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용 안테나 하이브리드 모노펄스 레이다 시스템의 실용적 표적 방위각 추정 방법

        김진우(Jin-Woo Kim),윤재혁(Jae-Hyuk Youn),노수현(Soo-Hyun Rho),이종은(Rho1?Jong-Eun Lee),전영범(Yeong-Beom Jeon),옥재우(Jae-Woo Ok),유응노(Eung-Noh You),윤상호(Sang-Ho Yoon),신현익(Hyun-Ik Shin)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9

        항공용 안테나 하이브리드 모노펄스 레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상 이동표적 탐지 시, 표적의 방위각 정확도는 시스템 내 채널 간 위상 불균형에 따른 모노펄스 기울기 추정 정확도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안테나와 180도 하이브리드의 물리적 길이 차이에 의한 위상 불균형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비행시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한 결과, 보상 전보다 유의한 성능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ccuracy of extracting the azimuth angle of a targe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rror in the mono-pulse ratio of the air-borne antenna hybrid mono-pulse Radar system. This error is strongly induced by the phase imbalance between the channels of the system.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for effectively calibrating the phase imbalance caused by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the RF channels from the antenna to the 180° hybrid. Through a fligh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azimuth angle of the target is improved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명승 제1호 「명주 청학동 소금강」에 대한 지명 재고(再考)

        노재현,김현,Rho, Jae-Hyun,Kim, Hyu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국내 명승 제1호 "명주 청학동 소금강"의 지명 유래와 변천과정 등에 대한 오류 검토의 일환으로, 관련 고지도, 지리지, 유산기 등의 고문헌 그리고 바위글씨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확인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지리지 분석 결과 '소금강'이란 지명은 17세기 중반의 "여지도서"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20세기 초반 발간된 "증수임영지"에서 재현되고 있으나 고지도에서는 청학동 청학산 청학사 등의 지명 이외에 소금강이란 지명은 발견되지 않는다. '청학산'이란 지명이 최초로 발견되는 문헌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이지만, 지명으로서의 최초 기록은 율곡의 "유청학산기"로 이 기록에는 소금강'이란 지명은 찾아볼 수 없고 단지 '청학산'이란 지명만 확인될 뿐이다. '이후 이순인의 "고담일고", 허균의 송별기, 허목의 "청학동구룡연기", 윤순거의 "파동일기" 그리고 이원조의 서간(書簡) 등을 볼 때 약 3세기 이상 이곳은 '청학산' 또는 '청학동'이란 지명으로 불려온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소금강'이란 지명이 확인되는 최초 기록은 18세기 중반 작(作)인 강재항의 시이다. 또한 금강사 앞 이능암(二能巖)에 새겨진 '소금강(小金剛)'이란 바위글씨의 주체는 크기, 서법, 전체적인 배치구도와 마모 정도 그리고 지리지의 기록 등을 고려할 때 1870년 또는 1930년에서야 동일한 주체인 이능계원(二能契員)에 의해 새겨진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이곳 지명 유래의 탄탄한 근거였던 '소금강(小金剛)' 바위글씨를 율곡의 글씨로 단정할 만한 근거는 없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율곡의 "유청학산기" 이후 이곳은 줄곧 '청학산 청학동'으로 불려왔으며 '소금강'이란 지명은 18세기 중반 이후 "입재선생유고" 중 "오언고시조"와 "여지도서"를 시작으로 "동유일기" 등 유람기 등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소금강이란 이칭(異稱)이 일반화되면서 혼용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요컨대 기존 명승 제1호 지명에 큰 오류가 있다고 보기는 곤란하지만 율곡의 유람과 관련된 명소로서의 장소성을 부각시키는 측면에서는 '청학동 소금강'보다는 '청학산 청학동'이란 지명이 보다 합당한 지명인 것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본 연구과정에서 확인된 1664년 윤선거 일행이 현 식당암에 각자한 '청학산(靑鶴山)', '경담(鏡潭)'의 지명 바위글씨는 고전적 유람 텍스트로서의 "유청학산기"의 영향력을 살필 수 있는 증표이자 기호학파 선비들의 율곡에 대한 숭모와 추념의식이 고스란히 담긴 표식으로 보존이 요망된다. As part of reconsideration on naming of the scenic site No.1 "Myeongju Cheonghak-dong Sogumgang,"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ny mistake with reference to place naming of Korea's No.1 scenic site and if so, to correct the problem by examining the origin of the name and its transition progress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old maps, ancient documents such as traditional geographic books, Yusangi(遊山記) and Letters Carved on the Roc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raditional geographic books, a term of 'Mt. Cheonghak(靑鶴山)' was first found from "SinjungDonggookyeojis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after a place name, 'Sogumgang(小金剛)' first appeared in "Yeojidoseo(輿地圖書)"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t was reproduced in "Jungsuimyeongji(增修臨瀛誌)",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old maps, the place name, Sogumgang cannot be found in any local or national map except place names such as Cheonghak-dong, Mt. Cheonghak and Temple Cheonghak. Even though 'Biseonam,' 'Cheonyudong,' 'Gyeongdam' and 'Mt. Cheonghak' appear in Yulgok's "Yucheonghaksangi(遊靑鶴山記)", any part in which 'Sogumgang' was referred is not found. Later, Cheonghak-dong Sogumgang seemed to had been called 'Mt. Cheonghak' or 'Cheonghak-dong(靑鶴洞)' for more than three centuries as seen in Lee Sun-il's "Godamilgo(孤潭逸稿)", Heo Geun's farewell records, Heo Mok's "Cheonghak-dong Guryongyeongi(靑鶴洞九龍淵記)", Yoon Sun-geo(尹宣擧)'s "Padongilgi(巴東日記)" and Lee Won-jo's letters and a poem composed by Gang Jae-hang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s the only record in which the place name, 'Sogumgang' is shown. Meanwhile, 'Sogumgang' carved on Inung Rock(二能巖) in front of Temple Gumgang is presumed to be carved by Inunggyeoone(二能契員) in the 1870s or in 1930s, considering the size of each character, calligraphy, overall layout, wear extent and records in Jiriji. Therefore, no evidence can be found to say that each character of 'Sogumgang' was written by Yulgok because 'Sogumgang' has strong evidences of the origin of its place name. To sum up the findings stated above, since Yulgok's "Yucheonghaksangi", this place seems to have been referred as 'Mt. Cheonghak Cheonghak-dong' and as it is confirmed that the place name, 'Sogumgang' first appeared in "Ohyeongosijo(五言古時調)" of "Ibjaeseonsangyugo(立齋先生遺稿)" and "Yeojidoseo"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lace name, Sogumgang had been partly mingled as an another name of Mt. Cheonghak. Therefore,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the existing place name has a significant problem,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better to name 'Mt. Cheonghak Cheonghak-dong' rather than 'Cheonghak-dong Sogumgang' in order to stress on this place's traditional identity as a scenic site related to Yulgok. In addition, as confirmed in this study process, it is said that each character of place names, 'Mt. Cheonghak' and 'Gyeongdam(鏡潭)' and name 'Yoon Sun-geo' carved in Rock Sikdang stated in Yoon Sun-geo's "Padongilgi" in 1964 is a pledge showing the influence of "Yucheonghaksangi" as an ancient travel literature as well as a mark of the Giho school scholars' respect and spirit to honor Yulgok.

      • Generalized Spectral Mapping Theorem

        Rho, Jae-chul 東國大學校 1967 論文集 Vol.3-4 No.-

        複素 Banach空間上에서 定議된 有界線型作用素 T_k(k=1,2…N)에 對한 函數를 f(T_1, T_2,… T_N)=1/(2πi)_N∫_C_1∫_C_2…∫_C_N f(ξ_1, ξ_2, …ξ_N)…Rξ_1(T_1)…Rξ_N(T_n^n_N)dξ_1…dξ_N 로써 定議하면, 이것은 Dunford積分의 擴張이다. 이것에 關해서 Dunford의 Spector 寫像定理 (Spectral Mapping Theorem) σ〔f(T)〕=f〔σ(T)〕의 擴張인 σ〔f(T_1, T_2, , T_N)〕=f????σ(T_k)?? 가 計算되었다. 複素 Banch 空間 X를 Hilbert 空間 H로 制限하면 有界線型作用素 T는 Spector 積分 T=∫λdE(λ)로 積分表示가 可能하다는 것은 周知의 事實이지만 Dunford積分에서 直接 이것을 誘導하는 方法은 明示하지 않았다. 本論文에서는 이것이 可能하다는 것을 밝혔고, 더욱 一般 Dunford 積分에서 直接 Spector 積分表示를 誘導할 수 있다는 것도 證明하였다. 卽 f(T_1, T_2, …, T_N)=∫_α_1^β_1…∫_α_N^β_Nf(λ_1, λ_2, …, λ_N)dE_1(λ)…dE_N(λ). 또 作用素의 攝動理論을 利用해서 f(T_1, T_2, …, T_N)의 n 階導函數를 計算했는데 이것을 써서 多變函數의 n 階導函數를 通해서, 擴張된 Dunford 積分의 導函數의 Spectrum를 規定할 수 있다는 것도 밝혔다. 卽, σ〔D_T^(n) f(T_1, T_2, …, T_N)〕=D_λ^(n) σ〔f(T_1, T_2, …, T_N)〕.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Automation and Robotic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ho,Jae-Jeung 경성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1994 생산기술연구지 Vol.1 No.-

        This paper addresses three areas of concern when trying to implement automation technology in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irst s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described, and then are compared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is necess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the direct transfer of automation technologie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second section, a brief history of the construction automation research effort is described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te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n the third and final section, research effort on the following topics is described, the driving forces for construction automation, the identification of tasks having the most need for automation, and the economic evaluation methodology.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