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구미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김성아,김진석,전혜리,정상재,김상우,이채용,함정오,유재영,최태성,하봉구,조민환,우극현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구미지역 내 대학병원이자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기관의 산업의학전문의, 보건관리대행 간호사, 사업장 간호사를 중심으로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직업성질환들의 발생현황과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차적으로 산업, 직업, 업무내용 등에 따른 분포나 원인을 기존 자료원(특수건강진단의 직업병 유소견자와 산재요양승인 되는 직업병자)과 비교하여 분석·기술하고 예방 및 관리를 포함한 보건의료기술개발까지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운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미지역의 산업적 특성에 맞는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감시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6대 감시대상 직업성질환(독성 간염, 직업성천식,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직업성 피부질환, 직업성 암, 수지진동증후군)의 실행적 환례정의, 보고양식 및 보고체계 개발, 분석양식 및 결과 배포 형식을 개발하였으며, 그 유병규모를 파악하고, 감시질환의 분포 및 특성, 관련인자 등을 분석·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때, 1년간의 환례분석시 직업병 유소견자 및 직업병 요양자에 대한 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으며, 노동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년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결과: 2001. 1. 1일부터 2002.4.30일까지 총 287건이 보고되었으며,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132건(46.0%), 직업성 피부질환 100건(34.8%), 독성간염 34건 (11.8%), 직업성천식 16건 (5.6%), 수지진동증후군 5건 (1.7%) 이었으며 직업성 암은 한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경로별로는 보건관리대행에서 33건 (11.5%), 해당 유해인자별로 실시되는 특수검진 외의 각종 건강진단업무 수행 중 발견된 환례에 대한 보고가 206건(71.7%)이었다. 직종별 분류의 결과는 섬유업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음식업종사자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수근관증후군이 42건(33%), 외상과염/내상과염이 39건(30%)로 가장 많았다. 직업성 피부질환은 97건이 접촉성 피부염으로 유기용제류가 59건(59%)으로 가장 많고, 니켈 및 에폭시수지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각각 6건과 5건이었다. 독성 간염은 모두 DMF 나 DMAc에 의한 것으로, 근무시작 후부터 간기능이상이 발견되기까지의 근무기간은 대부분이 3개월 이하이며, 1개월 이하인 경우도 10건이나 되었다. 동 기간 중 감시환례에 대해 산재요양 자료와 중복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복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수건강진단에서 직업병유소견자로 판정된 경우는 독성간염에서 3건이 있었으며, 나머지 질환은 중복되는 것은 없었다. 2001도 구미지역의 근로자수와 보고환례건수를 이용하여 연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근로자 10만 명당 연간 발생률은 상지 근골격계질환은 63.6명, 피부질환 48.2명, 독성 간염 17.9명, 천식 7.7명, 수진진동증후군 2.4명이었다. 참여예상인원은 총 46명이었으며, 실제 참여자수는 21명, 평균참여율은 46%, 실제 참여 1이당 평균 보고건수는 산업의학전문의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행간호사는 45,건, 사업장 간호사는 3.3건이었다. 결론: 지역 감시체계는 기존 통계자료들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직업성질환의 발견에 유용한 통계원이며, 특히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한다면 더 성과가 클 것이다. Objectives: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in Kumi (KODS) was used to collect data on occupational diseases. The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diseases, to analyz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find links for thei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thods: Since January 2001, occupational physicians and nurses in Occupational Health Service (OHS) have reported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ccuaptional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ccupational asthma (OA),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and occupational cancer. For the respective diseases, a reporting sheet and operational diagnostic criteria were developed by the KODS. An analysis of the KODS data, collected over a certain period,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Korea Labor Workers Corporation (KLWC) and the Specific Health Examination (SHE), and the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estimated. Results: Between Jan 2001 and Apr 2002, 287 cases of the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 were reported. Of these, there were 132 (46.0%), 100 (34.8%), 34 (11.8%), 16 (5.6%), and 5 (1.7%), cases of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A, and HAVS, repectively. But, there were no cases of occupational cancer. 33 (11.5%) of the incidence were reported via the OHS, 206 (71.7%) from health checkups, and the other 48(16.8%) from other routes. The synthetic fibers and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ies accounted for the greatest number of reported cases. With resport to occupation, the greatest numbers of incidence were reported from the elementary occupations, textile workers, assemblers, and cooks and food services worker, in that order. Of the MSDUE cases, carpal tunnel syndrome and epicondylitis were the two most common diseases. Most of the occupational dermatoses were due to contact dermatitis, with organic solvents (59%), nickel (6%), and epoxy resin (5%)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se cases. All cases of toxic hepatitis were induced by dimethylformamide or dimethylacetamide, which were reported by a unique monitoring system. During same period, there were no cases claimed by workers to the KLWC, and only three cases from SHE, we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workers' number and surveillance, the annual incidence of MSDUE, dermatoses, hepatitis, OA, and HAVS, per 100,000 workers were 63.6, 48.2, 17.9, 7.7, and 2.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n area-based surveillance system can be very effective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work-related diseases, at least in Kumi.

      • Pseudo-Gitelman씨 증후군 1예

        김성렬,조영일,이해운,이정연,안해련,송종오,명승운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2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2 No.-

        Gitelman's syndrome is a rare disorder with a characteristic set of metabolic abnormalities. These include hypokalemia, metabolic alkalosis, hypocalciuria and hypomagnesemia.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Gitelman's syndrome a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Bartter's syndrome and diuretic abuse. Gitelman' syndrome and Bartter's syndrome can be distinguished by renal clearance study after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and thiazide, since the primary defect in each of these disorders is an impairment in sodium reabsorption in the distal tubule and loop of Henle, respectively. Pseudo-Bartter's syndrome due to diuretic abuse can be distinguished by history of diuretic use and a positive urine assay for diuretic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seudo-Gitelman's syndrome in 56-year old woman with unexplained hypokalemic metabolic alkalosis, hypocalciuria, and hypomagnesemia. The patient denied ingestion of diuretic medication. The results of renal clearance study using furosemide and thiazide in this case suggested the presence of the primary defect of sodium reabsorption in the distal tubule rather than in the loop of Henle. Thes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Gitelman's syndrome. But, this case was confirmed as pseudo-Gitelman's syndrome since diuretics were detected by a urine assay for diuretics. Furosemide and hydrochlorothiazide were contained in the pill that she had been taking due to constipation.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pseudo-Gitelman's syndrome by abuse of cathartics containig diuretics presented as Gitelman's syndrome in renal clearance study.

      • KCI등재후보

        아크릴아마이드에 의한 신경병증 조기발견을 위한 선별검사의 평가

        김성순,정해관,권용욱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3

        목 적 : 아크릴아마이드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들의 신경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선별검사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울산지역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를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전체 근로자 52 명 중 아크릴 아마이드에 의한 신경병증 사례가 발생하고 작업환경노출이 많은 것으로 평가된 근로자 10명(평균연령 30.4세)을 고노출군으로, 나머지 근로자 42명(평균 연령 28.9세)을 저노출군으로 하였고, 의사 및 의대생 23명(평균 29.4세)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말초신경 증상설문지와 신경학적 진찰, 전기진단학적 검사, 진동감각역치검사 및 색도분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증상 설문지에서 고노출군은 말초신경에 특이한 증상을 저노출군 및 대조군에 비하여 더 많이 호소하였으며 신경학적 진찰소견상 이점분별력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떨어져 있었다. 전기 진단학적 검사에서는 운동신경의 경우 정중신경 전도속도와 비골신경 잠시가, 감각신경의 경우 정중신경 진폭과 비복신경 잠시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노출군은 상지 및 하지의 진동감각역치가 저노출군 및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색혼동지수로 측정한 색도분별력은 고노출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떨어져 있었다. 이들 검사의 양성소견은 다른 변수를 제어하였을 때 아크릴아마이드 노출과 유의한 연관관계를 보였으며 각 검사의 양성 소견은 상호 중복이 많지 않고 이들 검사를 동시에 적용하였을 때 가장 많은 양성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말초신경증상설문지, 진동감각역치검사 및 색도분별검사는 말초신경장해를 조기에 발견하는데 민감하였으며 이들 검사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말초신경장해의 조기 발견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Acrylamide is a neurotoxin inducing central-peripheral distal axonopathy. The authors evaluated several neurologic tests to screen the early effect of occupational acrylamide exposure. Methods : Fifty-two males working either in the production of acrylamide monomer or in the handling of acrylamide in Ulsan, Korea, were selected and subcategorized into the hlgh-exposure group (n=10, mean age of 30.4 years) and the low-exposure group (n=42, mean age of 28.9 years). Twenty-three males (mean age 29.4 years) from medical professionals and students were chosen as a non-exposed reference group. Symptom questionnaire, neurologic examination, electrodiagnostic test, vibrotactile threshold test, and Lanthony desaturated 15 panel test (LD-l5D) were done. Results : The high-exposure group shewed more number of specific symptoms on questionnaire and more abnormal two point discrimination test. High-exposu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an motor conduction velocity, peroneal nerve motor laten cy, sensory amplitude of median nerve action potential, and sensory latency of aural nerve. The vibrotactile threshold of the high-exposu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hands and feet than that of the low-exposure group and the reference group. Average color confusion index on the LD-l5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exposure group (median 22.7, range 0-135.7) than in the reference group (median 2.4, range 0-33.2) . Conclusions : The symptom questionnaire, vibrotactile threshold test, and color dis crimination test are sensitive in detection of the early acrylamide-induced neuropathy,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tests would further facilit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creening.

      • KCI등재

        신경정신증상을 동반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 1예

        김자현,유성진,김병권,전형준,박종태,김해준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1

        배경: 트리클로로에틸렌은 중추신경계에 주로 작용하는 유해 발암물질로서 사용 및 관리 에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까지도 영세사업장을 중심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함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에 의한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에 관한 연구 및 보고가 많지 않다. 사례: 환자는 장기간 금속부품 세척 공장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에 노출되었으며,건망증 및 말더듬 증상과 함께 식욕감소와 성욕감소를 동반한 전반적 의욕부진과 우울감정이 양손의 이상감각 및 저림, 통증과 함께 나타났다. 신경전도검사에서 자율신경계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 소뇌의 위축 등의 기질적 이상 소견 및 중추신경계의 감염이나 종양 등은 없었으며 대사 장애나 전해질 이상도 보이지 않았다. 저자들은 환자가 전자부품 세척 공정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중시하여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를 검사한 결과 과량의 요중 총삼염화물이 검출되어 임상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중독을 진단할 수 있었다. 노출은 입원과 동시에 중단되었다.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는 입원직후 3,331.1 mg/g creatinine, 입원 후 3일째 347.9 mg/g creatinine,입원 후 5일째 64.6 mg/g creatinne으로 감소하였다. 주요 증상이었던 손발 저림과 통증의 급격한 호전을 보였고,우울감 등의 기분장애와 술 취한 느낌,발기부전,말더듬 등의 증상이 입원 후 시행 한 요중 총삼염화물의 농도 감소에 따라 단계적인 회복을 보였다. 결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저농도 만성 노출에서 신경 정신증상을 동반한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이로 인해 발생한 신경정신증상이 정신과적 절환으로 판단되어 적절한 진단,치료 및 노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 트리클로로에틸렌 취급 근로자에서 신경정신증상이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여 이것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노출로 인한 것인지를 조기에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Trichloroethylene (TCE) has been widely used as a typewriter correction fluid, Paint remover, adhesive, spot removers and, particularly, as a degreasing agent in metal-fabricating operation.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effects of TCE intoxication, in spite of numerous occupation al accidents arising from TCE intoxication, even until quite recently used in small companies. TCE affects mainly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is carcinogenic, even when carefully used and managed. Case report: A 48-year-o1d male worker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decreased motivation and general weakness, In history taking, the patient had suffered insomnia, memory disturbance, stuttering, loss of interest and sexual desire, depressive mood for 4 years, dysesthesia with tingling sensation and pain in both extremities, and a nauseas feeling similar to a hangover which had been aggravated for 4 months before admission. The patient had been engaged in metal degreasing with TCE for 8 years. Electromyography indicated disturbance of autonomic function, but there was neither peripheral neuropa-thy nor cervical radiculopathy. Organic abnormalities including cerebellar atrophy and CNS infection were ruled out, while there was no indication of malignancy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metabolic disorders and electrolyte imbalances in laboratory test. The authors performed biological monitoring for the possible exposed chemicals. Urinary 2,5-hexanedione, a metabolite of n-hexane, was undetected but 3,331.1 mg/g creatinine of urinary trichloro-compounds, a metabolite of TCE, was detected.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TCE intoxication due to a level of urinary trichloro-compounds in excess of the normal range (300 mg/g creatinine), in addition to an occupational history and clinical symptoms. TCE exposure was stopped in admission and the neuropsychiathc symptoms of the patient were improved as the urinary thchloro-compounds were decreased from 3,331.1 mg/g creatinine to 64.6 mg/g creatinine in 5 days. Conclusion: Low-dose, chronic TCE intoxication shows neuropsychiatric symptoms, which are often misrecognized merely as a psychiatric disorder; its appropriate diagnosis, early treatment and exposure assessment are therefore difficult.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workers who have been exposed to TCE should be monitored, detailed job history should be taken and biological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to gain early insight of chronic TCE exposure.

      • 오감(五感)적 요소를 접목한 브랜드 스페이스 연출 계획 -마임 화장품 프레쉬가든을 중심으로-

        김소현,임하영,장효실,최혜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인간이 갖고 있는 감각 기관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총 다섯 가지로, 이를 모두 활용 할 때 이상적 공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화장품의 공간 연출 계획 시 오감적 요소를 접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결합하여 기능적 만족감과 더불어 체험적 만족감 제공하는 오감적 디스플레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오감을 활 용한 뷰티 쇼룸으로 감각을 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립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공간의 개념이 일반화 되어 가는 오늘날 기업 환경 속에서 오감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공간연출은 가상의 공간속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쇼룸 공간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게임 시나리오 동기화 모델 GSSM의 설계 및 구현

        김달중,성해경,하수철 대전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9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10 No.2

        기존의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간 동기화와 공간 동기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는 시공간 동기화 표현에 있어서 게임의 운영 상황과 흡족히 일치하지를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동기화에 대한 연구를 새로 제안된 시간과 공간, 시공간 언명으로 게임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시간과 공간, 시공간 공식으로 제안된 언명을 정형화된 표현법으로 나타내었으며, 게임 시나리오 동기화 모델(Game scenario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GSSM)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had focused on either temporal or spatial synchronization of multimedia objects. They are not fully accorded with the status of game operation. In this paper, we apply new proposed temporal, spatial and spatio-temporal assertions for the study of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to game scenarios and represent them. Proposed assertions are presented with formal representations. Also, we design and implement GSSM(Game scenario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about assertions.

      • 플립칩에서 UBM을 고려한 무연 솔더 접합부의 열피로 해석 모사

        김성걸,김주영,이해웅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This paper describes in detail the life prediction models for 95.5Sn-4.0Ag-0.5Cu solder joints of Flip chip package. A 3D Finite element slice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viscoplastic behavior of the solder. Two different solder bump pitche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s of underfill packages were studied, Consequently, this numerical study shows that solder joints with underfill has better fatigue life than solder joints without underfill. Also, 300㎛ pitch solder joints has a longer life than 150㎛ pitch solder j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