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노급 초소형위성 우주환경시험 : 결과 및 교훈

        김해동(Hae-Dong Kim),최원섭(Won-Sub Choi),김민기(Min-Ki Kim),김진형(Jin-Hyung Kim),김기덕(KiDuck Kim),김지석(Ji-Seok Kim),조동현(Dong-Hyun Cho)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9 No.11

        최근 New Space 시대를 맞이하여 초소형위성이 위성시스템 교육용 도구에서 벗어나 민간 우주산업체, 정부 기관 및 군정찰 기관에서도 우주 비즈니스 및 실질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 활용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도 대학을 중심으로 시작한 초소형위성 개발이 점차 민간 산업체를 비롯하여 다양한 주체들이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초소형위성의 임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우주환경시험의 수행 준비 과정과 시험 결과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어 질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 정리되고, 그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자료를 국내에서 찾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개발되고 있는 6U급 초소형위성(SNIPE)의 우주환경시험의 준비부터 시험 수행 과정, 시험 결과 그리고 문제점들을 정리함으로써 나노급 초소형위성(Nanosatellite)을 개발하고자 하는 주체들이 시행착오를 줄이고 임무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recent New Space era, Nanosatellites are being used to carry out space business and practical missions by private space companies, government agencies and military reconnaissance organizations, away from satellite system education tools. In Korea, the development of nanosatellite satellites, which started with universities at the center, is gradually being attempted by various subjects, including private industr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to share the experience and prepare for the space environment test, test results, and the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which can increase the chances of mission success for nanosatellites. In this paper, we expect that the subjects who want to develop the nanosatellite(SNIPE) will be used as useful references for reducing trial and error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mission success by organizing the 6U-class space environment test, test process, test results and problems.

      • 초소형위성 SNIPE(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Experiment) 시제인증모델의 발사환경시험 및 분석

        김민기,김해동,최원섭,김진형,김기덕,김지석,조동현,Kim, Min-Ki,Kim, Hae-Dong,Choi, Won-Sub,Kim, Jin-Hyung,Kim, KiDuck,Kim, Ji-Seok,Cho, Dong-Hyun 한국우주과학회 2021 우주기술과 응용 Vol.1 No.3

        본문은 과학관측임무 초소형위성인 SNIPE(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Experiment)의 시제인증모델(EQM)에 대한 발사환경시험 수행 결과 및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초소형위성 개발 방향에 대해 논한다. SNIPE는 우주기상관측을 포함한 다양한 탑재체를 지닌 6U급 초소형위성으로 4기가 편대비행을 하며 임무를 수행한다. 다수의 비행모델 제작 전 시제인증모델을 통해 먼저 설계 및 제작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제인증모델의 발사환경시험은 2019년 1차 시험이 수행되었고, 여기서 발견된 일부 문제점을 교정하여 2021년에 2차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차례의 시험에서 특이할 점은 1차 시험의 발사관과 2차 시험의 발사관이 다르다는 점인데, 1차 시험용 발사관과 달리 2차 시험의 발사관은 내부의 초소형위성을 고정하는 기능이 있어서 내부 초소형위성이 실제 받는 구조적 하중이 1차 시험에 비해 훨씬 경감되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두 시험의 결과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차후 여타 초소형위성의 구조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results of launch environment tests for the engineering qualification model (EQM) of nanosatellite 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Experiment (SNIPE) for scientific missions and lessons learned for the design of nanosatellites. SNIPE is a group of four formation-flying 6U nanosatellites with a range of payloads for missions including space weather measurement. We developed the EQM to verify the preliminary design prior to fabricating the flight model. Launch environment test of EQM was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in 2019, and all failures were corrected and verified at the second test conducted in 2021. A notable point of the two tests is that the nanosatellite deployer used in the first tes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test. The second deployer has the capability to fix the internal satellite whereas the first deployer just contains and deploys the satellite. Thus actual mechanical loads the satellite receives is reduced for the second test compared to the first test. This work compares the mechanical responses of two tests and proposes general guidelines for structural design of nanosatellites.

      • KCI등재후보

        초소형위성 지상 환경 도킹 시험

        김해동,최원섭,김민기,김진형,김기덕,김지석,조동현,Kim, Hae-Dong,Choi, Won-Sub,Kim, Min-Ki,Kim, Jin-Hyung,Kim, KiDuck,Kim, Ji-Seok,Cho, Dong-Hyun 한국우주과학회 2021 우주기술과 응용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개발 중인 랑데부/도킹 기술검증용 초소형위성의 지상 환경에서의 도킹 단계 시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랑데부/도킹 기술은 우주기술 중 고난이도 기술로서 우주 궤도상에서 상대 물체에 접근한 후 작업을 수행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에어베어링 장치를 이용하여 체이서가 모의 타겟으로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도킹하는 단계의 지상시험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검증된 2차원 평판에서 도킹 단계에서의 추력 제어 알고리즘과 시각 기반 센서를 이용한 상대물체 인식 및 상대거리 추정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추후에는 우주에서의 시험을 위한 3차원 공간에서의 랑데부/도킹 알고리즘으로 확장·개발하는 데 이용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sults of the docking phase test in the ground environment of the rendezvous/docking technology verification satellite under developmen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rendezvous/docking technology is a high-level technology in space technology, which is also very important for accessing and performing tasks on relative objects in space orbit.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ground test results that the chaser finally docks the fixed target using an air bearing device. Based on the thrust control algorithm in the docking phase and the relative object recognition and relative distance estimation algorithm using visual-based sensors validated in this paper, we intend to use them for later expansion to rendezvous/docking algorithms in three-dimensional space for testing in space.

      • 초소형위성 SNIPE 본체 설계 및 개발

        김해동,최원섭,김민기,김진형,김기덕,김지석,조동현,이재진,Kim, Hae-Dong,Choi, Won-Sub,Kim, Min-Ki,Kim, Jin-Hyung,Kim, KiDuck,Kim, Ji-Seok,Cho, Dong-Hyun,Lee, Jaejin 한국우주과학회 2022 우주기술과 응용 Vol.2 No.2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6U micro-satellite Snipe (SNIPE, national name Toyosat; small 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experiment ), which was developed to observe the near-global space environment through polarization fligh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ere described. Snipe performs transversal flight to observe the Earth's surrounding space environment in three dimensions, and aims to simultaneously observe the space plasma density and temperature in the ionosphere, as well as temporal changes in the solar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s. In this way,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test certification model (EQM) and a flight model (FM) to perform the actual mission for at least six months, away from developing a cube satellite for short-term space technology verification or manpower training. Currently, Snipe, which has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a total of four FM and completed all space environment tests, is scheduled to launch 2023.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esign conten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nipe satellite body ahead of launch, and hope that it will be a useful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6U-class micro-satellite for full-scale mission in Korea.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김정겸(Kim, Jeongkyoum),김기덕(Kim, Kiduck),이상선(Lee, Sangs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 운영한 교수자의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함과 동시에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Chen(2016)의 ICCEE 모형을 준용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였던 경험에 대해 자전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 수업의 수업목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온라인 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식으로 결정하였다. 수업내용은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기존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LMS와 e-mail을 기술적 도구로 선정하였다. 기존 수업의 플립드 러닝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수행을 병행하는 교수전략을 수립하였다. 이후 강의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내용의 모듈화와 구체적인 사례가 추가되었으며,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오픈북 기반 시험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와 공평한 시험 응시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이 실현되고 있으며, 학습자를 배려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내용 전달에 치중한 강의자료의 개발과 평가, 상호작용 감소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소그룹 토론활동과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간 분배,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online class and to seek a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n instructor who changed their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reason, the experiences of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as explored in the form of an autobiographical case by using Chen (2016) s ICCEE model. As a result, in preparation for online classes, researcher maintained the goals of previous classes and employed the type of non real time online classes. The contents of classes remained the same, and LMS and e-mail were selected as new technical tools. To achieve similar effects as flipped learning in previous classes, a teaching strategy combining video contents and task performance was established. Since then, modularization of contents and specific cases have been ad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cture materials, and open book test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to secure fairness for student evaluation.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online courses, various practices were carried out for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fair examinations. As a result, researchers confirmed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are being realized through online classe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continuous efforts considering learners. However,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evaluation, and reduction of interaction of lecture materials focused on content delivery were identified, and real-tim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time distribution for emotional interaction, and application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mitigate th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