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양대학교 (안산 캠퍼스) 주변 담수호의 수질분석

        김용건,원호식,경진범,김동국,홍태기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2000 環境科學論文集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주변 호수들의 수질과 물의 오염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서이다. 수질은 물의 온도, pH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Mn), 총 질소(T-N), 총 인(T-P), 부유물질(SS), 그리고 중금속(Zn, Cd, Pb, Cu, As, Cr(VI), Hg)을 측정했다. 호수들의 수질등급은 환경처에 의해 평가된 등급V보다 더 낮았다. 한양대학교(안산캠퍼스) 주변의 모든 저수지들은 생활폐수, 그리고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이미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그러나 중금속의 오염은 관찰되지 않았다. 만약 폐수의 처리가 확립되지 않는다면 한양대학교 주변 저수지들의 수질은 더욱악화될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and status of water pollution in the lakes around Hanyang University (Ansan campus). Water quality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water temperature, pH, chemical oxygen demand(CODMn),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suspended solids (SS), heavy metals (Zn, Cd, Pb, Cu, As, Cr(VI) and Hg). The level of water quality of lakes was lower than the level V estimated by the Enviroment Ministry. All of the reserviors around Hanyang University (Ansan campus) had been already seriously polluted by inflow of wastewater from residents, animal husbandries and industries. However, heavy metal pollution was not observed.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pla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the reserviors around Hanyang University before it gets worse.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재택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권태감, 고독감, 그리고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동건,손정아 忠南大學校體育科學硏究所 2003 體育科學硏究誌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older women who are home-centered. Subjects met the following criteria:(a) older than 65 years, (b) have not participated in another leisure education or leisure counseling program, (c) had difficulty leaving her home without assistance and limitations in two or mo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single subject multiple baseline design, replicated across two participants, was employed. the effects of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the dependent measures of psychosocial well-being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inspection of graphic displays which involved identification of the following factor:(a) median level within and between conditions;(b) trend direction and changer in trend within and between phases.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participation in a leisure education program twice a week for one hour over(eight)weeks. Participants' leisure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The meas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oredom, loneliness and depression) were not affected by the leisere education program.

      • 산전 태아사망 환자에서의 Mycoplasma hominis와 Viridans streptococcus감염 1예

        김윤숙,문성택,전섭,김종수,최승도,선우재근,배동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3 No.1

        Mycoplasma hominis was isolated from a Bartholin's gland abscess 70 years ago, and ureaplasmas were isolated from the genital tract about 20 years later. Subsequently, reports incriminating mycoplasmas in the known adverse outcomes of pregnancy have been reported. Without doubt these genital mycoplasmas are able to invoke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take part in the cascade of events that culminate in preterm birth. Amniotic fluid infection results in considerable pregnancy wastage in the pregnancy. In these cases Gram-positive organisms, especially group B streptococcus and Streptococcus viridans were the most common pathogens isolated. In our case, the patient has fever and vaginal discharge at 14+4 weeks gestation and two days after intrauterine fetal death was seen. The vaginal culture and sensitivity shown Mycoplasma hominis and Vihdans streptococcus. We experienced a case of Mycoplasma hominis and Viridans streptococcus infection in a patient with intrautehne fetal death and repor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혈액종양병동 입원환자에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직장내 감시 배양 연구

        김명신,이승옥,임지향,서광수,김용구,한경자,최정현,유진홍,최수미,신완식,이동건,김경미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3

        목적 : Vancomycin 내성장구균(VRE)은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VRE 보균상태의 환자들을 파악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종양병동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VRE의 직장내 감시배양을 실시하여 그 빈도 및 분포를 알아보고, 집락화된 균주와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VRE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혈액종양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14개월간 직장 감시배양을 시행하였다. 혈액한천배지에서 장구균이 의심되는 집락을 따서 vancomycin 6㎍/㎖이 포함된 Brain-heart infusion agar에 10^(6) CFU를 접종하여 vancomycin 내성선별검사를 하였다. 이 기간 동안 4병실에서 환경감시배양을 시행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Microscan을 이용하여 균종을 동정하였고 vancomycin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Multiplex PCR로 균종 확인 및 동시에 vancomycin 내성 유전형을 알아보았다. 결과 : 대상이 된 452명의 환자 중 230명(50.9%)이 직장내 VRE 보균자로 확인되었다. 균종의 분포는 E. faecium (72.4%), E. faecalis(24.1%) 순으로 vancomycin에 대한 MIC가 128㎍/㎖ 이상의 고도 내성이었으며, vanA형이 대부분이었다. 환경 감시배양에서는 2개 병실에서 VRE 4주가 분리되었다(E. faecium 3주, E. faecalis 1주). 감시기간동안 32명의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33주의 VRE가 동정되었고 이 중 29명(90.6%)이 직장내 VRE 보균자였다. 결론: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혈액종양병동의 VRE의 직장 내 집락화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임상검체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의 경우 VRE 직장내 집락화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보균상태의 VRE가 환자의 감염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지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emerged as important pathogen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rectal VRE colonization at hematology-on-cology uni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RE colonization and infection. Materials & Methods: All VRE isolates were obtained from rectal swabs and clinical samples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over 14-month period at hematology-oncology unit in St. Mary's Hospital. The agar screening test was performed by using 6 ug/ml of vancomycin in brain heart infusion agar with 10^(6) CFU inoculum. During this period, the environmental surveillance culture was performed in 4 hospital rooms. Species identification of VRE was done by Microscan and MICs to vancomycin. Identification and genotyping of VRE pattern were confirmed by multiplex PCR. Results: Rectal colonization rate was 50.9% (230 among 452 patients). The most common isolate was E. faecium (72.4%) followed by E. faecalis (24.1%), and all had vanA genotype. Four VREs (three E. faecium and one E. faecalis) were isolated from 2 hospital rooms. During this period, 33 clinical VRE strains from 32 patients were isolated (infected or colonized). Twenty nine (90.6%) of these clinical isolates came from VRE carrier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high rectal colonization rate of VRE in patients hospitalized at the hematology-oncology unit in St. Mary's Hospital. The colonization rate of VRE in the rectum was higher among the patients who had clinical infection by VRE. Therefore, the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VRE infection should be deveoloped and monitored.

      • α-위치에 작용기를 가지는 Benzylamine의 합성

        김흥재,감경희,조수동,안철진,이영근,신동수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1999 Gene and Protein Vol.3 No.1

        We have investigated the first synthetic methodology of phthalimide-benzylacetate from benzylphthalimide which are easily prepared to phthalimide as starting material. Phthalimide-benzylacetate was afforded in NBS, sodium acetate, acetic acid and chlorobenzene condition as good yield. Finally, amino(phenyl)methyl acetate(1) was synthesized from phthalimide-benzylacetate under hydrazine monohydrate, acetic acid.

      • A-Si:H/Cd 계면층을 이용한 a-Si:H의 결정화 연구

        김도영,최유신,임동건,이준신,김홍우,이수홍 성균관대학교 1997 학술회의지원논문목록집 Vol.1997 No.-

        We studied the crystallization of a-SiH thin film. Multi crystallized Si fillms are preferr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FPD, solar cells, RAM, and integrated circuits. Because most of these applications require a low temperature process, we investigated a crystallization of a-SiH using a Cd layer. A metal Cd shows an eutectic point at a temperature of 321°C. THis paper present Cd layer assisted crystallization of a-SiH film for the various grain growth parameters such as anneal temperature. Cd layer thickness and anneal time.

      • 한약에 의해 유발된 급성 간질성 신염 2례

        김덕윤,박동건,김응석,강영모,양창헌,이정호,이동철,이영현,김정란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간질성 신염은 신장의 간질을 선택적으로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되며, 이 중 약물에 의한 경우는 각종 항생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 항경련제, 이뇨제, 면역억제제등에 의한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 각종 질환-특히 만성질환-의 치료에서 한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으나, 그 각각의 성분들이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관절염 치료를 위해 중국산 한약을 복용한 후 복통, 피로감 및 육안적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두 환자에서, 단백뇨와 신기능 장애를 보여 시행한 신조직 생검상 급성 간질성 신염에 합당한 병리학적 소견을 보이고, 한약 복용 중지 후 급속한 회복을 보여, 한약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사료되는 급성 간질성 신염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renal interstitial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acute renal functional deterioration. This is caused mainly by antibiotics, NSAID and diuretics such as thiazide, but cases induced by herb medication are rare. We experienced two cases of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fter treatment with herb medication. One 71-year-old female patient and the other 60-year-old female were admitted to the hospital because of general weakness and gross hematuria. Microscopic hematuria, pyuria, and proteinuria were presented. After definitive diagnosis with a renal biopsy, we noted rapid recovery of renal function by drug withdrawal and steroid therapy. We report these cases with a review of the referenced literatures. Key Words : Herb medication,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 편마비 환자의 정상측과 마비측의 비복근 운동점에서의 근육 두께 차이

        김동건,도현경,김현동,황지선,정규영,정호중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1

        Objective :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of muscle thickness in the motor points of the gastrocnemius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legs in hemiplegics. Method : Ultrasonography was used to assess in vivo the gastrocnemius muscle thickness at the motor points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legs of twenty-four patients with stroke. Results : Muscle thickness at the motor points were reduced in the paretic legs compared to the non-paretic legs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uscle thickness and duration of hemiplegia, site of hemiplegia. However, it did not take regular pattern of the muscular atrophy in the paretic legs. Conclusion : The gastrocnemius muscle of the paretic leg had smaller thickness compared with the non-paretic leg.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paresis in hemiplegics may affect the accuracy of intramuscular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A. Therefore, we recommend ultrasonography for visually controlled, anatomically precise injection of botulinum toxins.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Micafungin의 예방 효과 및 안전성

        김시현,이동건,최수미,권재철,박선희,최정현,유진홍,이성은,조병식,김유진,이석,김희제,민창기,조석구,김동욱,이종욱,민우성,박종원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3

        Background: Micafungin, a potent inhibitor of 1,3-β-D-glucan synthase, is a novel antifungal agent of the echinocandin class. In vitro study showed that micafungin was effective against Aspergillus species as well as Candida species, but clinical data on the prophylactic efficacy against invasive fungal infections (IFIs) other than candidiasis are still lacking.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60 consecutive adul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recipients who received at least 3 doses of micafungin during neutropenic period. Micafungin was started as an alternative in patients who were intolerant or had adverse events (AEs) to primary prophylactic antifungal ag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analyz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micafungin for prophylaxis against IFIs. Results: The patients either had autologous (n=9) or allogeneic (n=51: 1 syngeneic, 24 sibling, 26 unrelated donor) HSCT. Itraconazole oral solution (n=58)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irst line antifungal agent for prophylaxis and was administered for median 11 days. The most frequent cause of switch to micafungin was vomiting (n=42). The duration of neutropenia and micafungin administration was median 13 and 12 days, respectively. A successful outcome was achieved in 45 (75%) patients. Empirical antifungal therapy was initiated in 13 (22%) patients. There were 2 cases (3.3%) of breakthrough fungal infections which comprised a probable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and a possible invasive fungal sinusitis. There was no case of invasive candidiasis. A total of 53 (88%) patients experienced at least one AE regardless of causality during micafungin administration. The most frequent AEs were hypokalemia, vomiting, diarrhea, and elevate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or alanine aminotransferase. Among the aforementioned AEs, only 1 case of diarrhea could be classified as a probable relation with micafungin when causality was assessed. There was no AEs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micafungin. Conclusions: Micafungin seems to be a safe and effective agent for prophylaxis of IFIs including aspergillosis as well as candidiasis in HSCT recipients. However, further large, prospective, and randomized comparative studies are warranted for aspergill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