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야뇨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승수,곽병곤,김영대,김우경,김영균,이종국 白中央醫療院 2005 仁濟醫學 Vol.26 No.1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nuretic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reatments. Methods: Our study subjects enrolled were 52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 of pediatrics in Seoul Paik Hospital and Ilsan Paik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998 to August 2004. The data of gender, age, family history, symptom, clinical type of enuresis and drug therap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ale : female ratio was 2.25 : 1.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6.8 years with an age range from 4.3 years to 12.5 years. Fourty five cases(86.5%) were diagnosed as primary enuresis and 7 cases(13.5%) were diagnosed as secondary enuresis. A family history of enuresis was noted in 5 cases(9.6%) including 4 cases with parental enuresis history. The accompanying urinary symptoms were urgency(11.5%), frequency (7.7%), and dysuria(2.0%). Conclusion: We found frequent occurrences of enuresis in boys and primary type and an occasional association with a family history of enuresis. The two main treatment modalities were behavior control with an alarm system and drug therapy with imipramine, desmopressin, or oxybutynin. We recommend continuous drug medications to control nocturnal enuresis along with encouragement.

      • KCI등재후보

        한국인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대사 효소 유전자형 빈도의 남녀 차이

        김성곤,김철민,이덕기,황인복,이현숙,김성연,전은숙,송영상,박제민,최병무,김명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5 신경정신의학 Vol.44 No.2

        Objectives : There are a number of preceding epidemiological studies report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The author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 in the frequencies of ADH2 and ALDH2 genoypes between th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control.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1 alcohol dependent patients (104 males, 37 females) and 138 normal control (79 males, 59 females). The frequencies of 1/1 and 1/2+2/2 (2+ afterward) genotypes for ADH2 and ALDH2 were investigated in male and female between alcohol dependence and normal control group. DNA was extracted from WBC in peripheral venous blood and PCR-RFLP method was used out for genotyping. Results : First, the frequency of ADH2 1/1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 in both genders. Second,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ADH2 1/1 genotype in normal controls, in the patient group however, th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Third, in male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e, the frequency of ALDH2 1/1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ale normal control subjects. On the other hand, in female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e, the frequency of ALDH2 2+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female normal control subjec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risk of alcohol dependence is predominantly affected by ALDH2 1/1 geno-type in male, the female ADH2 1/1 genotype is main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lcohol dependence. This means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 KCI등재

        SECKEL 증후군 환자의 증례보고

        김추성,김재곤,백병주,양연미,정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Seckel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태내에서의 성장지연에 따른 출생 후의 소인증, 심한 소두증을 나타내며, 큰눈과 돌출된 코, 후퇴된 하악을 동반한 새 모양의 안모가 특징적이다. 다른 임상증상으로는 관절의 결함, 내반족, 드문드문 난 모발, 비뇨생식기의 이형성, 정신지체, 혈액학적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Seckel 증후군의 구강 내 소견으로는 부정교합, 법랑질 저형성증, 일부 치아의 선천적 결손, 우상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는 Seckel 증후군을 보이는 두 증례에서 발육부전, 새 모양의 안모, 비뇨기과적 기형, 치아의 저형성과 부정교합 등 다양한 전신증상과 구강 내 증상들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eckel syndrome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ost-natally by dwarfism, severe microcephaly, bird-headed profile with receding chin, prominent nose, joint defects, clubfoot, sparse hair, malformation of genitourinary tract and rectum, mental retardation and hematological disorders. There is als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blood cells. Dental anomalies of Seckel syndrome are crowded teeth with malocclusion, enamel hypoplasia, absence of some teeth and taurodontism. This report described the oral and maxillofacial manifestations of children associated with Seckel syndrome. Children with Seckel syndrome have several dental and skeletal irregula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denta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and review the literatures of Seckel syndrome.

      • KCI등재

        담도폐쇄증 환아의 치과치료 : 증례보고

        김재곤,양연미,백병주,이승익 大韓小兒齒科學會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1

        Intra-& extra-hepatic duct system의 경화를 야기하는 Biliary atresia는 출생시 1:10,000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5년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다. 담도폐쇄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소나 발육성 원인으로 믿고 있다. 임상적 특징으로 두드러진 황달, 간비증대, 가려움증, 지방변, 황색종, 성장지연, 문맥압항진증, 출혈, 골연하증, 복수 그리고 호흡기계 감염 등을 나타낸다. 구강내 소견으로 녹색을 띄는 변색치아, 유치의 확장된 치수강과 치근관, 치아맹출지연, 법랑질 형성부전, 그리고 심한 치아 우식 등이다. 담도폐쇄증은 조기진단과 수술에 의해 사망률이 감소되고, 성장과 발달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생존율도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그 원인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저자는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2명의 담도폐쇄증환아에 대해 임상, 방사선학적 특징 및 적합한 처치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Congenital biliary atresia with pregressive sclerosis of the intra-and extra-hepatic duct system occurs in 1:10,000 live births, and has a poor prognosis with an expected survival of less than 5 years. Etiology of biliary atresia is unclear, however, it is believed a genetic or developmental caus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e pronounced jaundice, hepatosplenomegaly, pruritus, steatorrhea, xanthomas, growth retardation, portal hypetension, bleedings, ascites and respiratory infections. Oral manifestations have seldom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biliary atresia, but there may be enamel hypoplasia, delayed tooth eruption, and green teeth.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intervention have decreased morbidity, returned growth and development to normal and improved the prognosis for survival. Authors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 characteristics, proper managements about two cases with biliary atresia.

      • KCI등재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의 측정

        김추성,김재곤,양연미,백병주,이경열,김미아,임수민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2

        Streptococcus mutans는 구강 내에 상존하는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면의 피막에 부착 후 glucan을 형성하여 세균의 군락을 이루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자당대사를 통하여 유기산을 생성함으로써 법랑질을 탈회시킨다. 치아우식 활성도의 평가를 위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방법은 진료실에서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타액에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 연구는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 15명을 대상으로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시판 중인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Salivacheck Mutans, strip을 이용한 Dentocult-SM 그리고 MSB배지 배양법으로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를 측정한 후 그 값을 우식경험치아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Saliva-check Mutans를 이용한 방법은 Dentocult-SM과 MSB배지법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0.05), MSB배지법은 어린이의 우식경험치아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p=0.34). Streptococcus mutans, one of the major causal agents of dental caries, is component of the dental plaque. It produces various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which is the end-product of glycolysis, and this leads to dental caries. A new system using species-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was developed to detect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The system quickly detects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in 30min and classifies the result into two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monoclonal antibody-based detecting system and selective medium-based detecting methods. Children's deft indices were also compared with Streptococcus mutans counts in MSB agar plate. Subjects consisted of 15 children in the age of 3 to 6 years. They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Group Ⅰ (deft index = 3), Group Ⅱ (deft index ≤ 3), Group Ⅲ (deft index ≥ 4).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rate of children with positive response was 13.3% and with negative response was 86.7% in the result of Saliva-check Mutans test kit.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noclonal antibody-based detecting system and selective medium-based detecting methods (p<0.05). 3. Streptococcus mutans counts in MSB agar plate were irrelevant to deft of children(p=0.34).

      • KCI등재

        치과 방문 시 어린이와 부모의 치과 불안도의 상관 관계

        김성희,백병주,김재곤,양연미,권병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2

        어린이에게 있어서 치과 불안의 문제는 오랫동안 환자 행동조절의 문제로서 여겨져 왔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치료 시의 비협조도, 치료 악속 취소 및 회피 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 및 치과 팀에게 가능한 한 빨리 어린이의 치과 불안을 인지하여 적절히 대처할 것이 요구 되어진다. 한편, 부모의 치과 불안이 그들의 아이의 치과 불안과 치료 협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이전의 여러 연구들로부터 언급 되어지고 있다. 또한 치과 방문 결정의 주체가 어린이라기보다는 부모임을 고려할 때, 부모와 어린이 사이의 치과 불안도의 관계 규명이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10세(평균 연령 5.27세, 표준 편차 2.172세)의 어린이 78명(남아 45명, 여아 33명)과 그들의 부모 7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과 치료 전의 어린이의 치과 불안도 평가를 위해 Venham Picture Scale을, 부모의 치과 불안도 평가를 위해 Corah's dental anxiety scale을 사용하여 두 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치료 시 협조도, 기질, 성별, 나이, 부모의 교육 정도를 평가하여 치과 불안도와 비교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어린이의 치과 불안도와 부모의 치과 불안도 사이의 상관 분석 및 회귀분석에서 상호 관계성이 존재하였다(P<0.02). 2. 어린이의 치과 불안도와 치료 협조도사이의 상관 분석 및 교차 분석에서 음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3. 어린이의 치과 불안도와 기질에 관한 Student's t-test에서 낮은 불안도와 높은 불안도 그룹의 네 가지 기질 평균 점수비교 시, 낮은 불안도 그룹에서 모두 약간 낮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P>0.1) 4. 어린이의 치과 불안도와 어린이의 성별, 나이에 관한 Student's t-test에서, 여아에서 높은 불안도, 3~6세의 어린 그룹에서 높은 불안을 보였다(P<0.001). 5. 부모의 치과 불안도와 부모의 학력에 관한, Student's t-test에서,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저학력 부모 그룹에서 더 높은 불안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P>0.1). In children, dental anxiety of dental treat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source of problems in patient management for many years. Dental anxiety can be causes of negative cooperation, cancel and avoid of dental treatment. Therefore, dentist and dental team should recognize of child's dental anxiety as early as possible and manage appropriately. In previous studies, it is reported that parental dental anxiety affect dental anxiety and cooperation of their child. And it is parental decision which results in a child's visit to the dentist, rather than a child's decision in most c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dental anxiety between child and parent. We estimated child's dental anxiety before dental treatment using Venham Picture Scale that is useful even a very young child and parental dental anxiety using Corah's dental anxiety scale. Then, two values above were compared. Child's cooperation, temperament, sex, age, parental education were estimated and compared with dental anxiety, to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of dental anxiety between child and parent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P<0.02). 2. There are negative relationship of child's dental anxiety and child's cooperation with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0.001). 3. Low anxiety group has lower mean value of four temperament item with the Student's t-test.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1). 4. Girl and younger group have higher mean value of dental anxiety than boy and older group with the Student s t-test (P<0.001). 5. Low educated parents have higher mean value of dental anxiety than high educated parents with the Student s t-test (P>0.1).

      • KCI등재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김하나,김재곤,백병주,한지혜,양연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4

        치아종은 치아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세포로 구성된 혼합종양이다.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며 신생물이라기보다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어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며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매복,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치료는 외과적 제거가 추천되며 완전한 적출시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복합 치아종 환자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odontogenic tumors, and have been defined as mixed odontogenic tumor composed of epithelial and mesenchymal cells. Odontoma is believed to be hamartomatous rather than neoplastic in nature. The classification by WHO divides odontoma into 2 groups such as complex odontoma and compound odontoma. Compound odontoma comprises dental tissues, resembling the morphology of a tooth and has predilection for the anterior maxilla, In contrast, complex odontoma has unorganized mass, not resembling the normal tooth and has predilection for the posterior mandible. Odontoma is almost asymptomatic, so it is usually found on routine radiographic examination. Common presenting symptom is impacted or unerupted permanent teeth and retained primary teeth, but coexistent odontoma and congenital missing of permanent teeth is a very rare condition. The recommended treatment for an odontoma is conservative surgical excision, with care taken to remove the surrounding soft tissue. This report presents 2 patients with compound odontoma of the mandible who have congenital missing of the permanent teeth.

      • KCI등재후보

        변위매복된 상악전치의 자가이식을 통한 자발적 맹출 유도

        김재곤,이두철,오경선,백병주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2

        매복치아의 치료는 단순한 관찰에서 외과적 노출후 교정적 견인까지 매우 다양하며, 매복치의 위치 이상이 심한 경우에는 자가이식을 고려한다. 치아의 자가이식술은 맹출되었거나, 매복치아, 변위맹출된 치아 혹은 기능을 못하는 치아를 동일한 개체의 구강내에서 기존의 발치와나 외과적으로 형성한 수용부에 재위치시키는 술식을 의미한다. 자가이식할 치아는 치근장의 ½∼¾ 정도의 치근 발육시기가 치아가 쉽게 발거되고, 합병증이 적게 생기며, 치근의 최종길이가 충분하게 발육한다. 치근 미완성 치아 이식은 무조건 근관치료 하지 않고, 대부분 치수치유를 목표로 하게 된다. 본 증례는 구순열 부위의 과잉치와 함께 상악 우측 중절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로, 방사선사진상 상악 우측 중절치와 측절치의 변위매복을 발견하였으며, 치은내 자가이식술을 시행하여 자발적 맹출을 유도, 정상적 치근발육 및 맹출 후 치열의 양호한 배열을 얻을 수 있었다. The treatment method of impacted tooth is various from simple observation to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methods, autotransplantation is concerned to severe malposed impacted tooth Autotransplantation is the transplantation of embedded, impacted, of unerupted tooth, into extraction socket of surgically prepared in the safe individual Autotransplantation of tooth with ½∼¾ root development provldes a good chance of easily extracted, a littte complication, pulp survival, and complete root formation. Transplantation of uncompleted root apex tooth is aim to pulpal healing, not endodontic treatment. The case which were treated with autotransplantation is reported, and induced normal physiologic eruption and good dental alignment.

      • KCI등재

        여러가지 수복물의 polishing조건에 따른 치수 온도변화

        김재곤,이승영,박종하,백병주,양종숙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수복물의 연마의 중요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수복물의 금속성질의 개선, 변연적합성의 증가 그리고 치태축적의 감소 등을 이유로 시행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수복물에 대한 연마시 열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수부위에 손상을 초래하므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복물의 연마시 회전속도의 차이, 냉각제의 적용 유무, 여러 종류의 수복물의 차이, 간헐적인 연마와 연속적인 연마의 차이 그리고 잔존 상아질의 두께의 정도에 따른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발거된 구치에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 3M co), resin-mod-ified GLC(Dyract, Fuji II LC), 그리고 아말감(Degussa)등으로 충전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서의 연마를 시행,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algam을 건조한 상태에서 연마시 다른 재료에 비해 큰 치수내 온도 상승을 보였다.(P<0.05). 그러나 Z100, Dyract, Fuji II LC간에는 간헐적 수복물 연마와 연속적인 수복물 연마 모두 어떤 경우든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같은 조건으로 연마를 시행했을 때, 간헐적인 연마보다 연속적인 연마를 한 경우가 치수내 온도가 더 크게 상승하였다.(p<0.01). 3. 아말감과 Dyract에 있어서는 잔존 상아질의 차이에 따른 치수내 온도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Fuji II LC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1). 4. 냉각제의 유무에는 관계없이 어떤 경우든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냉각제를 사용한 경우가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도 상승값이 훨씬 작았다.(P<0.01) The importance of finishing and polishing the restoration has been described by several authors. The final step provides for improved metallurgical properties, better marginal adaptation, reduced plaque accumulation. Unfortunately, finishing of the restorations can produce damage from temperature rises at the pulpal wal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emperature can be occurred during the use of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 with or without a water coolant, intermittent or continuous operation, high or low rotation speed, remaining dentin thickness, and various restorative materials. Class V preparations were cut on extracted molars and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Z 100),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Dyract, Fuji II LC), and amalgam. Finishing was done with aluminum oxide coated disc(Sof-lex polishing disc, 3M, US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ise of temperature during polishing of amalgam restorations was the highest among the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polishing with water coolant(P<0.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ctical differences in temperature rises between Z 100, Dyract and Fuji II LC(P>0.05). 2. The intrapulpal temperatur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applied time, and intermittent polishing was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 rises than continuous polishing(p<0.01). 3. The intrapulpal temperatur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lishing regardless of using water coolant. However, polishing with water coola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 in the pulp than not used water coolant(P<0.01).

      • ID-GC/MS에 의한 쌀 중의 잔류농약 인증표준물질

        김유곤,김달호,백병천,이우범 國立 麗水大學校 환경문제硏究所 2001 環境硏究論文集 Vol.4 No.-

        The CRM used i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calibration or analysis equipment when you analyse in material of rice powder or similar matrix. Analytical items were γ-HCH, p,p'-DDE, endosulfan-2, samples of achieved pertreatment analized each component indivisually. Control mode of MS used selected ion monitering(SIM). GC is 6890GC of Agilent Technology company and MS is JMS 700 of Jeol company. MS operating condition was Electron impact ionization with 70eV. 300A, GC operating condition was Column : Rtx-5MS 30m*0.25m ID*0.25um, Oven Temp 90℃(3min)-20℃/min-280℃(2min), Injection port 250℃, splitless, Carrier Gas He with 1mL/min. Water contents was 12.534% and dry mass correction factor 1.143. CRM certified values of the experiment result were p,p'-DDE 0.165±0.011,mg/kg, γ-HCH 0.0129±0.0011mg/kg, endosulfan-2 0.0216±0.0027mg/kg. The numbers following the symbol ± are the numerical values of expanded uncertainties, U=ku_(c) of measurement values preceding the symbol. The level of confidence for the expanded uncertainties are 96% with k=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