점복귀, 자기진단기능등 고유의 작업과는 다른 공통프로그램 부분에서 동시동작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크로 블록을 활용하여 제어시스템의 고유작업과 자기진단기능의 공통프로그램 부분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Modern constrol systems demand complex, high-performance, and high-speed control.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is the one that can satisfy this demand. PLC is a key control device indispensable in today’s industrial field. Ladder diagram(LD) is the most used language for controlling PLC but in recent years, Sequential Function Chart(SFC) has been used more frequently. SFC language has an advantage that the flow of the entire control is easy to understand and easy to maintain. However, when designing a control system using this SFC language, it has drawbacks in simultaneous operation in the common program pa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ork such as home return and self diagnosis function among control progra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lement the common program part of the confrol system and the self diagnosis function using the macroblock, and confirmed its validity.

      • KCI등재

        공정제어에서 선택시퀀스를 위한 효율적인 리모트 콘트롤 제어방법

        공헌택(Kong, Heon-Tag),김치수(Kim, Chi-Su),유정봉(You, Jeong-B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

        PLC를 사용한 제어시스템에서 SFC 언어를 사용하면 전체 공정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 다. SFC 언어는 단일 시퀀스, 선택 시퀀스, 병렬 시퀀스로 나누어지고, 여러 조건에 맞게 처리하는 선택시퀀스로 프 로그램 할 때 선택분기 스텝에 에러가 발생하면 전체 공정이 정지하게 된다. 이 에러스텝이 전체 공정에 크게 영향을 안주는 공정이라면 전체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고 에러를 처리하면 손실은 줄어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시퀀스 에서 리모트 콘트롤을 사용하여 선택시퀀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적용 예를 통해 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When we design the control system use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if we program a Sequential Function Chart(SFC),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sequential flow of control, to maintenance the controller and to describe a program. SFC language is programmed by a single sequence, a select sequence and a parallel sequence. In a select sequence, when the select step is error, the whole process is stopped. If the error step has no connection the whole process, the loss is down when we debugging the program without stopping the whole process. Therefore, this thesis shows the efficient method of remote control for select sequence and we confirmed its feasibility through actual example.

      • KCI등재

        웹 공간의 확장

        공헌택,고성범,Kong, Heon-Tag,Ko, Sung-Bum 한국융합학회 201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2 No.3

        현재의 웹은 표준화된 통합 환경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작업 규모가 클 경우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행위 주체들이 함께 일을 할 때 서로의 일처리 프로세스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통합 공간(SB공간)을 제안한다. SB공간은 웹 사이트의 하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웹 공간과의 효율적인 연계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사실상 웹 공간의 확장을 의미하는 바, 이를 통해 웹 공간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서 이를 입증해 보인다. Current Web space does not provide standard integrated environment. This, especially in case of large task, can be a cause of low performance of task processing. We proposed an integrated space(called SB space) in this paper through which various actors can share their mutual process in processing a task together. SB space can be installed as a Web site and can be used effectively with Web space. This actually means the expansion of the Web space, which allows u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Web space notably. In this paper, this is proved through a concrete case study.

      • KCI등재

        시스템 레벨 설계에서 리팩토링을 적용한 단계적 상세화

        김현종(Kim, Hyun-Jong),공헌택(Kong, Heon-Tag),김치수(Kim, Chi-S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6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설계와 소프트웨어 설계를 동시에 진행하여 마지막으로 그 들을 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동 설계라는 설계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으로 SpecC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 레벨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시스템 레벨 설계의 단계적 상세화를 실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공학의 리팩토링 기술을 적용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단계적 상세화 방법을 제시한다. Programmers can use the Hardware-Software Co-Designing, in which they design a hardware system and software system simultaneously and then unify them, to design an embedded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designing an embedded system and suggests applying the system-level design technique, which uses SpecC technolog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Also, it suggests systematic and concrete stepwise refinement by applying Refactoring technology in software engineering as a way to make the use of system-level stepwise refinement.

      • KCI등재후보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솔루션 설계 및 구현

        임재현(Lim, Jae-Hyun),공헌택(Kong, Heon-Ta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6

        현재 국내·외 제조 산업은 기업 시스템의 노후화 등의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의 불량품에 대한 처리방법은 제품의 생산이 완료된 후 테스트 단계를 거쳐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하고 불량품이 발생하면 생산을 중단하고 생산라인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공장의 생산라인에서 불량품 생산을 줄이고 생산라인 가동시간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해 제안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니터링 솔루션은 제품 조립의 각 단계마다 테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에서 불량이 예상되면 알람기능을 이용해서 경고를 하도록 설계하였다. 경고 메시지를 통해 불량이 예상되는 곳에 대해 조기에 조치하여 불량품이 나올 확률을 최소한으로 하고 제품의 생산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oday,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ing industries have to cope with obsolescence of manufacturing equipment because the shifting market trends drive the rapid changes in the production process resulting in stressful operation. Quality control process for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involves a familiar step - when the production process is completed, every item is subjected to various routine tests to determine that it meets the minimum quality standards. Typically, when a faulty product is found, the production line has to be stopped and the current batch is marked for further inspected and exhaustive testing.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Our approach aims to reduces the operational down time in the production line of a car-component factory.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is designed to collect the data through testing at each phase of the assembly line and uses predictive methods on the collected data to achieve early detection of fault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minimize the number of products in a faulty batch thus minimizing the losses incurred from defective products. More importantly, this system aims to forecast and proactively detect faults and activate warnings when they are detected thus minimizing items in the defective batch, reducing the damage to manufacturing equipment and ultimately reducing the operational downtime or the delay in the resumption of normal factory operation.

      • KCI등재

        온톨로지 분석 기반의 UML 클래스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통합

        서진원(Seo, Jin-Won),공헌택(Kong, Heon-Tag),임재현(Lim, Jae-Hyun),김치수(Kim, Chi-Su)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2

        데이터 통합은 상이한 소스로부터 이종의 데이터를 결합하고, 사용자에게 단일 접근 점을 통해 다중 소스의 모든 데이터에 투명하게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통합의 어려움은 데이터의 이종성 즉, 스키마의 이종성, 시멘틱의 이종성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풍부한 시멘틱이 데이터 소스의 이종성으로 인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UML 클래스 모델에서는 데이터의 스키마 기반 시멘틱만을 표현하기 때문에 온톨로지와 같은 대안책을 이용해 추가적인 시멘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분석을 이용해 UML 클래스 모델로 표현된 두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온톨로지는 각 소스의 데이터에 대한 시멘틱을 표현하는데 적용된다. 온톨로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결정하기 위해 온톨로지를 분석하고 비교한다. 비교 결과는 통합 정보에 대해 질의가 가능한 통합 온톨로지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Data integration is techniques to combine heterogeneous data from different sources, and to allow users to transparently access all data from multiple sources via a single view. The difficulty with data integration is data heterogeneity (i.e. schema heterogeneity, semantic heterogeneity). Richer semantics of data is a major factor in resolving conflicts among heterogeneous data sources. As UML class model represents only schema-based semantics of data, alternative methods such as ontology is useful for representing additional semantic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integrating two data sources with UML class models by using an analysis of their ontologies. In our framework, ontology will be applied to describe semantics of data in each source. Then the ontologies are analysed and compared to determin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used to devise an integrated ontology that will enable querying on the integrated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