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일제말기 인촌 김성수 친일 논란에 대한 재검토

        김진경 ( Jin Kyeong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민간단체와 정부기구가 김성수의 일제말기 행적에 대해 친일반민족행위였다고 결정한 상태다. 그러나 동시대인의 증언을 고려하지 않고 문헌 중심으로 행적을 규명했다는 한계가 있다. 해방직후 김성수는 친일파로 인식되지 않았다. 김성수가 의혹을 받게 된 것은 1945년 10월 김성수 명의의 학병지원 독려 기고문이 수록된 『반역자와 애국자(Traitors and Patriots)』라는 영문 팸플릿이 배포된 이후다. 이 선전선동 유인물을 배포한 것은 박헌영 등이 김성수를 ‘친일파’로 낙인하여 건국과정에서 배제시키려 했기 때문이다. 김성수 대신 연설문을 도맡아 썼던 측근 유진오는 그 글을 보고 당황한 김성수에게 그 글은 『매일신보』 기자가 쓴 것이라고 밝힌다. 미국학자 브루스 커밍스는 자료검증을 하지 않아 김성수와 관련해 결정적인 잘못을 저질렀다. 일부 학자들은 김성수가 하지 않은 행위까지 증거로 조작했다. 자료검증을 하지 않은 채 김성수의 친일을 ‘증거’하려는 시도는 오류투성이의 저작물을 양산했다. 김성수 친일의 자료는 총독부 기관지의 기사와 친일단체 임원 명단이 전부다. 총독부 기관지의 기사는 일제의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왜곡되고 날조돼 ‘증거’로 삼을 수 없다. 친일단체에도 전문학교 교장이자 조선인 유력자로서 이름이 도용됐다. 결국 김성수의 일제 말 행적이 이전과 다르게 비춰지게 된 것은 1937년 중일전쟁으로 전시상황이 돼 김성수에게 가해진 일제의 압력이 커졌기 때문이었다. 특히 1943년 10월 학생들의 학병지원과 관련된 새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교장직을 맡고 있는 김성수가 기사에 이전보다 더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총독부의 입맛대로 기사 왜곡과 날조가 이루어졌다. 김성수의 친일을 주장하는 저작물들은 동시대인의 증언을 한마디도 담지 않았다. 친일의혹을 해명하는 증언에 일부 문제가 있다고 기사들이 왜곡되거나 날조되지 않았다고 하는 것도 비논리적이다. 김성수에게 책임을 묻자면 자신의 이름도용이나 기사날조를 묵인했다는 것이다. 김성수 본인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행적’이 친일행위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기도하다. 일부 주장과 같이 김성수가 동아일보가 폐간된 뒤 보성전문을 살리기 위해 일제에 협력했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 동아일보 기자 출신 박학보는 김성수가 민족과 나라를 위해서라면 재산이나 지위에 연연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유진오는 김성수가 폐교의 위협을 무릅쓰고 일제 부역자아들의 입학 청탁을 거절했듯이 보성전문은 김성수에게 신념을 위해 포기할 수 있는 ‘사업’이었다고 보았다. 김성수의 신념은 친일과 반일을 뛰어넘는 차원의 것이었다. Both non-governmental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branded Sungsoo Kim``s colonial past as having been a part of pro-Japan collaborative activities during the wartime mobilization of 1937-45. However, such presumptions were made based only on documents, while not regarding any of the statements made by his contemporaries. He had a good nationalist reputation right after Korea’s liberation. He became suspected of being pro-Japanese after a pamphlet entitled 『The Traitors and the Patriots』 was distributed in October, 1945. The pamphlet contained a speech by Sungsoo Kim, containing a message of encouragement to Korean students to join the Japanese army in 1943. It was an article published in the colonial press, the Maeil Sinbo. Political radicals, represented by Heon-yeong Park used the pamphlet to exclude Sungsoo Kim from the course of nation building by branding him as a pro-Japan collaborator. The actual speech writer Jin-oh Yoo explained to the confused and shocked Sungsoo Kim that the article had been written by a reporter from Maeil Sinbo. Bruce Cummings, a distinguished American scholar, made a great mistake by not having verified the documents published about Kim``s collaboration. Some Korean scholars even made false evidences of his collaboration acts. All attempts and documents made to falsely accuse Kim of having been pro-Japan made complete books full of errors. The only evidence of his collaborative acts is articles in the colonial press and a list of executive names of pro-Japanese organizations. Because the articles in the colonial press were distorted during the oppressive wartime periods, it cannot be used as ‘evidence’ for acts of his collaboration. His name was falsely used in executive lists of pro-Japanese organizations. Ultimately, reasons for why Kim’s activities of past-colonial period seem different from that of before, is because of increased pressures from the colonial govern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July, 1937. Especially, as the new special volunteer recruitment system was set in motion in October, 1943, articles of Sungsoo Kim, president of Posung College, appeared more often in the colonial press. Articles in the colonial press were distorted and twisted as the colonial government had wanted. The writings claiming of his collaboration did not contain a single statement from contemporaries. It is illogical to say the articles weren’t distorted because the statements asserting his innocence have some errors. If Sungsoo Kim were to be held responsible, his fault would only be that he neglected to correct the act of people falsely using his name or acquiescing about false articles about his collaboration. It is also a problem that his whereabouts, which he himself was unaware of, is perceived as having done pro-Japan collaborative activities. Some assertions that Kim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to maintain Posung College, after the discontinuance of the Dong-A Ilbo, has no grounds. Hak-bo Park, a former Dong-A Ilbo reporter, evaluated Sungsoo Kim as a man who would gladly give up his fortune and social status for his country. Jin-oh Yoo saw Posung College as a business to Kim, a business Kim could give up for his beliefs. On one occasion, Kim had risked losing his college by having refused the admission of a collaborator``s request for his son``s. Sungsoo Kim’s belief in righteousness was beyond that of pro-Japanese and anti-Japanese sentiments.

      • KCI등재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김진희(Kim Jin-hee)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8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ince 1910's, Kim Eok played a crucial role as a translator for foreign literature and theory. During the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Kim realized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and he is considered an intellectual who, as opposed to other contemporary translators, performed a bulk of translations from various countries. He was in the lead of balancing content and form, reforming he literary circles of translation in which there was abundance of arbitrary interpretations and content-concentrated translations. However, Kim Eok's translated works have been devalued by reason of erroneous and liberal translation of original works and inapt understanding. Researchers generally examine original and translated texts in tandem, after which they point out problems of the translations and attribute them to the translators' lack of capacity. The study of this paper presupposes that in-depth understanding of translated texts can be carried out only wh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go in parallel. It argues that the negative evaluation for Kim's translations can be reconsidered through the study of theory. Kim argued for 'creative liberal translation,' a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is standpoint. This paper particularly looks into how symbolism, which Kim embraced, influenced Kim's view on translation. The acceptance of symbolism and the theory of translation are discussed in regard to the theory of translation maintained by Bejamin, a German literary critic who lived around the same time, in his book The Task of the Translator. The paper also examines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in the sense that the act of translating foreign languages expands and deepens a mother tongue,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form and develop the self-identity. Kim's viewpoint on translation, which searches for the nature of poems, found modern poetic language for the Korean poetry, which was possible due to his exploration into language that represents this nature. Translating the western poems in the initial stage of modern literature implies admission and conveyance of heterogeneous culture, beyond simple written text, and creation of new culture. Kim Eok's translated works shows the creativity of cultural translation that is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es. The literary world after 1920's, via translations, could realize the identity of modern literature by means of dialogue with others, i.e. dialogue between tradition and the West. Furthermore, it could have a foundation in creation of new culture. Along these lines of modern literature,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presented ‘creative liberal translation’ and ‘creative translation’ as the task and direction for those who do the translation, including himself. It was an aspect of cultural action that Kim's theory evidently showed through translation.

      • KCI등재

        제이피아이헬스케어(주)에 대한 사례연구

        김진원(Jin-Won Kim),신제구(Je-Goo Shin) 한국경영사학회 2022 經營史學 Vol.102 No.-

        본 연구는 제이피아이헬스케어(주)의 기업역사에 대해 창업자인 김삼조 회장의 경영 시기(1980~2002)와 2세 경영자인 김진원 사장의 경영 시기(2002~2019) 중에서 회사의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들을 연대기별로 선정하여 경영자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특히 김진원 사장의 경영 시기 동안 진행되었던 주요 사건들에 대해 실제 의사결정을했던 경영자가 직접 그 배경과 의사결정 이유, 그리고 그에 따른 성과에 대해 직접 설명한 논문은 매우 드문 만큼 이번 연구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김진원 사장이 기업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서 자원기반관점 이론을바탕으로 경영자의 자질, 기업 내부와 연관된 사람과 조직, 그리고 기업 외부와 연관된시장전략들과 관련한 주요 사건들을 선정하여 서술하였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를 통해 실제 중소기업을 성공적으로 경영했던 경영자가 그 기업의 역사 중 주요 사건들에 대해 타인들은 알 수 없는 의사결정 과정을 직접 서술함으로써다른 중소기업 경영자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2세 경영자가창업자의 사후에 어려워진 기업의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여 결국 수출중심의 강한 중소기업으로 회사를 성장시켜 나갔던 주요 과정들에 관한 서술은 유사한 상황에 있는 중소기업경영자들이나 가업을 물려받을 2세 경영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판단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JPI Healthcare during the period of leadership by the founder, Mr. Sam-Jo Kim (1980~2002), and by his successor, Mr. Jin-Won Kim (2002~2019). Mr. Jin-Won Kim carefully selected some key events that impacte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JPI Healthcare during his leadership period, annotating them with his own narratives about the internal reason and background behind his business decisions. Since primary self-study of a business leader is exceptionally rare,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valuable. Additionally, Mr. Jin-Won Kim, a capable business leader himself, chose and described some important events related to three valuables that impact business performance: competency of execu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human capital, and effectiveness of market strategy based on Resource-based view theory. Therefore, this study will aid business leaders in SME(Small-Medium Enterprise) who are seeking appropriate solutions to overcome difficult business situations or strategies to develop their companies into strongly globalized SMEs. Furthermore, there are many practical implications available for future business leaders who are planning to succeed enterprises.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김북원(金北原)의 문학사적 복원과 해방기 활동 연구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8

        남북한 문학사에서 김북원에 대한 소개 및 평가는 해방 전 문학성과를 봉인한 채, 한국 전쟁기 이후의 성과에 집중되어 왔다. 이는 해당 작가의 자료를 남한과 북한이 비교 논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북원의 해방 전 문단 활동이 비교적 일찍부터 시작되었음을 필명을 찾아 밝히고 창작의 영역이나 경향 역시 다양했음을 자료 발굴 및 제시를 통해 논의함으로써 김북원에 관한 전체적 연구의 토대 마련을 시도했다. 그간 남한의 아동문학사에서 『별나라』에 실린 아동소설 및 동시의 작가로 알려진 필명 ‘북원초인’이 김북원임을 북한의 아동문학사와 비교하고, 1930년대 김북원의 농업학교 재직 경험 등을 통해 밝혔다. 그리고 소설로 알려진 「완구」가 꽁트임을 밝혔고, 『삼천리』에 추천된 「유랑민」이라는 소설을 통해 김북원이 당대 노동자로 전락하는 농민의 삶을 핍진하게 그림으로써 이후 북한문단에서 농촌작가라는 평가의 단초를 읽을 수 있었다. 『신인문학』이나 『시인춘추』 등에 발표한 김북원의 시를 최초로 소개했고 1930년대 후반 『맥』과 1940년대 『시현실동인』으로서 초현실주의와 포르말리즘의 작품 창작 및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1930년대 초반 초현실주의 및 모더니즘을 이론적, 지역적으로 확장하여 만주모더니즘을 선도한 작가임을 밝혔다. 1943년까지 초현실주의 시의 창작방법론을 시도했던 김북원은 해방기에는 북한 문단의 정책과 변화하는 현실의 요구에 맞는 작품들을 창작했다. 김일성에 대한 찬양을 기본 골자로 하면서, 농촌의 토지개혁, 빨치산 전투에 참여한 영웅적 주인공, 노동 현장의 변화, 소련과의 친선 등 북한의 중요한 이슈들을 시화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 이후 김북원의 문학 활동의 연속성을 확보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사에서 김북원에 관한 전체적인 평가의 토대가 구축될 수 있었다. In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the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Kim Buk-won has focused on the achievements after the Korean War, seal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before liberation. This is because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id not discuss comparative resources of the author. In this study, research on Kim Buk-won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by unveiling that Kim Buk-won’s preliberation literary activities had started relatively early by finding his pen name, and by discussing that his creative territory or tendency were also diverse through data supplement. This study uncovers that the author of children’s stories and poetry published in The Land of Stars (별나라 Byeolnara)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South Korea, under the pen name “Buk-won-cho-in” was in fact Kim Buk-won by comparing Kim’s identity with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rough Kim’s experience working in agricultural school in the 1930s. Moreover, I uncover that the work, Toy (Wan-gu) that was known as a novel, was in fact a conte (short story), and was able to read the start of the assessment of Kim Buk-won as an agricultural writer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fter depicting the lives of farmers turning into laborers in the novel Nomads (Yurangmin), which was nominated in The Land of Korea (삼천리 Samcheolli).Kim Buk-won’s poetry, which was published in New Face of Literature (신인문학 Sininmunhak) or Spring and Fall of Poets (시인춘추 Siin chunchu), was first introduce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By reviewing the creation and theories of Maek in the late 1930s and ‘Poetry Reality Coterie’ in the 1940s, it became possible to evaluate that Kim was a writer led Manchurian Modernism, by theoretically and geographically expanding surrealism and modernism in the 1930s. Kim Buk-won, who tried to create surrealistic poetry creative methodology by 1943, created works that fit the policies of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nd the demands of changing reality. With the praise of Kim Il Sung as the basic framework, he has poeticized North Korea’s major issues such as land reform in rural areas, the heroic protagonist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partizan, changes in the workplace, and goodwill with the Soviet Un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I believe that securing of the continuity of Kim’s literary activities after the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complet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North and South Korea became possible.

      • KCI등재

        1910~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미국으로 보내진 한글 편지: 김장연씨 일가의 편지를 중심으로

        김양진 ( Kim Yang-jin ),이희영 ( Lee Hee-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에서는 초기 미주 지역 이주민인 김장연 씨에게 고국의 가족들이 1914년부터 1920년까지 보낸 일련의 한글 편지들을 판독하고 이를 통하여 20세기 초반 미주 지역 이민사의 편린과 고국에 남겨진 김장연 씨 일가의 사연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편지들은 한반도에서 미주 지역으로 보내진 초기 편지들로 이를 통해 김장연 씨 일가를 중심으로 한 미주 지역에서의 이주민의 생활의 편린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문헌 자료를 확인하기 어려운 일제 초기 일반인의 삶과 언어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 편지 자료들을 통해서 수원 지역 일대의 실제 지명과 다양한 언어 생활, 미주 지역 이민들과의 교류 내용 등을 알 수 있어서 20세기 초반의 이민사에서 중요한 한글 필사자료 및 언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밖에 편지 속 등장인물들의 행적들을 <공립신보>, <신한민보> 등 관련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감리교단 수원지역 순행 전도사의 활동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angul letters which were written by Kim Chang Yeon`s family and emphasize their values as precious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research. Kim`s family in Korea sent letters to Kim Chang Yeon in America from 1914~1920, and these letters includes the life of the first Korean immigrants generations and fill the missing part of Korean language in this period of time of Korea. Based on these letters which were sent from Suwon area, place names of Suwon area and cultural and linguistic connections between Koreans and Korean immigrants can be studied. These letters will be provided to tho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as important Hangul written materials that shows many aspects of Korean language. Besides, people`s past in letters such as Kim Byung Kwon, Kim Sun Kwon, Kim Sung Sik, Choi Sim Sun(Kim Chang Yeon`s wife), Kim Rose(Kim Chang Yeon`s elder daughter, Kim Eva(Kim Chang Yeon`s second daughter, Kim Young(Kim Chang Yeon`s elder son), Kim Edward(Kim Chang Yeon`s second son) was checked out in this paper. Finding out what Kim Byung Kwon`s had done as a methodist missionary of Suwon area is a collateral outcome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金哲埈(1923~1989)의 한국사 서술과 역사의식

        김두진(Kim, Doo-jin)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한국 근대사학사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연구가 진척되었지만,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치우친 감이 없지 않다. 민족주의사학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상대적으로 실증주의사학이나 사회경제사학 또는 그 밖의 연구경향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못했다. 근래에 광복 후 1세대 역사학자들의 사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났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생존해 있던 인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접근을 어렵게 한다. 이들 중 이기백과 김철준은 한국고대사를 체계화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그들의 연구 방법은 한국 현대사학의 성립에 상당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선 김철준의 사론을 우선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김철준은 실증주의사학을 확립시킨 이병도나 김상기·손진태 등의 영향을 받았지만, 문헌고증학적 학풍을 비판하면서 불교학이나 고고학·인류학 등 인접 학문의 이론을 도입하여 한국고대사를 연구하였다. 또한 그는 새로운 문화의 유입으로 격변하는 역사의 전환기에 대해 주목하여, 그로 인해 일어나는 신구문화의 갈등을 절충하려는 노력을 중시하였다. 한국고대 사회는 부족국가에서 부족연맹을 거쳐 고대국가(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의 발전 단계를 거쳤다. 그런 과정에서 족장세력을 편제하면서 국가체제가 정비됨으로써, 골품제와 같은 신분제 사회를 이루었다는 주장은 이후 한국고대사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김철준은 민족주의 문화사관을 내세워 민족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오히려 전통문화의 총체적 역량을 신뢰하였다. 왜냐하면 전통문화가 충분하게 축적되어 있으면, 자기문화를 비판하더라도 더 훌륭한 문화가 얼마든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여러 문화요소가 총체적으로 모아지는 광장으로서의 민족문화 역량을 강조하면서, 그 내에 포함된 전통문화의 잠재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가졌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이론을 원용한 연구방법은 당대의 사회상과는 동떨어진 허상을 설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가 민족문화를 거시적으로 파악하면서, 정통문화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고 노력한 점은 주목된다. Many researches about Korean modern histography have been progressed, but it is also true that most of the studies focused on Japanese imperialism. The historical study of nationalism has established in a certain fashion,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studies about Positivism, social economy, and other various studies were not investigated properly. Recently,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Korea, the interest about the historical studi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historians grew big. The investigation about those first generation of historians were based on the existed people until 10 years ago, which made difficult to access them objectively. Among them, Lee, Gi-Baek and Kim, Cheol-Jun helped to systemize the Korean ancient history and their study meth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n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modern history. In this written document, the historical study of Kim, Cheol-Jun will be discussed primarily. Kim, Cheol-Jun was influenced by Lee, Byung-Do, Kim, Sang-Gi, Son, Jin-Tae, etc., who established a study of Positivism. However, he studied Korean ancient history by criticizing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philological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nd introducing theories such as Buddhism, archeology, anthropology, etc. In addition, he focused on the convulsion of the historical transition which occurred through the inflow of new culture, and tried to compromise conflicts between the old and the new culture. The ancient Korean society had developed through the tribe nation, the tribe alliance, and to the ancient national anthem (a centralized authoritarian aristocrat nation). Kim s statement that Korea established a hierarchical social system by mandating national organization throughout formating tribe power, influenced on further studies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Kim, Cheol-un rather trusted the whole capacity of traditional culture by critically recognizing a part of the national culture. The reason is if traditional culture is accumulated enough, it will embrace many other good cultural elements even though he criticized a part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while he focused on the capacity of national culture which gathers various cultural elements into one, he also trusted in traditional culture embracing potential capacities. On the other hand, a study of methods claiming a theory of social science is n ot necessarily d esirable, because it has a p ot ent ialit y t o creat e a false image. It merely is worthy to note that he tried to bring up the future way of traditional culture by recognizing national culture in a comprehensive view.

      • KCI등재

        金鑢의 編書 활동과 交遊에 관한 몇 가지 신자료

        김영진(Kim Young ji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담정총서 에 수록된 작가들의 인물정보와 그 자료 수집의 과정에 관한 자료들을 추가로 제시하고, 새로 발굴한 담정의 원고본과 필사본을 통해 담정유고 의 편집 과정을 논한 것이다. 담정총서 에 수록된 金愚淳 (1760~1835), 李友信(1762~1822), 金祖淳(1765~1832), 李濟魯(1789 ~1816), 金䥧(1772~1833), 惠藏(1772~1811), 李魯元(1756~1811),權常愼(1759~1824), 鄭彦學(1749~1818이후), 李鈺(1760~1815), 金善臣(1775~1846), 趙基復(1773~1839), 李安中(1752~1791), 李復鉉(1767~1853), 李濟殷(1784~1836)의 인적사항과 신발굴 자료를 보충하였다. 수록 문인들은 대체로 담정과 직접적으로나 혹은 간접적으로 교유관계가 있던 노론 시파(時派) 계열 인물들이 많고 김조순, 권상신, 김우순을 제외한 대부분은 관직에서 소외된 몰락하고 불우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의 창작활동 공간은 주로 서울 주변이었음을 알 수 있다(예외적 인물은 아암 혜장). 전체 16명 중에서 9명이 부자나 형제 혹은 숙질의 관계로 연결되어있다. 즉 이옥, 김조순, 권상신, 김선신, 조기복, 정언학, 혜장 7명을 제외한 나머지 문인들은 인척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담정총서 수록 작가와 그 작품이 同志的 결속보다는 혈연적 요소가 다소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담정총서 는 ‘동시대(幷世)’ 의식의 일환으로 편찬되었다는 것, 그리고 이옥과 김조순, 그리고 김려 본인의 작품이 대변하고 있듯이 산문에서는 ‘패사소품’적 참신한 작품들이 대거 뽑혔다는 점과 한시에서는 옥대향렴체 등의 이 시기 또 이들 그룹의 경향을 대표하는 시풍이 선택된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This paper shows writers in 「A Series of DamJeung」 and how these writers’ information is gathered. Also, it shows the editing process of 「A Series of DamJeung」 by referring newly discovered manuscript and original text. Here, I added these people’s personal data and other newly discovered materials: Kim Woo-soon(1760~1835), Lee Woo-sin(1762~1822), Kim Jo-soon(1765~1832), Lee Jae-noh(1789~1816), Kim-Rye(1772~1833), Hye-Jang(1772~1811), Lee Noh-won(1756~1811), Kwon Sang-sin(1759 ~1824), Jeong Uhn-hak(1749~after 1818), Lee Oak(1760~1815), Kim Seon-sin(1775~right after 1846), Jo Ki-bok(1773~ ), Lee An-joong(1752 ~1791), Lee Bok-hyun(1767~1853), Lee Jae-eun(1784~1836). These people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group of Noron Si-pa (時派) and almost all of them were unfortunate ones who did not get important positions except Kim Jo-soon, Kwon Sang-sin, and Kim Woo-soon. Of 16 people, 9 of them are family members. That is, the others excepting those people (Lee Oak, Kim Jo-soon, Kwon Sang-sin, Kim Seon-sin, Jo Ki-bok, Jeong Uhn-hak and Hye-Jang) have blood relationship, so it has much influence than mere friendship. The book 「A Series of DamJeung」 is written in the spirit of Byeongse(幷世) and there are some of points worth watching: As their works show, (Lee Oak, Kim Jo-soon, Kim-Rye) in prose, novel works are included, which shows a kind of ‘Pesasopum’ trait (a name of genre). As such, some of traits showing the trend of this era reveal in poems.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

        염상섭 장편 『화관』의 인물 연구 - 타락녀 최봉순을 중심으로 -

        김정진 ( Kim Ju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6

        염상섭의 장편소설 『화관』에는 대조적인 여성 캐릭터 영숙과 봉순이 등장한다. 진호를 유혹하는 봉순이라는 캐릭터는 애욕을 추구하는 타락한 여성이다. 봉순은 염상섭이 전후사회의 혼란한 현실에 대한 우려를 형상화한 의도적인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봉순의 욕망실현 양상은 단계적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첫째, 봉순이 결혼을 앞둔 진호에게 적극적으로 애정공세를 퍼붓는 단계이다. 그녀는 중년의 사장들과 어울리면서도 연하의 진호를 육체적으로 유혹한다. 이때 봉순은 극도의 이기주의를 보인다. 둘째, 진호와 동거에 들어간 봉순은 영숙이가 진호를 포기하도록 만들면서 동시에 사장들과 모종의 모의를 한다. 이 단계에서 봉순은 아내로서의 일상보다는 화류계에 종사했던 모습을 보인다. 그 때문의 그녀의 비윤리성이 드러나고 그녀의 실체를 알게 된 진호가 영숙과 결혼한다. 셋째는 진호와 영숙 결혼 이후에도 그 집에 함께 살면서 다시 한일방직 사장을 유혹하다가 실패하고 떠나는 단계이다. 봉순은 문란하고 게으른 자신의 본 모습을 드러내어 영숙과 대조를 보인다. 결국 봉순은 영숙과 자신을 비교하며 자신이 결코 진호를 빼앗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봉순은 일련의 행위를 통해 전후 미망인이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술집이나 댄스홀 출입, 미군상대 혹은 재혼을 위한 사교 등의 일을 벌이고 다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바로 염상섭이 염려하는 미망인이 길을 잘못 드는 것을 그대로 형상화한 것이다. 작가는 아이러니를 통하여 봉순의 허위성을 드러내고 영숙을 도덕적 캐릭터로 제시하여 종국에는 영숙의 행복한 결말로 이 작품을 끝내고 있다. 그리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극복한 순종적 여성 인물 영숙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구세대의 입장이 노정되었다. 그것은 염상섭의 가부장적 가치관과 신세대와의 갈등에서 구세대의 중심을 잃지 않는 세계관의 반영인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aning of the role of a representative female character, Bong-sun in the Yum Sang-sup's novel ; 『A Flower Crown』. The character Bong-sun tempts Jin-ho embodies characteristics typical of a fallen woman who pursues only lust. Bong-sun is an intentional character used by the author to portray concerns about the turbulent reality of postwar society. Bong-sun's desire is realized in several stages. First, Bong-sun actively pursues affection for Jin-ho, who is about to marry. She physically attracted younger Jin-ho while meeting with the company's bosses. Second, Bong-sun, who has been living with Jin-ho, cooperates with the corporate CEOs while she forces Yong-suk to give Jin-ho up. At this stage, Jin-ho realizes Bong-sun's true motivation and marries Young-suk. Third, after Jin-ho and Young-suk married, she lived together with them in the same house and tempted the boss of a Korea-Japan textile company again and failed. Gradually Bong-sun reveals the reality of her vanity and contrasts of behavior of Young-suk. In the end, Bong-sun compares herself to Young-suk and realizes that she will never win Jin-ho. Bong-sun is shown as a widow who struggles while working in a pub, in a dance hall, and must either meet US military or remarry to maintain her livelihood. For this reason Yum Sang-sup was concerned the misguided ways of widowhood. Through the use of irony, the writer reveals the falseness of Bong-sun, presents her as an immoral character, and finally concludes this work with a happy ending. With this story, the position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appreciates and acknowledges the obedience of the female character, Young-suk, who survived the painful process, was brought to life. This story is a reflection of the world view that retains focus on the older generation in the midst of conflict between the patriarchal values of Yong Sang-Sup and the new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