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코틴 대체요법군과 니코틴 대체제 및 부프로피온 병용투여군 간의 금연 6주 후 체중변화의 차이

        조현진(Hyun Jin Jo),이정규(Jeong Gyu Lee),정동욱(Dong Wook Jeong),김민석(Min Seok Kim),김영주(Young Joo Kim),이상엽(Sangyeop Lee),김윤진(Yun Jin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2

        연구배경: 부프로피온(Bupropion)의 금연 후 체중증가 억제효과는 이미 알려져 있지만, 니코틴 대체요법과 부프로피온의 병용요법 시에도, 니코틴 대체요법만 적용한 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국내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을 통하여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부산의 일개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하여 5개월간 금연에 성공한 7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니코틴 대체요법을 시행 받은 군 32명과 니코틴 대체요법과 부프로피온을 함께 시행 받은 군 38명에서 금연 전후의 체중, 체질량지수, 호기 일산화탄소량, 혈압을 조사하였다. 결과: 양 군의 비교에서 니코틴 대체제 단독요법군과 부프로피온과의 병용요법군의 체중증가의 기울기 및 체질량지수 증가의 기울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연 후 6주째의 체중은 연령(r=−0.536, P<0.001), 흡연기간(r=−0.505, P<0.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하루 평균 흡연량(r=0.312, P<0.01) 및 첫 방문시 체중(r=0.985, P<0.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니코틴 대체제 단독요법군 및 니코틴 대체제와 부프로피온의 병용요법군의 금연 6주 후 체중 증가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 The suppressive effect of bupropion for weight gain after smoking cessation was already known, but studies about whether the combination therapy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nd bupropion has better suppressive effect for weight gain after smoking cessation than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lone have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is subject along with a domestic project for smoking cessation in Republic of Korea. Methods: 70 males had started smoking cessation from January in 2007, and succeeded in ceasing smoking for 5 months by visiting a smoking clinic of a health center in Pusa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group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lone an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with bupropion therapy. Weight, body mass index, expiratory carbon monoxide amount and blood pressure of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rates of increment of weight of two group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Nega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the average of weight at the 6th week and the averages of age and duration of smoking. Posi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the average of number of cigarettes and baseline weight. Conclusion: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lone an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with bupropion therapy have the similar rate of increment of weight after 6 weeks of smoking cessation.

      • KCI등재

        번역 대비를 통한 『번역소학(飜譯小學)』 과 『소학언해(小學諺解)』 의 의역(意譯)과 직역(直譯) 연구 -명사유(名詞類)의 의역(意譯)과 직역(直譯)을 중심으로-

        조현진 ( Hyun Jin Jo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5 언어와 언어학 Vol.0 No.67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translation difference between Beonyeoksohak and Sohakeonhae, which show distinctive features of liberal vs. literal translation styles out of the 16th century literature in Korea. In this paper, based on the translation of Sohakeonhae, the translations of the Chinese words or phrases in the original text are compared from the perspectives of liberal and literal styles, after divided categories such as nouns. These two writings carry the translation of the same original Chinese text. Beonyeoksohak has a tendency of liberal translation style and some Chinese characters are not translated to make the sentences natural. On the contrast, in Sohakeonhae, every single Chinese character is translated. As a result, Beonyeoksohak is easier to understand as its translation is smooth and closer to the spoken Korean language, while in Sohakeonhae, the translated sentences are not natural and thus,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m.

      • KCI등재

        중저가 호텔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Kano 모형을 이용한 품질분류의 적용

        조현진(Jo, Hyun-Jin),김미경(Kim, Mi-Kyu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6

        본 연구는 Kano 모형을 이용한 서비스 품질 분류 방법이 중저가호텔의 서비스품질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 서비스 품질 연구와는 차별화된 설문구성 및 분석방법으로 서비스 품질을 분류하였으며, 이렇게 분류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저가 호텔의 서비스 품질 요인들에 대한 서비스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무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 위한 정보 제공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Kano 분류를 통한 서비스품질 측정 결과 대부분의 항목이 일원적 품질(O)로 나타났으며, 무관심 품질(I)도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지만 요인분석에서는 제외하고 일원적 서비스 품질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에서 반드시 선택해야 되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인인 서비스품질들에 대하여 Kano분류를 통하여 선형적 분석과 비선형적 분석을 융합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Kano 분류를 통한 중저가 호텔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외의 다양한 변수들, 예를 들어 경영성과, 브랜드충성도, 또는 호텔이미지 등과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연구한다면 가치 있는 결과를 산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service quality classification by Kano model is applicable in the case of mid-price hotel and to identify if these service quality a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apply Kano model to identify service quality, survey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differentiated with existing survey questionnaire on service qualit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regional and brand mid-price hotels,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appli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measuring service quality by Kano classification, most of factors are identified as One-dimensional attribute(O). Although Indifferent attribute(I) is also classified into 4 factors, they are analyzed on the base of One-dimensional attribute except for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which are classified as One-dimensional attribut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consists of room service, functional service, reservation/check-in service. This study suggests that a study on the effect of One-dimensional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by Kano classification on diverse variables such as management result, brand royalty and hotel’s image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se studies are accumulated, it is considered to achieve a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marketing strategy to insure royal customer of mid-price hotel. To gentrify th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the owner or executive should increase the capital investment in room service, restaurant service and parking facility. There also must be a consideration of plan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mid-price hotel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royalty.

      •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Ⅱ)

        조현진(Hyun-Jin Jo),이상극(Sang-Kueg Lee),강하영(Ha-Young Kang),최돈하(Don-Ha Choi),최인규(In-Gyu Choi)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6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5 No.2

        거북꼬리의 적정염색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열수 및 알칼리추출물을 사용하여 염색조건에 따른 염착량(K/S) 및 Munsell의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면, 한지, 실크에 대한 열수 및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의 최대흡수파장(λmax)은 400 ㎚였다. 염색조건에 따른 염착량은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 실크 염색물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80 ℃와 40분을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농도조건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unsell의 색상은 온도와 시간조건에서 알칼리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YR (Yellow Red) 계열의 색상을, 열수추출물 처리 염색물은 R (Red)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었으며 온도는 80 ℃, 시간은 40분을 전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 명도 및 채도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염색조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거북꼬리추출물로 염색할 경우 최적 염색조건은 온도 80 ℃, 시간 40분, 농도 100% (추출원액)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K/S values, Hue, Value, and Chroma changes of the hot-water and alkali extract of Boehmeria tricuspis have investigated to obtain an optimum dyeing conditions. Maximum optical absorption of the cotton, Hanji, and silk dyed with the extract were observed at 400 ㎚. The K/S value of the dyed silk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materials in the treatments with the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 and there was not much changes in the treatments near 80 ℃ and 40 minutes. Also, the K/S value of the dyed silk was drastical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ye was increased. In the treatments with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 Hue of the materials dyed with alkali extracts resulted in YR color, whereas materials dyed with hot-water extracts provided R color. In the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 of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mples treated near 80 ℃ and 40 minutes. The Value and Chroma of the dyed material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of dye would be 80 ℃, 40 minutes, and 100%, respectively, when cotton, Hanji, and silk are dyed with Boehmeria tricuspis extrac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스피노자의 종교 비판의 의미와 그 함축

        조현진(Jo, Hyun-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5

        유대-그리스도교적 신관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구원의 주장 그리고 성서의 도덕적 가르침으로의 환원 때문에 스피노자는 무신론자나 반종교론자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서한 4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스피노자는 자연주의적인 틀 안에서 신을 인정했다. 또, 스피노자의 새로운 성서해석방법은 제도 종교가 미신으로 전환되지 않기 위해 종교의 도덕적, 실천적 지향을 분명히 한 것이지 성서의 의미를 전면 부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또 일부 스피노자 연구가들의 주장대로 미신과 역사적인 계시종교가 의인론적 신관이나 공포와 희망이라는 정서를 공유하기 때문에 역사적인 계시종교에 대한 비판은 곧 미신에 대한 비판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종교가 미신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공포와 희망 뿐 아니라 심리적 공황,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 죄와 벌에 대한 공포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피노자가 자신의 새로운 성서해석방법으로부터 그 교리를 추출한 보편적 계시종교를 참된 종교로 옹호하고 있고, 계시종교 안에서도 복종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계시종교에 대한 비판이 곧 미신 비판과 동일시될 수 없다. 스피노자의 종교비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함축들을 끌어낼 수 있다. 먼저, 스피노자는 이론적 무신론과 구별되는 실천적 무신론의 발상을 제시하고 그것을 전면에 내세웠다. 둘째, 비그리스도교인에 대한 구원의 가능성을 통해 스피노자는 급진적인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는 종교적 다원주의를 선취하고 있다. 셋째, 종교가 갈등과 충돌의 온상일 뿐 아니라 조화와 일치의 매체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스피노자의 철학은 철학사적으로 홉스와 에피쿠로스의 계보 뿐 아니라 루소의 계보 안에 위치시킬 수 있다.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pinoza was an atheist or an anti-religionist because of his critic of the Judeo-Christian conception of God, his emphasis on ‘Philosophical’ salvation and the reduction of biblical truth to the moral teaching. As we know from in his letter 43 to Ostens, however, Spinoza believes in God within the framework of naturalism. Furthermore, The purpose of his new methodology of the biblical interpretation was not to deny the meaning of the Bible but to make clear the mor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Judeo-Christian religious tradition to prevent it from turning into superstition. Moreover, we cannot agree with some spinoza scholars’ assertion that Spinoza’s critic of historical revealed religion amounts to the critic of superstition in that historical revealed religion and superstition share with the anthropomorphic conception of God and some affects such as hope and fear. Because the deterioriation of religion to superstition can be caused by psychological panic, exclusive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 and the fear of crime and punishment, as well as hope and fear. In addition, Spinoza’s critic of historical revealed religion cannot be assimilated to the critic of superstition since Spinoza regarded universal revealed religion whose religious doctrines are derived from the Bible, as true religion and he stressed salvation by obedience in other religions. We can der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Spinoza’s critic of religion. First, Spinoza presented a practical atheism as distinguished from theoretical atheism and insisted on it. Second, Spinoza preempted some kind of religious pluralism which defended radical religious toleration through the possibility of the salvation of the non-Christians. Third, Spinoza’s philosophy can be located in the intellectual genealogy of Rousseauism as well as Hobbesianism and Epicureanism since his philosophy shows that religion is not only a hotbred of conflict and collision. but also a medium of harmony and accord.

      •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수피와 칡(Pueraria thunbergiana)의 추출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조현진(Hyun-Jin Jo),이상극(Sang-Kueg Lee),이학주,강하영(Ha-Young Kang),최돈하(Don-Ha Choi),이태성(Tae-Seong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8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7 No.1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수피 2 kg을 증류수로 냉수추출한 추출액과 칡(Pueraria thunbergiana) 착즙액 원액을 hexane, ethyl acetate 및 물 가용부로 분획하였다.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 수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COSY, HMBC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고, MALDI-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황벽나무 수피에서는 ferulic acid (화합물 Ⅰ), protocatechuic acid (화합물 Ⅱ), vanillic acid (화합물 Ⅲ)가 단리되었고, 칡에서는 puerain (화합물 IV), daidzein 8-C-apiosyl-(1→6) glucoside (화합물 V)가 단리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조추출물 및 각 분획물들에 대한 항산화 활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황벽나무 수피의 ethyl acetate 가용부와 칡의 조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dried barks (2 kg) of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ed with water and the crude extractives of Pueraria thunbergiana concentrated and fractionated with a series of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on a separatory funnel. The water soluble fraction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 series of aqueous methanol as eluents.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cellulose TLC, 1H, 13C-NMR, COSY, HMBC, MALDI- and EI-MS. The bark of Phellodendron amurense contained ferulic acid (compound Ⅰ), protocatechuic acid (compound Ⅱ), vanillic acid (compound Ⅲ) and the crude extractives of Pueraria thunbergiana contained puerain (compound Ⅳ), daidzein 8-C-apiosyl-(1→6) glucoside (compound V).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ives and each soluble fraction were tes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Phellodendron amurense and the crude extractive of Pueraria thunbergiana were very effective.

      • KCI등재

        Anti-melanogenic Effects of Cnidium japonicum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Hyun Jin Jo(조현진),Fatih Karadeniz(카라데니즈 파티),Jung Hwan Oh(오정환),Youngwan Seo(서영완),Chang-Suk Kong(공창숙)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5

        멜라닌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이 가해지면 피부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에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전으로써 생성이 된다. 하지만 과도한 자외선 노출로 멜라닌이 필요이상으로 생성이 되면 기미, 주근깨, 검버섯과 같은 색소침착 및 색소성 피부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최근에는 부작용이 적은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미백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들이 활기를 띠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식 염생식물인 갯사상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피부 색소 멜라닌 생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갯사상자 추출물 처리시 tyrosine 및 L-DOPA 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을 담당하는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2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는 갯사 상자 추출물이 α-MSH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 경로인 GSKβ/β-catenin 및 PKA/CREB 조절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갯사상자 추출물은 GSKβ/β-catenin 및 PKA/CREB 기전을 통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능 지닌 천연물 유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elanin is a pigment produced by melanocytes to protect the skin from external stimuli, mainly ultraviolet (UV) rays. However, abnormal and excessive production of melanin causes hyperpigmentation disorders, such as freckles, age spots, and discoloration. Natural cosmeceuticals are a new trend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pigmentation due to fewer side effects and biocompatibility.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Cnidium japonicum, a halophyte with several uses in folk medicine,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 skin-whitening agent. The effect of C. japonicum extract (CJE) on melanin production was analyzed in melanogenesis-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CJE successfully inhibited the oxidation of tyrosine and L-DOPA by tyrosinase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the key enzymes responsible for melanin production: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and protein-2. This effect was confirmed by decreased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elanin levels in B16F10 melanoma cells after CJE treatment. Further experiments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 revealed that CJE treatment suppressed melanin production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 β (GSKβ)/β-catenin and protein kinase A (PKA)/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pathways, which are the upstream activators of melanogenesi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 japonicum is a potential natural source of bioactive substance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cosmeceuticals that can act against hyperpig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