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직혁신에 관한 연구모형의 개발과 연구명제의 설정

        최만기(Man Kee Choe),이지우(Ji Woo Lee) 한국경영학회 1998 經營學硏究 Vol.27 No.5

        As the 21st, century approaches, globalization and change to 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have accelerated hypercompetitive environments. Under such environments, to survive and grow organizations should maintain continuous innovation. Although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attracted many scholars and managers for long time, the research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not been accumulated because of nonexistence of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odel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study, therefore, has provided underlying logics of designing Choe and Lee`s integrated model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based on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studies. This study has also generated important propositions underlying the model focusing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per se. This study. further, has exemplified hypotheses derived from each proposition for future studies.

      • 담배 박각시나방 Manduca sexta의 계획된 세포죽음동안의 Proteasome의 변화

        이구봉,우기민,조만희,이상한,장예진,김창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6 No.2

        모든 진핵세포의 주요 단백질 분해요소인 proteasome은 변성되거나 상해된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세포주기를 비롯한 다양한 대사과정들의 주요 효소들을 필요 시 적절히 분해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필수적인 효소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proteasome은 특정 포유동물 조직의 계획된 세포죽음(programmed cell death 또는 apoptosis)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본 연구에서는 담배 박각시나방(Manduca sexta)의 변태과정에서 일어나는 마디간 근육(intersegmental muscle)의 급격한 파괴과정동안의 proteasome의 변화양상을 발현 및 단백질 분해활성을 중점으로 조사하였다. 정상근육과 파괴직전의 근육으로부터 proteasome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분해활성이 최소한 6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proteasome의 주요 구성성분들의 발현 변화를 각각의 항체(antibod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세포죽음 직전에 급격히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구성성분들의 발현증가가 proteasome 복합체 형성을 통해 활성의 증가를 일으키는지 조사한 결과, 세포내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 분해활성을 담당한다고 여겨지는 26S proteasome(2,000 kDa)의 위치에서 커다란 활성의 변화와 구성성분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담배 박각시나방의 계획된 세포죽음 현상은 특정 호르몬의 신호에 의해 proteasome의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여 26S proteasome의 복합체 형태로 세포 내 대부분의 단백질들을 분해함으로써 30시간이내 근육조직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roteasome을 구성하는 특정 구성성분의 과다 발현이 세포의 단백질 분해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기 위하여 쥐의 fibroblast cell에 26S proteasome의 ATPase 구성성분인 m56 유전자를 삽입한 후 세포의 추출물로부터 proteasome의 양과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roteasome을 초원심분리로 추출하여 관찰한 결과, 담배 박각시나방의 경우와는 달리 유전자 삽입 세포는 모든 실험에서 정상 세포와 전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고 매우 다양한 기능을 가진 proteasome은 40여개의 구성성분들의 발현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고 있으며, 특정 세포죽음 자극(apoptotic signal)이 왔을 때 일련의 구성 성분들의 발현과 26S proteasome 복합체 형성이 증가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연구는 비정상적 단백질 분해나 세포죽음을 동반하는 여러 질환들의 원인과 현상을 규명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인 치료의 방향도 제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간의 혈장아포지단백 A-I에 특이성을 지닌 단일클론항체 A-I30의 light chain의 가변부위를 coding하는 cDNA의 클로님

        이상한,우기민,조만희,장예진,김창세,김정경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2

        I prepared a monoclonal antibody (mAb) A-l30 to HDL apolipoprotein A-l with the ultimate goals of expressing the valuable immunodiagnostic single-chain Fv (scFv) in Escherichia coli. The binding specificity of mAb A-l30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From the hybridoma cell line secreting mAb A-l30, poly(A)+ RNA was prepared and used as a template for cDNA synthesis and cloning.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variable regions of the heavy and light chains were members of mouse heavy chain subgroup ⅡA and κ light chain subgroup Ⅱ, respectively.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s with mouse immunoglobulin genes listed in the GenBank data base showed that the cDNAs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 β-Carotene 이 혈중 효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한,우기민,조만희,장예진,김창세,김현철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ethanol and β-carotene on the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The normal white S.D ra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 0.9% NaCl administration and 20% ethanol administration were referred to as group A, 20% ethanol and 50% β-carotene mixture administration was group B and 50% β-carotene administration was group C for the 30 day-feeding experimen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ing: 1. The blood lipid concentration was most highly increased in group A, was almost normal in group B,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goup C. 2. The bloo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A,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goup B and C. 3. The blood β-carote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A, and slightly decreased in group B. Surprisingly it was increased in group C.

      • 1998-1999년 절기에 부산지역에서 유행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분리

        정영기,정명주,이주연,안정배,김지희,김만수,조경순 동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0 No.1

        Investigate the epidemics for influenza outbreaks. The outbreak patter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atients housed in the 10 designated hospitals was monitered to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us isolates are as follows. 232 strains of influenza virus was isolated from the oral specimen of 1,320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in Pusan from Oct. 1998 to Jun. 1999. Among these isolates, 222 strains were A-type and the rest were B-type. The outbreak pattern for sex-and age-group is as follows. The male outbreak was similar to the female outbreak: male outbreak, 47.4% and female outbreak, 52.5%. Most of the patients were less than 10 years old. The monthly influenza outbreak was consistent from Dec. 1998 to Apr. 1999. and The 113 strains from the A-type isolates were A/Sydney/05/97(H3N2)-like, the 109 strains were A/Beijing/262/95(H1N1)-like, and all of the 10 B-type isolates were B/Harbin/07/94-like.

      • Lumbricus rubellus의 내열성 지질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우기민,이상한,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여러 가지 chromatography법들(anion exchange, hydrophobic interaction,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Lumbricus rubellus로부터 지질분해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SDS-PAGE와 Superose-12 gel filtration을 통하여 32 kDa의 단일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정제된 Lumbricus rubellus의 지질분해 효소를 Lumpase Ⅰ (Lumbricus + lipase Ⅰ)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 효소는 FDA를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10μM의 높은 친화도를 보였다. 또한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상품화된 다른 지질분해효소와 그 특이적 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최소한 200배 이상 높은 단위활성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가져 여러 가지 지질 기질들을 분해하였다. 높은 온도(60℃)에서 Lumpase Ⅰ의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다른 내열성 지질분해효소처럼 한 시간 이상 그 활성이 잘 나타내어 열에 강한 지질분해효소로 판명되었다. 여러 가지 화학 반응물들의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Lumpase Ⅰ은 serine을 활성 부위(active site)로 가지고 SDS같은 detergent에 강한 효소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제된 Lumpase Ⅰ은 지질분해효소를 이용한 의약산업, 환경산업, 식량산업, 세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효소로 여겨지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결과지식의 요약 횟수에 따른 운동기술 학습효과

        김기웅,이만령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92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49 No.-

        The number of summary KRs was systematically manipulated in a 4×6 factorial design(Condition×Block)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 in order to test the guidanc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guidance hypothesis, it was expected that the degree of the skill learning effect might be inver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KRs summarized in the practice trials. That is, too much information given through increasing the number of summary KRs may cause dependency-producting effect on the learner, thus degrading learning. The analyses of data were in negation of the guidance hypothesis. Learning effect as evidened in the comparison of retention tests was largest when the number of summary KRs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s were evident among groups.

      • Lumbricus rubellus에 존재하는 Lumbrokinase의 Ubiquitin-conjugate 분해활성에 관한 연구

        우기민,이상한,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본 연구에서 Lumbricus rubellus에 존재하는 강력한 fibrinolytic 효소인 Lumbrokinse들을 여러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부분정제하고 그들의 생화학적 성질들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L. rubellus의 단백질 추출물은 fibrinogen, lactalbumin, BSA, casein 등 다양한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활성을 가졌으며, 그들의 활성은 poly-lysine같은 poly-cation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화 정도는 poly-cation들의 길이에 의존적이며 poly-lysine의 경우 이성체에 상관없이 모두 활성화시켰다. DEAE-Sepharose를 통하여 확인된 3 종류의 분해활성으로부터 2 종류의 서로 다른 Lumbrokinse들을 Phenyl-Sepharose, Superose-12 크로마토그래피들을 통하여 부분정제하여 E-I, E-III라고 명명하였다. SDS-PAGE와 gel filtration을 시행하였을 때 그들은 각각 33 kD과 38 kDa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된 단일체로 규명되었다. E-I의 fibrinogen을 분해하는 특이적 활성은 poly-lysine이 없을 경우 3.75 ng hydrolysis/ng enzyme/20 min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poly-lysine이 첨가될 경우 75 ng hydrolysis/ng enzyme/20 min로 활성이 20배가량 증가하였다. 반면 E-III는 poly-lysine이 없을 경우 20 ng hydrolysis/ng enzyme/20 min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poly-lysine의 첨가시 129 ng hydrolysis/ng enzyme/20 min로 약 6.5배의 증가를 보였다. 0.2 M의 KCI은 poly-lysine에 의한 fibrinogen 분해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펩타이드 분해활성은 E-I와 E-III가 서로 다른 영향을 받았다. E-III는 poly-lysine에 의해 증가된 활성이 억제받는 반면, E-I는 오히려 펩타이드 분해활성이 KCI에 의하여 10배가량 증가되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두 효소가 서로 다른 분해기작과 조절기작을 가짐을 의미한다. 정제된 E-I와 E-III는 놀랍게도 ubiquitin이 결합된 일련의 단백질들을 분해하였으며, 이 활성도 또한 poly-lysine에 의하여 증가되었다. 또한 ubiquitin-conjugate의 분해활성은 PMSF에 의하여 억제받으므로 serine계의 단백질 분해효소이며 IAA에 의하여 억제받지 않으므로 활성화 부위에 sulfide 기가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fibrinogen의 분해에서와 같이 이들의 활성도 KCI에 의해 억제되었다. Ubiquitin-conjugate들은 분해된 후 자유 ubiquitin이 반응산물로 나타났으므로 E-I과 E-III는 포유동물들에 존재하는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UCH)의 새로운 종류이거나 26S proteasome을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단백질 분해효소일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 Carotenoids 식이와 알코올이 혈액학적 성분과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만희,김연선,이상한,우기민,장예진,김창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9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5 No.2

        Alcohol is well known agent which can damage the human tissues such as liver via stimulating lipid peroxidation and storage, denaturation of macromolecules, and inhibiting protein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carotenoids in addition to vitamins A, C, E and lipoic acid, play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these oxidative damages as well as preventing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precise effects of alcohol administration into rats on the antioxidative functions of dietary carotenoids and isolated β-carotene, and to find out any parameters to uncover more detailed biochemical mechanisms of these agents. For these purposes, two different approaches were performed: 1)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hematological parameters (e.g., total proteins, A/G ratio, ALT/AST et. al) and statistical correlations among inter- and intragroups, 2) examination of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by a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ing; (1) Carrot diet for one week caused a slight increase in albumin. A/G ratio and AST levels, and a slight decrease in ALT, ALP, BUN and uric acid levels. Two-week alcohol administration following carrot diet increased total proteins, albumin A/G ratio and BUN levels. However, both groups were shown to have little significant changes in cholesterol concentrations. (2) Cheese diet for one week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proteins, albumin, AST, ALP, uric aci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A/G ratio and glucose concentrations. However, two-week β-carotene diet following cheese intake increased total proteins albumin, A/G ratio, BUN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hereas AST, ALT, ALP and uric acid levels were decreased. (3) Alcohol administration for one week caused an increase in AST activities and a decrease in total proteins, albumin, ALT, ALP and BUN levels. A successive β-carotene diet following alcohol administration increased total proteins, albumin, ALT, ALP and BUN levels, whereas decreased AST and uric acid levels.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in A/G ratio,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both groups. (4) β-carotene diet for one week caused a slight increase in albumin, glucose, AST and uric acid levels, and a slight decrease in ALP and BUN levels. Two-weeks alcohol administration following β-carotene diet increased albumin, glucose, BUN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hereas decreased AST, ALT, ALP and uric acid levels. (5) Although the path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liver did not reveal significant changes, cheese diet group (CH-BC/1-CH) was shown to have some lipid deposits. Some results were unexpected and different from typical hematological changes shown by other researchers. Nonetheles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liver damage or hepatism caused by alcohol intake affects many kinds of biochemical metabolisms, which results in significant changes in many hematological parameters. In addition, dietary carotenoid and isolated β-carotene were shown to have protective roles against the biochemical changes by alcohol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