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8년간(2001-2008)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진료현황 및 수익분포 변화에 대한 조사

        손유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The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istry in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has been changing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developments in dental materials and increasing number of private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nging patterns of pediatric dental treatment in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for pediatric dentistry. Patient distribution and practice trends were reviewed based on the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1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up to 2005 and decreased in 2006, and has remained constant up to 2008. 2. The proportion of preventive and orthodontic treatment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restorative and pulpal treatment decreased. 3. In restorative treatment, amalgam restoration decreased and resin restoration increased. 4. Frequency of sedation decreased in 2006, 2007 and increased in 2008. 5. Frequency of general anesthesia increased up to 2008. 소아치과 전문 지역 의원의 증가, 소아치과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 변화, 치의학의 발전, 소아치과 진료 범주의 확대 등에 의해 최근 소아치과의 진료 양상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대학병원 소아치과 및 소아치과 전문 지역 의원의 진료분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1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초진 및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종합의료정보시스템(OCS)을 통하여 1년간의 외래환자집계 및 수가코드별 진료 행위 건수 및 수익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체로 증가하다 2006년에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2006년도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2001년에는 예방치료가 6.84%, 수복치료가 49.96%, 치수치료가 9.64%, 외과치료가 10.78%, 교정치료가 22.78%를 차지하였으나, 2008년에는 예방치료가 15.40%, 수복치료가 28.97%, 치수치료가 3.28%, 외과치료가 14.83%, 교정치료가 37.52%를 차지하여 수복치료와 치수치료의 비율은 감소하고 예방치료와 교정치료는 증가하였다. 3. 수복치료의 비율에 있어서 아말감과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 및 기성금관수복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레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4. 진정요법하 치과치료는 2005년까지 증가하다 2006년, 2007년에는 감소하였고, 2008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5. 전신마취하 치과치료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 KCI등재

        우리 나라 재해 의료의 문제점 : 수원시 재해 대응 훈련의 평가를 통하여 본 ANALYSIS OF EMERGENCY RESPONSE EXERCISE IN THE MOCK DISASTER IN SUWON

        곽동진,정윤석,진재우,조준필,김 철,김행재,배택환,김준식 대한응급의학회 1995 대한응급의학회지 Vol.6 No.1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are serious enough to paralyse the functions of the nation or regional distinct and affect the property and lives of numerous citizens. The first two hours after occurrence of the disaster are critical for determining death or permanent disabilities of the casualties. The current Disaster Medical Service(DMS) System in our country adopts mainly civil defense model which focuses the cause of the accident, compensation of the victims, or reconstruction. So in the initial phase of disaster, the appropriate rescue and emergency treatment is not provided effectively. In order to assess and reorganize the current status of DMS System in Korea,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lanned and conducted an emergency response exercise in Suwon city on April 28, 1995. The exercise, which took place near the Kyunggido Culture and Art Center, coordinated the efforts of the Suwon Fire Department and other related agencies. As well as providing training on emergency response, the exercise was valuable for identifying areas of weakness which will be address in the future.

      • KCI등재

        Silorane-based 복합레진의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

        손유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silorane-based 복합레진의 색안정성을 기존의 methacrylate-based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Silorane-based 복합레진인 P90(3M ESPE, USA), methacrylate-based 복합레진인 Tetric Ceram(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Z250, Z350(3M ESPE, USA)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증류수, 커피, 레드 와인, 카레 용액에 담가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 후 색 변화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고 실험 전후의 색상차이(ΔE*_(ab))값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카레 용액 > 레드 와인 > 커피 > 증류수의 순으로 레진 시편의 변색이 크게 나타났다. 2. 네 가지 종류의 레진을 비교하였을 때, Z350 > Z250 > Tetric Ceram > P90의 순으로 변색이 크게 나타났다. 3. 카레 용액의 경우 네 종류의 레진 모두에서 침지 1일 이후 수용도 역치 이상(ΔE*_(a)b>3.3)의 변색이 나타났다. 4. 레드 와인의 경우 Z350, Z250, Tetric Ceram에서 침지 1일 이후, P90에서는 침지 28일 이후에 수용도 역치 이상의 변색이 나타났다. 5. 커피의 경우 Z350에서 침지 1일 이후, Z250에서 침지 3일 이후, Tetric Ceram에서 침지 7일 이후에 수용도 역치 이상의 변색이 나타났으나 P90에서는 침지 28일 이후에도 수용도 역치 이상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lor stability of new silorane-based composite resin compared with methacrylate-based composite resins after immersion in 3 staining solutions. One silorane-based composite(Filtek P90) and 3 methacrylate -based composites(Filtek Z250, Filtek Z350, Tetric Ceram) were evaluated. Twenty disk-shaped specimens(10×2mm) of each of 4 composite resins were prepared. The specimens were then divided into 4 groups of 5 specimens each and immersed in 3 staining solutions( coffee, red wine, curry solution) or distilled water(control) for 28-day test period. Color of the specimens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Color Eye 7000A) using CIE L*a*b* color space relative to CIE standard illuminant D65 at baseline, 1day, 3days, 7days, 14days, 21days and 28days after staining. The color differences( ΔE*_(ab))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mean color changes(ΔE*_(ab)) of the composites were greatest in curry solution, then red wine, coffee and distilled water, in decreasing order. 2. The mean color changes(ΔE*_(ab)) of the composites were greatest in Z350, Z250, Tetric Ceram and P90, in decreasing order.

      • KCI등재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관계

        김현진,현홍근,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많은 연구에서, 유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에는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하악 전치부에서, 유치의 선천적 결손에도 불구하고, 그 계승 영구치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증례가 임상적으로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에서 하악 유절치와 그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평가하는 데에 있다.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9월 5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한 6세 이하의 남녀 어린이 총 14,307명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의 치아양상을 관찰하여 유치와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 관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 유절치의 결손률은 0.24%였으며, 하악 유절치가 존재 시 후속 영구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7163.5였으며, 유절치의 결손 시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 0.79였다. 2. 하악 유절치 결손의 증례 중 후속 영구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44.12%였다. 유절치의 양측 결손 시 후속 영구치가 하나라도 존재할 승산(odds)은 유절치 편측 결손 시에 비하여 1.57 배였다. 3.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유절치의 편측 결손일 승산(odds)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2.2 배였다. 또한, 유절치 결손이 있을 때 후속 영구절치가 존재할 승산(odds)은 남자가 여자의 경우에 비하여 2.22 배였다.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However, especially in case of lower anterior region, we can observe the existence of permanent teeth even though their precedent primary teeth were missed at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in Korean children. Total of 14,307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eoul, Korea from January 1st 2005 to September 5th 2008 were radiologically examined using the panoramic x-ra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lower anterior teeth and their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of congenitally missing lower anterior teeth in primary dentition was 0.24%. The odds ratio of both the primary and permanent anterior teeth being present was 7163.5 and only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being present was 0.79. 2. The percentage of all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was 44.12% in cases of missing lower primary anteriors. The odds ratio of at least one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in cases of bilateral primary anterior teeth missing was 1.57 times more common than in cases of unilateral primary teeth missing. 3. The odds ratio of primary missing teeth being unilateral was 2.2 times higher in females. Moreover, the odds ratio of succedaneous permanent teeth being present in cases of primary teeth missing was 2.22 times higher in males.

      • KCI등재

        성염색체 연관 저인산혈증성 구루병 환자의 증례 보고

        이수진,김영재,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김정욱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X-linked hypophosphatemic rickets(이하 XLH로 기술)는 구루병의 일종으로 임상적으로는 비타민 D의 대량 투여로도 개선되지 않고 성염색체 우성 유전되는 유전성 질환이다. 저인산혈증성 구루병,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이라고도 불린다. 본 증례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XLH로 진단받은 6세 6개월의 여아로,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매복을 주소로 소아치과에 의뢰된 환자이다. 환아는 XLH 환자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보행 장애, 다리의 휨현상, 작은 키, 손목, 무릎, 발목 관절의 종창 등이 관찰되었다. 또 치과적 특징으로 임상적으로 건전한 치아에서 자발적인 치근단 농양과 농루가 발생하였고 치아의 맹출지연, 우상치 (taurodontism), 근단공의 폐쇄 지연, 확대된 치수강 등을 나타내었기에 이전 문헌 고찰을 통하여 XLH 환아의 특징을 살펴보고 본 환자의 의과적, 치과적 특성 및 매복된 치아의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XLH(X-linked hypophosphatemic rickets) is a form of rickets which is resistant to the usual dose of vitamin D and inherited in a X-linked dominant manner. It is also known as vitamin D-resistant rickets or familial hypophosphatemic rickets. Here we report a 6-year-and-6-month-old female patient of XLH who is diagnosed with in SNUH. She was referred from local clinic for impaction of maxillary left permanent incisor and its treatment. She presents bowing deformities of the legs, short stature, enlargement of wrist and ankles and spontaneous dental abscesses of clinically sound teeth, delayed eruption, taurodontism, delayed apical closure, enlarged pulp chambers, and absent or poorly defined lamina dura.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f XLH and report the denta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atient.

      • Systemic Sclerosis Following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Non-Hodgkin's Lymphoma

        Kim, Hyun-Jung,Kim, Sung-Han,Kim, Chan-Kyu,Roh, Hak-Jae,Jin, So-Young,Jung, Jin-Tae,Lee, Nam-Su,Lee, Kyu-Taeg,Park, Sung-Kyu,Won, Jong-Ho,Hong, Dae-Sik,Park, Hee-Sook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3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8 No.2

        Autoimmune disease can develop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SCT), and of these systemic sclerosis usually result from allogeneic SCT. However, no case has been reported of systemic sclerosis developing after autologous SCT. We experienced a case of systemic sclerosis in a patient 3 years afte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CT for recurrent non-Hodgkin's lymphoma (NHL). The pathogenesis of the condition is unclear, though possible mechanisms may involve an imbalance of immune regulation induced by thymic damage, hormonal factors, a genetic predisposition, or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한국인 폐경여성에서 비타민 D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및 Interleukin-6 유전자 다형성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권동진 ( Kwon Dong Jin ),유영옥 ( Yu Yeong Og ),김대훈 ( Kim Dae Hun ),조현희 ( Jo Hyeon Hui ),박원종 ( Park Won Jong ),김장흡 ( Kim Jang Heub ),임용택 ( Im Yong Taeg ),김은중 ( Kim Eun Jung ),이진우 ( Lee Jin U ),김진홍 ( Kim Ji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환인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져 왔다. 특히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가 증가하여 발생하는데 비타민 D, 에스토겐, TGF-β와 IL-6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저자들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폐경기 크리닉을 방문한 161명의 자연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요추, 대퇴골경부, Ward 삼각주, 대퇴돌기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 골감소증군과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고 골다공증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D 수용체 Fok Ⅰ, 에스트로겐 수용체 Pvu Ⅱ, TGF-β1 T_(869)C 및 IL-6 G_(174)C 유전자의 다형성을 관찰하고, 이러한 유전자들의 단독 또는 복합적인 다형성이 골밀도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저자들의 연구 결과에서 대상 폐경기 여성의 유전자형 분포 양상은 비타민 D 수용체가 FF 32.9%, Ff 50.9%, ff 16.2% ;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PP 13.6%, Pp 48.4%, pp 38.0% ; TGF-β1은 T/T 74.1%, T/C 12.4%, C/C 13.1% ; IL-6 유전자는 G/G 99.4%, G/C 0.6%를 보였고,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군과 골다공증군에서 FF 유전자형의 빈도는 유의하게 낮은 분포 양상을 보였으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TGF-β1 유전자형에서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IL-6 유전자는 골감소증군에서 G/C 유전자형이 1예만 관찰되었다. 단일 유전자형과 골밀도 관계에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의 FF 유전자형은 Ff와 ff 유전자형보다 모든 부위에서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TGF-β1 유전자의 단일 유전자형과 골밀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합 교차유전자형과 골밀도 관계에서 비타민 D 수용체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FFPp 유전자형은 FfPp, Ffpp와 ffpp 유전자형보다 요추, 대퇴골경부 및 Ward 삼각주 부위에서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비타민 D 수용체와 TGF-β1 유전자의 FFTT 유전자형은 FfTT와 ffTT 유전자형보다 대퇴골경부 및 Ward 삼각주 부위에서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 폐경여성에서 비타민 D 수용체 Fok Ⅰ 다형성은 단독 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RvuⅡ, TGF-β1 T_(869)C 다형성과 복합적으로 골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receptor (VDR), estrogen receptor (ER),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d interleukin-6 (IL-6) gene polymorphism,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Materials and Methods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t the VDR Fok I, ER Pvu Ⅱ, TGF-β1 T_(869)C and IL-6 G_(174)C gene sites, and BMD at the lumbar spine, proximal femur were analyzed in 161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on the basis of the T-score valu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sults :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VDR, ER, TGF-β1 and IL-6 gene polymorphism was as follows : FF 32.9%, Ff 50.9%, ff 16.2% ; PP 13.6%, Pp 48.4%, pp 38.0% ; T/T 74.1%, T/C 12.4%, C/C 13.1% ; G/G 99.4%, G/C 0.6%.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FF genotype among normal, ostemopenic and osteoporotic group wer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ER and TGF-β1 genotypes among three groups were observed. BMD at all sites in the FF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Ff and ff genotyp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ER and TGF-β1 gene polymorphism, and BMD. By combining VDR, ER and TGF-1 genotypes, BMD at lumbar spine, femur neck and ward triangle in the FFPp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FfPp, Ffpp and ffpp genotypes, and BMD at femur neck and ward triangle in the FFTT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FfTT and ffTT genotype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VDR Fok I polymorphisms, singly and in relation to ER Pvu Ⅱ and TGF-β1 T_(869)C polymorphism, may influence bone mas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