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 KCI등재후보

        확장성 심근병증을 나타낸 가족성 Becker 형 근이영양증 1 예 보고

        김재중,박종훈,박성욱,박승정,민영주,이재균,장재원,김유호,임미경,박광재,이상암,이종구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2 No.5

        Dilated cardiomyopaty is a rare occurrence in Hecker muscular dystropy. We report a case of Bec- ken muscular dystrophy in 28 old man who presented with dyspnea, progressive muscle weakness, and dilated cardiomyopathy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which was detected by echocardiograpy. Muscle biopsy demonstrated diffuse degenerated changes consistent with progressive muscular dystropy, His brother has also Becker muscular dystrophy and dilated cardiomyopathy, The patient is on NYHA Class II~III with medical therap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김재원 ( Jae Won Kim ),이신호 ( Shin Ho Lee ),노홍균 ( Hong Kyoon No ),윤광섭 ( Kwang Sup Youn ),홍주헌 ( Joo Heon H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0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7 No.4

        산삼배양근을 식품소재 첨가물로의 이용성을 알아보고자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물의 수율은 건물당 27.86%이었으며, 70% 에탄올추출물은 18.33%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7.90 mg/g 및 22.63 mg/g 이었다. Ginsenoside Rb1 및 Rg1의 함량은 각각 1.45 mg/g 및 0.96 mg/g 이었다. 1~20 mg/mL 농도에서 물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2.82~60.58% 및 3.88~70.88% 이었으며, 환원력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0.07~1.90이었고 물 추출물은 대체적으로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SOD 유사활성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지질산패 억제능은 70% 에탄올 추출물은 9.18~66.59%로 물 추출물의 4.74~24.88%에 비하여 1.9~2.8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삼배양근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산화방지제 및 기능성 증진용 소재 활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obtained hot-water extracts (HWE) and 70% (v/v) ethanol extracts (EE) from cultured wild ginseng roots (CWGR) and determined the saponin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yields of freeze-dried powder from the HWE and EE were 27.86% and 18.33% (both w/w),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E (22.63 mg/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WE (17.90 mg/g). Ginsenoside-Rb1 and -Rg1 contents of hot-air-dried CWGR were 17.90 mg/g and 22.63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HWE and EE were 2.82-60.58% and 3.88-70.88%, respectively, and the reducing powers (OD700) were 0.02-0.17 and 0.07-1.90, respectively, at concentrations of 1-20 mg/mL. Thus, the HWE reducing power was markedly lower than that of the EE, but the SOD-like activity of the E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WE. The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HWE and EE were 9.25-19.18% and 11.94-53.49%, respectively, at concentrations of 1-20 mg/mL. Additionally, the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 value) of the EE (1-20 mg/mL) was 9.18-66.59%, thus 1.9-2.8-fold greater than that of the HWE (4.74-24.88%). In conclusion, we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that extracts of CWGR may be natural antioxidants.

      • KCI등재

        맵리듀스 기반의 암 특이적 단위 반복 변이 영역 추출

        신재문(Jae-Moon Shin),홍상균(Sang-Kyoon Hong),공진화(Jin-Hwa Kong),이은주(Un-Joo Lee),윤지희(Jee-Hee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0 No.5

        모든 암 세포는 체세포 변이를 동반한다. 암 유전체 변이 분석에 의하여 암을 발생시키는 유전자 및 진단/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 특이적 단위 반복 변이(copy number variation, CNV) 영역을 찾아내는 새로운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암 환자의 암 유전체와 동일인의 정상 유전체에 존재하는 CNV 후보 영역을 각각 추출한 후, 이 들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암 특이적 CNV 영역만을 선별해낸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병렬 알고리즘은 암과 정상 유전체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여 암 특이적 CNV 영역을 추출/보고하며, 하둡(Hadoop) 환경의 맵리듀스(Map/Reduce) 함수에 의하여 이들 데이터를 분산, 병행 처리한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악성 흑색종과 유방암 환자의 암/정상 유전체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식이 대규모의 유전체 데이터로부터 암 특이적 CNV 영역의 타입 및 위치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있음을 보인다. The genomes of all cancer cells carry somatic mutations. Therefore, analyses of cancer genomes provide insight for understanding cancer-causing genes, diagnosis and therapy. In this work, we propose a data mining algorithm to detect cancer-specific copy number variation (CNV) regions by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data. The proposed method detects the candidate CNV regions from a cancer genome and the matched normal genome from the same individual, respectively, and identifies the cancer-specific CNVs by comparing the candidate CNV regions of a cancer genome with those of the matched normal genome. In this study, we also propose a novel parallel algorithm which simultaneously analyzes data from the cancer and patient-matched normal samples to identify cancer-specific CNV regions. This method is a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asks with large numbers of computing nodes using map and reduce functions in Hadoop project. The preliminary results conducted with the malignant melanoma and breast cancer data showed the prominent efficiency in identifying the types (gains or losses) and the exact locations of the cancer-specific CNVs.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주재선(Jae-seon Joo),김영란(Young-ran Kim),송치선(Chi-seon Song),한진영(Jin-Young Han),송창균(Chang-kyoon Son),차지영(Chi-young Cha),이진숙(Jin-sook Lee),임연규(Yeon-gyu L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Changes in demographic and family structures that Korean society faces have a great impact not only on women’s lives but also on the lives of all members of the society. As these changes, epitomized by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re taking place rapidly, understanding these changes is a prerequisite for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including family or welfare policies. In particular, such changes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diverse areas of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sustainable and accurate manners women’s economic activity, decision-making methods and relationships in the family, social and cultural awareness and practices. This will enable the government to formulate and provide more proper policies. Data on women’s overall lives should be built in the form of longitudinal survey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s rather than cross-sectional survey in order to identify exactly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policies. Because cross-sectional surveys cannot control the unobservable heterogeneity of changes in women’s lives, they cannot accurately estimate the impact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and thus have limitations when establishing and assessing women’s policies.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has conduct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since 2006. The KLoWF is a national panel survey to capture changes in women’s lives, family structure, and jobs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women’s characteristics and build a related database. Longitudinal survey data on changes in women’s lives have already been built partially in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urvey and other surveys, but most of these surveys are limited in performing a meaningful analysis of women’s sub-groups because they either failed to consider gender characteristics or lacked the number of women’s cases. Furthermore, the surveys have difficulty providing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changes in women’s lives because they are not equipped with optimized survey tools to analyze women’s complicated live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has been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longitudinal surveys. The KLoWF is designed to attain the following goals. The first goal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women’s increased economic activity and family-work reconciliation. The second goal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living world of women and to predic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families in Korean society. The third goal is to provide rudimentary data throughout the overall process of policy-making on women and families by tracking a broad range of changes in important current social issues of Korean society, including low fertility, aging, child care,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Beginning its first-wave survey of 9,997 women between full ages 19 and 64 in 9,068 households in 2007, the KLoWF conducted its second-wave survey in 2008, the third-wave survey in 2010, the fourth-wave survey in 2012, fifth?wave survey in 2014, and completed the sixth-wave survey as of 2017. Also, by adding a new panel of 2,049 households in the sixth-wave survey, the KLoWF secured cross-sectional representation of the panel and prepared for panel retention and management for the coming decade as well. Based on its necessity, the 2017 research was conducted to achieve policy goals and promote the usage of research.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include: first, it completed an actual inspection of the sixth-wave main survey (second round) and additional surveys, and analyzed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ixth-wave panel. Second, it carried out various in-depth studies to develop women’s policies by holding academic symposiums for experts regarding the first- to sixth-wave survey data. 제1부 여성가족패널 개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저출산·고령사회’로 요약되는 이 변화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빠른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족정책 혹은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 수립 시 이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함. 더욱이 여성정책의 주요 이슈는 여성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나타남에 따라, 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문제는 노동시장 관련 요인들뿐만이 아니라 가족구조, 가족 내 의사결정 구조 및 관계, 사회 및 문화적인 의식과 관습 등 노동시장 밖의 요인의 변화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함.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러한 여성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구축하기 위해 2006년부터 여성의 삶과 가족의 구조, 일자리 등의 변화실태를 파악하는 전국 규모의 패널조사인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를 실시하고 있음. 여성가족패널조사는 2007년도에 전국 9,068가구 내 만 19세부터 만 64세 여성 9,997명을 표본으로 시작하여 2017년 6차 웨이브 조사를 완료함. 또한 6차 웨이브 조사는 신규패널 2,049가구를 추가함으로써 횡단면 대표성 확보와 더불어 향후 10년간의 패널 유지 및 관리를 대비함. ○ 2017년 연구는 정책적 목적과 연구적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함. 첫째, 6차 웨이브 본조사(2차)와 부가조사의 실사를 완료하고 6차 웨이브 패널의 기초특성을 분석하며, 둘째 1∼6차 웨이브 패널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하여 여성정책개발을 위한 다양한 심층연구를 실시함. 그리고 셋째, 패널의 대표성과 품질향상을 위해 패널추가를 실시하고, 넷째, 패널관리와 7차 웨이브 조사를 위해 중간 필드워크(interim fieldwork) 조사를 실시함. 다섯째,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을 강화하기 위해 1∼6차 웨이브 데이터 구조를 통일하고 다양한 데이터 셋(data set)을 형성하며, 여섯째, 여성가족패널조사의 특성을 홍보하기 위해 여성가족브리프를 발간(연 2회)하고 국·영문 홈페이지 관리, 패널포럼 개최 등 주요 사업을 실시함. 2. 연구내용 및 방법 ○ 첫째, 6차 웨이브 본조사를 완료함. 6차 웨이브 조사는 9,606가구의 여성 적격가구원 12,285명과 6차 웨이브 조사 분가가구 및 분가가구의 적격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함. ○ 둘째, 1∼6차 웨이브 조사 자료를 국내외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개하고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심포지움을 개최함. 2017년 학술심포지움은 한국사회학회와 공동으로 주최하여 개최되었으며, 여성가족패널조사의 품질 진단과 정책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됨. ○ 셋째, 6차 웨이브 조사결과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함. ○ 넷째, 1∼6차 웨이브 자료를 이용하여 심층연구를 실시함. 심층연구는 최근 이슈를 여성가족패널조사로 분석하여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 냄. ○ 다섯째, 패널의 피로도 증가로 인해 원표본의 이탈이 높아짐에 따라, 표본의 대표성을 강화하고 향후 10년 조사를 대비하기 위해 패널 보완을 실시함. ○ 여섯째, 표본추가에 따른 모수추정 및 가중치 부여 방안을 연구함. ○ 마지막으로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의 개선, 각종 지침서 영문화,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여성가족패널포럼 운영 등을 통해 여성가족패널의 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편의성을 제공하고 연구자의 패널 분석 역량을 강화함. 3. 2017년도 연구추진 개요 □ 2017년 연구추진 현황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워크숍 개최 ○ 성과보고회 및 착수보고회 개최 ○ 6차 웨이브 본조사 및 신규추가표본 조사 완료 ○ 6차 웨이브 본조사 및 신규추가표본 조사 데이터 클리닝 실시 ○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셋 구성 및 1∼6차 웨이브 데이터 구조 일치 작업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중간보고회 개최 ○ 패널포럼 개최 ○ 여성가족패널 브리프 발간 ○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 리뉴얼 및 운영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방법론 교육 워크숍 개최 ○ 2017년 중간 필드워크 ○ 2017년 통계청 정기 품질진단 수행 ○ 2017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심포지움 개최

      • KCI등재

        전처리 조건 및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대추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김재원(Jae-Won Kim),이신호(Shin-Ho Lee),노홍균(Hong-Kyoon No),홍주헌(Joo-Heon Hong),박창수(Chang-Su Park),윤광섭(Kwang-Sup Yo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8

        건조 전처리와 건조방법에 따른 대추의 건조특성과 품질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수분함량은 glyceol 전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열풍건조가 천일 및 냉풍건조에 비해 건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밀도는 NaCl boiling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의 경우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glycerol 침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적정도는 열풍건조가 타 건조 방법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전처리에 따라서는 무처리 및 glycerol 침지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oiling 처리 시 대추 고유의 산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산비의 경우 천일건조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냉풍건조 열풍건조 순으로 나타났고, 전처리에 따라서는 NaCl boiling> glycerol> 무처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 순으로,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NaCl boiling, 무처리, glycerol 침지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적색도의 경우 무처리가 NaCl boiling 및 glycerol 침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oiling 처리한 건조대추의 경우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호성이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냉풍건조> 천일건조순으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으며, 전처리 방법 간에는 무처리 및 glycerol 침지가 NaCl boiling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boiling 전처리를 행한 모든 건조방법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유용성분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비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열풍건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NaCl boiling 처리는 외관과 함께 품질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glycerol 침지가 가장 기호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무처리, boiling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종합적 기호도 및 이화학적, 기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glycerol 전처리와 열풍건조방법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건조효율 증대 및 품질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NT: non-treatment, BTS: boiling treatment with 3% sodium chloride, DTG: dipping treatment in glycerol) and drying methods (sun drying, hot air drying, and cold air dry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Mill.) fruits. Our results show that moisture content is lower (P<0.05) with DTG, and that moisture content is lower with hot air drying compared to other drying methods. The bulk density was highest with BTS. The soluble solids content was highest with DTG. Additionally, the soluble solids content were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hot air drying> cold air drying> sun drying. The titratable acidity of hot air drying was highest of all the drying methods. The titratable acidity was higher with NT and DTG, and the brix and acid ratio of sun drying was higher than other drying methods. Among the drying methods, BTS showed the best browning-retarding effect, whereas boiling treatment affected quality and col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from hot air drying and NT or DTG treatmen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ontent from BTS. The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with BTS, and all dried jujube showe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organoleptic scores for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r in the NT and DTG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affect the quality of dried jujube fruit, and show that glycerol treatment with hot air drying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dried juju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