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의 의료진조력사망에 관한 헌법적 고찰 및 입법례

        권정화(Kwon, Jeong-hwa)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東亞法學 Vol.- No.103

        현재 캐나다는 죽어감에 있어 의료진의 조력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2024년 3월 17일부터는 정신병이 유일한 질병인 경우에도 다른 조건을 모두 충족하였다면 의료진조력사망을 신청할 수 있도록 허락할 정도로 의료진조력사망과 관련하여 가장 급진적인 입법을 가진 나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캐나다 역시 처음부터 의료진조력사망을 인정한 것은 아니었다. 캐나다 대법원이 1993년 타인의 사망에 조력하거나 도움을 주는 행위를 포괄적으로 금지한 규정이 합헌이라고 판단한 이후 죽어가는 사람의 죽음에 조력하는 행위는 형법상 자살방조 또는 자살교사로 처벌되었다. 그러나 약 22년이 지난 2015년 Carter 판결에서 위 형법 조항이 삶을 존엄하게 끝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을 금지한다면 이는 캐나다 권리장전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죽을 수 있는 권리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하였다. 캐나다 입법부는 Carter 판결 이후 형법 개정 작업과 죽어감에 있어 의료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절차등을 구체적으로 입법화하였고, 점차 의료진조력사망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완화하고 있다. 의료진조력사망에 관한 캐나다에서의 그동안 논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도 자신의 삶을 마감하고자 하는 고통받는 환자들이 스스로 죽음의 시기와 방법을 정하여 아름답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와 절차가 보장된 법률의 제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Constitutional Review and Legislation on Medical Assistance In Dying in Canada. Currently, Canada recognizes the right to medical assistance in dying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and it is considered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most radical legislation regarding medical assisted death, from March 17, 2024, allowing mental illness to apply for medical assistance in dying if all other conditions are met. But Canada also did not admit medical assistance in dying from the outset. After the Supreme Court of Canada determined in 1993 that the regulation that comprehensively prohibited the act of abetting a person in dying by suicide or aiding a person to die by suicide was constitutional, the act of assisting in the death of a dying person was punished as a suicide aid or suicide teacher under the criminal law. However, about 22 years later, in the 2015 Carter ruling, if the above criminal law provisions prohibit the way to help end life with dignity, it is considered a violation of the Canadian Bill of Rights and recognized the right to die with the help of medical assistance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Since Carters ruling, the Canadian legislature has legislated concretely eligibility and procedures to seek medical assistance in dying, and revised the criminal law. And the Canadian legislature is gradually easing eligibility and procedures to apply for medical assistance in dying.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discussions in Canada on medical assistance in dying, and we hope that Korea will help to enact laws that guarantee the right and procedure for suffering patients who want to end their lives to die beautifully and comfortably by setting their own time and method of death.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영어 읽기 시험의 문항 유형별 읽기 시험 수행 전략 사용 연구

        권정화 ( Jeong Hwa Kwon ),이정원 ( Jeong Won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능 시험의 문항 유형별로 학생들이 어떤 읽기 시험수행 전략을 활용하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전략 사용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5명의 고등학교 3학년생(남자 51명과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수능 모의고사에서 15문항을 발췌하여 영어 읽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이와 함께 시험 수행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점검표를 함께 제시하여 각 문항을 푼 후 사용한 전략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은 핵심 단어 찾기, 연역적 추론, 오답 제거하기 전략을 많이 사용한 반면, 지문 내용과 관계성이 적은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2) 문항 유형별로 학습자들이 사용한 전략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문항이 요구하는 측정 능력이 달라짐에 따라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3)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을 영어 읽기 수준별로 살펴본 결과, 모든 수준에서 비슷하게 사용한 전략이 있었던 반면, 수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 전략이 있었는데, 특히상위 수준일수록 인지적 처리 과정으로 요구하는 연역적 추론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항 유형별·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수준별 시험수행 전략에 대한 명시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추론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reading test-taking strategies EFL learners use depending upon the item types of the test and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s. For this study, 105 high school students (51 male and 54 female) were asked to take a mock CSAT and tick the strategies on the checklist they used when solving the test items. The outcom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English reading test the students tended to use the key word searching strategy and the deductive reasoning strategy. Also, they were not quite sure about the answers they chose, so they ticked the uncertainty strategy so often. Some strategies which do not have much to do with the text were rarely chosen for the facilitating strategies. Second, by and large, the students used different strategies when coping with different item types of the test. So when teaching for them to use English reading test-taking strategies explicitly, item types of the tes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ir better achievement in the test. Finally, the strategy used frequently in all three levels(high, middle, and low) was the elimination strategy. The test situation where the students were expected to solve many question within limited time seemed to urge them to eliminate wrong answers in order to reduce cognitive burden to choose the right answer.

      • KCI등재

        재활용 PET병 입자를 배지재료로 이용한 토마토 플러그묘의 재배

        이강모(Kang Mo Lee),권정화(Jeong Hwa Kwon),황승재(Seung Jae Hwang),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재활용 PET-Bottle-Particles(PBT)가 함유된 4가지 생육배지를 이용하여 플러그묘 재배의 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해 유리온실에서 수행되었다. 토마토 ‘서광’의 플러그묘를 PBT 100%, peat moss 100%, 그리고 PBT 50%+peat moss 50%가 함유된 배지 및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배지(토실이)를 대조구로 이용하여 육묘하였다. 128공 플러그 트레이에서 2004년 7월 12일에 파종하여 플러그묘의 생육은 파종 후 30일째 측정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95% 이상 발아하였다. 초장,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면적, 그리고 하배축 길이는 대조구에서 가장 컸다. 뿌리 길이와 무게는 PBT 100%처리에서 가장 컸으며, 이 배지의 pH는 7.3이었다. PBT 50%+peat moss 50%처리에서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이 PBT 100% 처리에서 보다 컸으며, peat moss 100%처리에서 가장 작았다. PBT를 사용함으로 인한 독성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원예 묘종 생산에 있어 배지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구성요소로써 재활용 가능한 PBT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glasshouse to examine the possihility for cultivation of plug seedlings using four growing media containing recycled PET-bottle-particles (PBT) as a medium component. Plug seedlings of 'Seokwang' tomato were grown in media containing 100% PBT, 100% peatmoss, or 50% PBT+50% peatmoss. A commercial plug medium (Tosilee) was used as the control. All seeds were sown in 128 cell plug trays on July 12, 2004. Seedling growth was measured at 30 days after sowing. Percent seed germination was greater than 95% in all treatments. Plant height, shoot fresh and dry weights, leaf area, and hypocotyl length were the greatest in the control treatment. Root length and weight were the greatest in the 100% PBT treatment, which had a medium pH of 7.3.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were greater in the 50% PBT +50% peatmoss treatment than in the 100% PBT treatment, while they were the smallest in the 100% peatmoss treatment. No toxicity symptoms caused by the use of PBT had been observed in any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a possibility of recycled PBT, a valuable reusable resource, to be used as a component for medium amendments in horticultural transplant production.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개념의 체계성 분석 - “개념체계도”를 중심으로 -

        정다애 ( Da Ae Jeong ),남상준 ( Sang Joon Nam ),권정화 ( Jung 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체계도를 활용하여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3, 4, 6학년 교과서에 담긴 지리개념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과 범주화,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개념체계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NCGE&AAG, NGS, 영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기본 개념 분류 방식에 따라 교과서 내 각 제재/주제별 개념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제재/주제별 개념체계도가 개념들 간의 관계를 통한 설명 방식에 있어서 위계적, 범주적, 인과적 개념체계도 유형 가운데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도 분석하였다. 개념체계의 유형과 지리 기본개념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와 관련된 개념은 위계적인 서술 방식이 사용되었다. 둘째, ‘장소 내 관계’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형태를 보였다. 셋째, ‘이동’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넷째, 환경과 관련된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지리적 탐구와 기능’ 개념에 해당하는 제재/주제는 범주적인 개념체계도나 위계적인 개념체계도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whether or not geographical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revised by the 2007 Curriculum, from Grades 3, 4 and 6 are organized systematically, using a concept map. For th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categorization, basic concepts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concept maps, concepts for each topic/theme in the textbook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cept classification proposed by the NCGE&AAG, NGS an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Furthermore, concept maps for each topic/theme were analysed as to which type they pertain to amongst hierarchical, categorical and causal concept maps in terms of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n connection with the type of concept system and basic geographical concep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cepts related to ‘location’ used the hierarchical description. Second, concepts related to ‘relationships within places’ most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Third, concepts related to ‘movement’ mostly showed a causal form. Fourth, concepts related to environment general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Fifth, topics/themes related to the concept of ‘geographical enquiry and skills’ demonstrated forms of categorical concept map or hierarchical concept map.

      • KCI등재

        팀 기반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임상간호사들의 전문직 간 태도 및 교육부담감이 심폐소생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옥종선(Ok, Jong Sun),안수영(An, Soo Young),권정화(Kwon, Jeong Hwa)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24 근관절건강학회지 Vol.31 No.1

        Purpose: In-hospital cardiac arrest is rare, but often results in high mortality rates. Early and effecti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crucial for survival and nurses are often the first responde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nd educational burdens affect self-efficacy related to CPR performance following team-based CPR simulation training.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alyzed data from a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team-based CPR training sessions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2022. Of the 454 nurses surveyed, 238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excluding those with ambiguous respon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factors influencing CPR self-efficacy. The factors examined include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nd educational burden. Results: Higher levels of inter-professional attitudes, particularly regarding teamwork roles and responsibilities, lower educational burden, and a positive perception of CPR competence were all associated with improved CPR-related self-efficacy. Participants who reported higher engagement in teamwork, lower task load, and greater confidence in their CPR abilities demonstrated higher self-efficacy in performing CPR. Conclusion: Enhancing the competencies of nurses who may act as initial responders in CPR situations within or outside hospital settings can help save lives and support public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