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함양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부생들의 협력 경험에 대한 연구 : POD 수업 모델을 활용한 교양강좌 우수참여자들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조현명(Jo, Hyunm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조현명(Jo, Hyunmyung)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 바탕을 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혁신 과업과 관련하여, 그동안 이 주제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학문적 관심은 대부분 핵심역량과 관계된 개인의 능력 개발 및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핵심역량의 주요 축 가운데 하나인 협업 능력의 맥락에서 학습자들 의 협력 경험에 대해 본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D 대학교가 ‘동료튜터링 기반 온라인 토의식 수업 모델(Peer-tutoring Online Discussion Class Model, 이하 POD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개설한 교양강좌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면담을 중심으로, 이들이 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경험했던 협력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POD 수업 모델이 제공하는 협력 경험이 몇 가지 형태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적 차이가 POD 수업 모델을 통한 협력 경험의 독특한 특성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토대 위에서 학습자들은협력을 통해 기존의 수업들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성장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실제로 POD 수업 모델이 제공하는 협력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과 폭넓은 시야, 리더십, 협업 능력 등을 함양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With regard to the innov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pproach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researcher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individual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and skill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one of the main axes of the key competency, the experience of cooperation among students. Drawing on the interview data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general education courses which were based on the ‘Peer-tutoring Online Discussion (POD)’ class model, this study explores modalities and significance of their cooperation experiences in the courses.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cooperation based on the POD class model has several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classes and that these features contribute to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on experience in the POD class model. Through their experience of cooperation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the POD class model, students were able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hat they had never felt before in other classes, and also able to realize the growth of their team members as well as themselves. Moreover, respondents also explained that their experience of cooperation through the POD class model actually enabled them to foster positivity, broad perspective, leadership and collaborative skills.

      • KCI등재

        하나의 사건, 두 개의 기억: 내러티브 간의 불일치와 공존의 공간

        조현명 ( Jo Hyunmy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2

        내러티브 연구자가 “무엇이 연구의 근거로 인정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고민할 때, 이 질문은 “무엇이 연구의 근거로 인정될 수 있는 내러티브인가?” 또는 “무엇이 내러티브 연구의 근거로 인정될 수 있는 내러티브인가?”라는 질문으로 재구성된다. 그리고, 특정한 내러티브가 내러티브 연구 혹은 그 밖의 다른 질적 연구의 근거로서 자격을 갖추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연구자가 개별 연구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연구 문제와 내러티브 사이의 관계 형성 및 의미 생성에 대한 자신의 종합적인 이해를 통해서 상황별로 접근해야 하는 작업이다. 이와 관련하여, 나는 하나의 사건에 대한 두 사람의 내러티브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할 때, 이 내러티브들이 과연 연구의 근거로 인정될 수 있는지 고민하고 그에 대한 나름의 대답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내러티브의 개념이 연구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다루어지기까지의 과정을 “내러티브적 전환(narrative turn)”의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둔 방법론적 접근의 하나로서 스펙터-머셀(Spector-Mersel)이 제안하는 “선택의 여섯 가지 메커니즘”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서, 하나의 사건에 대한 두 사람의 내러티브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하는 특수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앞서 언급된 선택의 메커니즘을 다섯 단계로 수정하여 제안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두 내러티브가 서로에 대한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을 발견한다. 따라서, 이 글은 하나의 사건에 대한 두 사람의 내러티브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특수한 상황에서, 그 내러티브를 토대로 경험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내러티브 연구자가 참고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는 방법론적 실천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When a narrative researcher considers about what counts as evidence for research, it is reconstructed as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a narrative that can be counted as evidence for research?” or “What is a narrative that can be counted as evidence for narrative research?”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narrative qualifies as evidence for narrative research or other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is a task that requires researchers to consider each case contextually through their ow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meaning making between research questions and narratives arising in individual research situations. In this regard, when a discrepancy occurs between two narratives about one event, I explore whether these narratives can be counted as evidence for research, and suggest my own answer. For this purpose, first, I review the process that the concept of narrative has been significantly addressed in academia in terms of the “narrative turn,” and present the “mechanisms of selection” introduced by Spector-Mersel as a methodological approach based on this perspective. And then, to respond to the unusual situation that a discrepancy occurs between two narratives for one event, I proposed the aforementioned “mechanisms of selection” in five steps, and, by applying the modified mechanisms of selection to a real case, carve out a space where two narratives are able to coexist despite their discrepancy.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methodological practice suggesting a reference point for researchers who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the basis of discordant narratives.

      • KCI등재

        존재론적 교육학에 대한 소고: 체험의 맥락에서 바라본 공부의 의미

        조현명 ( Jo Hyunmy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4

        인간은 교육을 통해 지식의 주체로 거듭난다. 이 과정은 공부하는 이와 공부의 내용 사이에 모종의 관계가 형성되는 과정이며, 이 관계의 성격에 따라 지식 및 지식의 주체는 다양한 모습을 취하게 된다. 나는 이 글을 통해 이러한 “관계의 성격”을 결정짓는 앎의 형식에 대해 고민했으며, 수단-목적 관계에서 벗어난 또 다른 모습의 앎의 형식을 존재론적 교육학이라는 이름으로 파악했다. 이를 위해 나는 세 사람의 수학동호회 회원들과 지속적으로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이 과정에서 그녀들과 수학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체험’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그에 따르면 수학을 공부하는 것은 인식론적인 정보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존재론적인 실존양식의 변화와도 맞닿아 있다. 이는 단순히 수학을 공부하고 싶은 욕구의 강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수학을 공부하지 않을 수 없는 마음의 상태를 암시하고 있으며, 나아가 ‘나’의 삶과 분리될 수 없는 앎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나는 앎의 형식의 유형을 ‘테크네적 접근’과 ‘프로네시스적 접근’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구분을 통해 “나는 왜 공부하는가?”라는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존재물음으로서 그 의미를 새롭게 드러낸다. Humans are reborn as subjects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This is a process build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what he or she studies, and knowledge and the subject of knowledge takes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In this work, I seek to ponder over a form of knowing that determines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To be specific, I explored a possibilit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means-end relationship, and grasped it under the name of ontological educology. For this purpose, I continued to meet and have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members of a math club, and then aimed to understand their particular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in the context of lived-experience. According to their narratives, studying mathematics is not only related to changes in epistemological information but also ontological existential patterns. This does not simply indicate the strength of their desire to study mathematics, but implies a state of their mind that cannot help but study mathematics; and further, their narratives imply a form of knowing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question of being. Based on this discussion, I suggest two types of the form of knowing as follows: the approach of techne and the approach of phronesis. Through this distinction, the question “Why do I study?” reveals its meaning anew as the question of being, “Who am I?”

      • KCI등재

        A critical validation of high-stakes testing: Lessons from the effect of high school exit exam policy on rigorous mathematics coursework in the United States

        강충서,Hyunmyung Jo 한국교육개발원 2021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exit testing policy on students’ advanced-level course-taking in mathematics in the United States. Using three cohorts of a national dataset, we conducted a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to reveal whether using high school exit exam policies contributes to students’ completion of rigorous coursework in mathematics. The analysis shows no evidence that the probability of students completing Algebra II or above and Precalculus or above increased in states with high school exit exam policies. With regard to the expanding trend of rigorous high school exit exam requirements across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suggests a need to revisit the effects of high school exit exam policies and offers critical insight into their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