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시민회관의 공공극장 운영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상주단체인 서울민속가극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유인경(Yu, InGyeo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81

        이 연구는 1960년대 관립문화공간이자 대형 다목적홀인 시민회관의 운영실태, 문화수용 양상을 고찰하고, 단명한 상주공연단체 사례를 통해 시민회관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민회관은 단순한 이윤보다 서울시민의 문화생활과 지역사회의 공익에 이바지해야 하는 공공극장으로 설립되었다. 이곳은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전통예술과 현대예술이 혼재된, 혼종성을 지닌 문화공간이었다. ‘자본’의 공간이자 ‘혼종성’의 공간인 시민회관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시민회관의 전속공연단체로 육성시키려 한 서울민속가극단의 공연활동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시민회관이 이윤을 추구한다는 비판에 직면한 서울시는 공익성을 중심으로 하는 시민회관의 운영 방향과 공공지원 기능을 요구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서울민속가극단’ 출범과 운영을 적극 지원하였다. 서울민속가극단은 민속예술의 대중화·무대화를 모토로 공연활동을 펼쳤으며, 활동 중심 무대는 시민회관이었다. 다시 말해, 서울민속가극단은 무분별한 민간단체 대관 위주라는 시민회관 운영상의 비판을 감안하여 공공 공연장의 자체 기획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시 후원으로 탄생한 공연단체이다. 서울민속가극단은 악극, 여성국극 공연을 재구성한 공연을 선보였으나, 기존 공연물과의 차별화나 문화담론 형성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한 채 해체되고 말았다. 이 논문에서는 수요-공급이라는 경제논리로 운영된 시민회관 전속 예정 공연단체의 쇠퇴 과정과 공연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혼종성의 공간이자 자본의 공간인 시민회관의 성격,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한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and cultural acceptance of the Seoul Civic Center, a large multipurpose hall as well as an administrative cultural space in the 1960s, and to re-examine the Seoul Civic Center through the case of a short-lived inhouse unpaid ensemble. Seoul Civic Center was established as a public theater that should contribute to the cultural life of Seoul citizens and the public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just profits. It was a cultural space with a hybrid nature, a mixture of high-end art and popular art, traditional art and modern art.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Civic Center, a space of “capital” and a space of “hybridity,” the performance activities of the Seoul Folk Performing Arts Company, which were intended to be fostered as an in-house paid ensemble at the Seoul Civic Center, were empirically reviewed. Faced with criticism that civic centers pursue profits, the city of Seoul was demanded for the direction of operation and public support functions of civic centers centered on public interest. According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ed the launch and operation of the “Seoul Folk Opera Troupe”. The Seoul Folk Opera Troupe carried out performance activities with the motto of popularizing and performing folk art, and the center of the activity was the Civic Center. In other words, the Seoul Folk Opera Troupe is a performance organization sponsor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order to revitalize the planning function of public performance halls in view of the criticism on the operation of the civic center that it is reckless to rent a private organization. The Seoul Folk Opera Troupe presented a performance that reconstructed the performances of a musical and female gukgeuk, but it was disbanded without presenting a new direction for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performances or formation of cultural discourse. In this thesis, we trie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Civic Center, a space of hybridity and capital, as well as the actual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program operation, by examining the declin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s of the Seoul Civic Centers inhouse paid ensemble operated by the economic logic of supply and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