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故 김영정 교수는 비판적 사고와 형식논리학의 ‘멋진 조화’를 꿈꾸며 ‘선제논리’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불행하게도 그 프로그램은 실패로 끝났다고 여겨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김영정 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김영정 논제”란 전칭명제와 특칭명제를 모두 조건문을 포함하는 양화문장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정 교수는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를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김영정 교수의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우리의 조건문을 실질 함언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실질 함언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실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문, 즉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normal conditional)”(p → q)을 김영정 논제와 결합하면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김영정 논제”에 따르면, 가령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는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정된 김영정 논제는 정상 조건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와 통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각들이 정리가 되면 예컨대 (A → B와 A → ∼B가 둘 다 참이 되는) 기바드(Gibbard)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며, 기존의 논의가 얼마나 혼란스러운 것인지를 깨닫게 한다. 요컨대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과 김영정 논제를 결합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설정한 후 이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때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대당사각형이 복원된다는 것, 정상 조건문 p → q의 조건부 부정은 p → ∼q라는 것, 또 정상 조건문의 또 다른 사용(⇒)이 있다는 것, p → q의 대우는 ∼q ⇒ ∼p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ate Professor Young-Jeong Kim propounded the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longing for harmony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formal logic. Unfortunately that program is regarded as a failure, but I believe that Young-Jeong Kim’s thesis is still relevant. Young-Jeong Kim’s thesis asserts that both a universal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quantified proposition which contains a conditional. Professor Young-Jeong Kim asserts that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 (Sx ⊃ Px), respectively. However, I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that Professor Young-Jeong Kim’s program could not help but end in failure is that he regarded our conditional as a material implication (conditional). Hence we need to consider the case that in Young-Jeong Kim’s thesis, a material impli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a conditional which is used in our real language practice, that is,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According to this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Sx → Px), respectively. The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n important key and the path to for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nditional. Furthermore, after we arrange our thoughts in regard to this matter, we will come to know that the Gibbard phenomenon in which both A → B and A → ∼B are true does not exist, and come to realize how confusing the previous thoughts about conditionals are. In a nutshell, we can investigate what consequences can be derived if we maintain this modified thesis consistently after we combine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with Young-Jeong Kim’s thesis. And through this we can ascerta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that we can rehabilitate the traditional opposition square, that the negation of a normal conditional p → q is p → ∼q,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use for a normal conditional(⇒), and that the contraposition of p → q is ∼q ⇒ ∼p.

      • KCI등재

        대규모 LPWA기반 네트워크에서 분산된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신열 ( Shinyeol Park ),정종필 ( Jongpil Jeong ),동범 ( Dongbeom Park ),병준 ( Byungju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10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인구유입에 따른 차량의 증가로 부족한 도시의 주차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고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주차장 관리시스템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제한되어 있거나,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의 분산된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에 LPWA기반의 통신, IoT 클라우드를 구축하여 주차 공간 관리서비스에 대한 효율화 및 편리성을 높이도록 제안한다. 주차 센서는 주차장의 주차 공간 정보를 수집하며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며, 모든 주차 데이터는 IoT 클라우드에서 처리되고 분석되어, 주차 공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도시의 사람들에게 주차 가능 면적을 확인하도록 하여 시간적인 편리함과 주차 공간에 대한 면적 효율화를 제공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the increase of vehicles, effective control of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in cities is needed. However, the existing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does not provide limited or convenient service in terms of space and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distributed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large scale LPWA (Low-Power Wide-Area). The parking sensor collects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lot and is transmitted over a low-power wide network. All parking data is processed and analyzed in the IoT cloud. Through a parking space management service system in all cities, users are given the temporal convenience of determin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area efficiency of the parking space.

      • KCI등재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박정해(Park Jeong-ha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6 No.-

        숭인동에 위치한 동묘는 동관묘라고도하고 관제묘라고도 한다. 관우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지원군을 보낸 명은 동관왕묘를 건설할 것을 조선에 요구한다. 조선은 달갑지만은 않았으나 거부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명의 체면도 살려주면서 조선의 자좀심도 지킬 수 있는 여러 상황논리를 입지선정에 녹여내고 있다. 입지의 선정은 선조 때의 명풍수로 유명한 박상의가 하였는데 입지를 선정한 풍수학인을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Dongmyo which is located at Sungin-dong in Seoul, Korea is also called Dong-kwan-wang-myo or Kwan-je-myo. It is a shrine to hold an memorial ceremony to a hero, Kwan-woo of 『History of Three States(三國志)』 in the ancient China. Ming dynasty that sent reinforcements to the Joseon dynasty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requested to build up Dongmyo. It was not satisfactory condition to the Joseon dynasty but there was no choice. The location selection of Dongmyo that contains complicated situation at that time reflects both logics to keep the nation’s own position and to meet the Ming dynasty’s request. Dongmyo is the architecture that shows the achievement of famous Feng shui specialist, Park Sang-wui at that time.

      • KCI등재

        디지털 물성을 이용한 모듈화 표피생성방법 연구

        박정주(Park, Jeong-J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 method of creating a new type of boundary by repeated disposition of single unit of modularized membrane successivel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indoor space, more highly dimensional analysis of boundary is required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boundary of a new concept that may satisfy cultural value, social value and artistic value as a whole as well as aesthetic and functional merit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a membrane that may fulfil the requirements of the diversified programs of space like this, an approach of complicated mechanism and high-dimensional calculation are required. At this time, digital GA modelling, parametric modelling technique may expand its range of possibility. One thing to be noted at this juncture is that indefinite expandability involved in digital modelling technique, modelling by grid of absolute and relative coordinated and convenience of systematization may surpass limitation of analogue or simple numerical calculation being progressed in the past. And in order to create solid process including unit modelling or pattern formation, precise calculation preocess of computer is necessitated inevitably.

      • KCI등재

        퇴계의 음악,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을 위한 가능성 모색

        박정련(Park Jeong-ryen)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현재 한국에 성행하는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출발하여, 서양의 여러 심리이론과 음악교육방법론 등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과 방법들을 형성하며 발전하였고, 나아가 인간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서양 음악치료학의 토대를 이루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모든 질병을 질서의 상실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았고, 음악의 사용을 통해 육체와 마음 사이의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정신세계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유가(儒家)의 음악사상, 즉 우주만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특히 유가의 사상을 수용한 조선조 선비들은 심신수양(心身修養)의 일환으로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몸과 마음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맺음과 자연과 우주만물이 하나의 유기체로 형성되어 조화와 질서의 원리가 관통하고 있음을 철저하게 인식하였다. 필자는 한국의 유학자를 대표하는 퇴계의 음악관으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해 보았다. 퇴계의 음악관은 고대 성현들의 음악을 지향한데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인간과 사회, 천지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표방한다. 또한 사람의 선한 성정의 발로체가 음악이어야 함도 주장하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스려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다 함께 오래살수 있도록 하기위해 『활인심방』을 필사하여 전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몸과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을 통한 조화로운 감정상태가 건강을 결정지어주는 중요한 당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퇴계는 음악과 건강, 음악과 감정과의 관계를 여러 글에서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의 「도산십이곡」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도산십이곡」의 창작목적은 한 개인의 성정과 기질을 변화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에 전반적으로 확산된 음란하고 현란함이 묻어나는 정서와, 오만하고 방탕하며, 방자하게 희롱하는 공동체의 분위기, 세상을 희롱하며 공손하지 않는 정서를 온화하고 너그러우며 독실하고 중후한 정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퇴계는 「도산십이곡발문」에서 ‘온화하고 너그럽고, 독실하고 중후한’[溫柔敦厚] 정서가 필요한 대상이 누구인지, 그리고 음악치유의 방법과 그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명확히 언급하였다. 이는 퇴계의 음악이 치유적 측면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유학자의 사유를 토대로 한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정립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 The theoretical basis of musical therapies now in practice in Korea is on the thoughts of ancient Greek philosophers. Accepting and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iques and methods from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ories and musical pedagogics, Korean musical therapies have affirmative effects on Korean people and societ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e pioneers of the Western musical therapeutics, thought every disease came from the loss of order, and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body and mind should be regained by the use of music. Their emphasis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tol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order and harmony. Those Joseon scholars who accepted confucianism thoroughly recognized that body and mind, social interactions, nature and all creatures are intertwined as one organism by people’s using music as a way of training their body and mind. I examined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by Toegye’s idea on music. His idea on music originated from the music of ancient saints and it stood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beings, society and all creatures. He also suggested that music should manifest human being’s good will. Toegye transcribed Hwalinsimbang in order to make people keep their health, control their emotions and live long lives together. The book says that human body has a close relation with music, and harmonized emotion through music can bring in health. Not only did he menti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ealth,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many writings but he led it by personal example by creating “Dosansibigok” at the age of sixty-five. The purposes of “Dosansibigok” are: First, to change an individual’s character and trait; Second, to replace obscenity, gaudiness, pride, and debauchery with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He confirmed who needs the mild, gentle, sincere and grave emotion, and mentioned clearly the ways and effects of musical therapy in the epilogue of “Dosansibigok”. The music of Toegye could be a possibility for founding Korean musical therapeutics and could be a cornerstone for healing.

      • KCI등재

        발열 필름을 이용한 제설 기능 PV module & system 제작 및 특성평가

        은비(Eun Bee Park),조근영(Geun Yuoung Cho),조성배(Sung Bae Cho),김현준(Hyun Jun Kim),유정재(Jeong Jae Yu),지홍(Chi Hong Park)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16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Vol.4 No.4

        Piled snow upon PV module interferes with Photoelectric Effect process through photovoltaic directly.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its generation efficiencies keep decreasing or are stuck at zero power generating status. In addition, PV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on those places such as water surface, roof-top, and other isolated places, dealing with conditions of “Securing high REC weighted value”, “Difficulty of securing land” and so forth. Through this study, we are able to actualize the function of heating over PV modules when it snows. We adopted laminating method through heating film and modules, guaranteeing warranty more than for 25 years. Also we are trying remote control systemically, not by hardware control, to run parallel with automatic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which enable to control operation time, insolation, amount of snowfall automatically. We applied analysis of actual proof to both snow removal PV system and general PV power system, and these led to bear power consumption analysis while snow-removing, and its comparison after finishing the task as “One stone, two birds.” In the long run, we could carry out economic analysis against snow removal system, and this helps to verify the most maximized control method for snow removal conditons on a basis of weather information. this study shall let prevent people from negligent accidents, and improve power generation problems as mentioned from the top. Ultimately, we expect to apply this system to heavy snowfall regions in winter season in spite of its limited system installaion in Korean territory, initially.

      • 청결 들깨 생산을 위한 세척 시험

        회만 ( Park Hoeman ),서영육 ( Youngwook Seo ),정보미 ( Bomi Jeong ),광집 ( Park Gwangjip ),황예지 ( Hwang Yej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들깨는 국민 식생활에 있어서 필수 조미식품의 원료로 성인병 예방과 학습능력 향상에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소비가 (’12) 1.02→(’18) 1.07→(’20) 1.23 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들깨는 친환경 밭작물로써 재배가 쉽고 이모작이 가능한 단기성 작물로 봄 감자, 찰옥수수 등의 후작 재배가 가능하여 재배면적(ha)이 ('08) 26,760→('13) 30,130→('20) 36,111, 생산량(톤)은 ('08) 28,479→('13) 33,347→('20) 38,784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들깨는 분쇄한 가루, 착유한 들기름 형태로 식용하고 있다. 가을에 들깨는 탈곡, 건조, 정선, 석발 과정을 거쳐 유통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산물은 껍질을 벗기고 세척 후 식용하고 있어 들깨 또한 이물질 제거가 필요하다. 따라서 들깨세척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들깨의 세척은 돌기식 오거에 의한 교반이송 및 이송부 상부 노즐 물분사 방식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은 세척전과 세척후의 들깨를 대상으로 이물질 무게, 탁도, 탈수정도, 색도, 함수율 등으로 하였다. 탁도는 수질측정시료(들깨) 10 g에 증류수 250 mL을 600 rpm 30초간 진탕 후, 10 mL을 탁도계(90-FLT, TPS)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색도는 색차계(CR-4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물질 제거정도는 오븐 60℃에서 1시간 동안 여과지 건조 후 무게 측정, 들깨 10 g과 증류수 50 mL을 30초간 600 rpm으로 교반 후 여과 하였으며, 오븐 60℃에서 5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 측정하여 여과 전 여과지 무게와 여과 및 건조 후 여과지 무게를 차이를 이물질 무게 측정하였다. 표면부착수는 세척 전 들깨 및 자루 무게 측정, 들깨 100 g을 자루에 넣고 30초간 세척, 1분간 탈수 후 세척 및 탈수 후 자루+시료, 시료를 뺀 자루무게 측정 후 계산하였다. 탁도는 1차 세척 후 16.12 ppm, 2차 세척 후 9.69 ppm으로 탁도가 감소하여 세척효과가 보였다. 색도는 L 값이 32.05→28.95, a 값이 3.07→3.04, b 값이 14.82→14.15 로 조사되었으며, L 값은 다소 변화가 있었으나 a, b 값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물질 제거 양은 들깨 10 g에서 제거한 이물질 무게가 0.003 g으로 원물 무게 대비 0.03%로 나타났다. 표면 부착수는 들깨 100 g에 9.98 g으로 세척 전 무게의 약 10% 정도가 부착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세척을 통해 청결한 들깨 생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금후 함수율, 세균수 등에 대한 추가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