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경전증후군 환자에 있어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

        정기옥,김휘,권동진,임용택,김장흡,김은중,김진흥,이진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2

        본 연구는 1994년 10월 1일부터 1995년 7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월경전증후군 클리닉에 내원한 71명의 환자중 다른 신체적 정신적 질환에 의한 18명과 만성 질환의 월경전 악화를 호소하는 9명을 제외한 수수 월경전증후군 환자인 4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경전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은 평균연령이 38.65세였으며 발생기간은 8.29년이었다. 과거력상 임신후유증이 있었던 경우는 29.3%이었다.(Table 1). 2. 증상중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63+-0.39으로 감소하였으며, 그후 대증요법(약물요법) 사용후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최초 3개월째에 비해 0.63+-0.49로, 그리고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0+-0.2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3. 증상중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 0.77+-0.50으로, 그 후 대중요법을 사용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서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4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4. 일상생활의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80+-0.42로, 그후 대중요법 사용후 3개월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 0.65+-0.41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3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lt;0.05, Table 2). 5. 각 군에 따른 비교에서 증상의 이환기간은 III군이 12.35+-5.90년으로 II군의 6.42+-3.95년과 I군의 4.21+-1.84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lt;0.05) 임신횃수에서는 III군이 2.28+-0.48로 II군의 1.57+-0.53에 비해, 월경 통증의 정도는 II군이 1.57+-1.13으로 I군의 0.89+-0.3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lt;0.05, Table 3). 6. 전 대상 군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빈도는 우울증이 16%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불편으로는 두통이 23%로 가장 많았었다. 각 군에 따라서는 감정적 불편이 I군에서는 피로감(45%), 우울증(32%), II군에서는 불안(24%), 분노(21%), III군에서는 분노(20%), 우울증(18%)이 많았고 신체적 불편은 I군에서 두통(24%), 관절통(15%), II군에서는 두통(27%), 부종(22%), III군에서는 부종(18%), 두통(15%)을 많이 호소하였다(Table 4) 7. 각 군에서의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과 III군에서 각각 0.47+-0.05, 0.80+-0.22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69+-0.43, 0.51+-0.44, 0.41+-0.35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2+-0.48, 0.35+-0.19, 0.34+-0.31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5) 8. 각 군에서의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에서 0.49+-0.46으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56++0.38,0.54+-0.34, 0.63+-0.36으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18+-0.19,0.32+-0.23, 0.75+-0.62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6). 9. 각 군에서의 일상생활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I군에서 0.59+-0.42로, 5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75+-0.43, 0.43+-0.41, 0.37+-0.55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월경전증후군은 주로 30대가 많았으며 이환기간은 적어도 수년동안 지속되어 왔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일 수록 이환기간이 더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신횟수가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치료효과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경우 6개월 후 약 70%의 개선이 있었으며 신체적 불편의 경우 53%, 일상생활 불편의 경우 53%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 경우 감정적 불편, 신체적 불편, 일상생활 불편이 경증인 경우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으로 6개월후 68%, 82%, 23% 증등도인 경우 대중요법이 첨가되어 각각 65%, 68%, 57%, 중증인 경우 각각 66%, 25%, 63% 의 개선효과를 보여 앞으로 월경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있어 1차적 치료로서는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 그리고 중등도 및 중증 불편은 적극적인 약물 치료법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menstrual syndrome refers to physical or affective synmotoms that appea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menstural cycle, remit during menses, and affect the woman`s relationships or ability oto function. Earlier retrospective histories are considered to be unreliable. Because the criteria used to make the diagnosis varied among groups. Some treatment aim to correct the purported biologic problem underlying premenstrual syndrome, but in the absence of firm knowledge of the cause, specific corrective treatment is not possible. Therefore, much of current therapy has a symptom specific basis.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effect of treatment of 44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who visited at PMS clinic of Kang Nam St.Mery`s hospital from Oct.1, 1994 to July 31, 1995.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mean age of patients were 38.65+-4.58 years old and mean symptomatic period was 8.29+-5.93 years, and percentage of previous pregnancy complication was 29.3%(Table 1). 2. In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after 3 months was 0.63+-0.3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0.30+-0.2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was 0.63+-0.49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y(p$lt;0.05, Table 2). 3. In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after 3 was 0.77+-0.50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48 compared with initial visit respectively(p$lt;0.05, Table 2). 4. In residual rate of daily behavior, afte 3 months was 0.65+-0.41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37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0.65+-0.41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ly([$lt;0.05, Table2). 5. The symptomatic period age of patients according to groups,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 and II. In number of previous pregnancy,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I. In dysmenorrhea, Group II increased compare with Group I(p$lt;0.05, Table 3). 6. In total patient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depression(16%) and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3%). According to the Group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fatigue(45%) in Group I, anxiety(24%) in Group II and anger(20%) in group III. The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4%) in Group I and II, edema in Group III(p$lt;0.05, Table 4). 7.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5) 8.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 & III(p$lt;0.05, Table 6) 9. Residual rate of behavior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7) These data suggest premenstrual syndrome calendar, excercise, diet control is a useful method of treatment in the mild case. But conservative medical treatment is obligatory in moderate and severe case.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외톨개 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 추출물 첨가에 의한 빵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 향상 효과

        이청조(Chung-Jo Lee),최정수(Jung-Su Choi),송유진(Eu-Jin Song),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서진(Seo-Jin Kim),윤소영(So-Young Yoon),이소정(So-Jeong Lee),박나비(Na-Bi Park),정지연(Ji-Yeon Jung),곽지희(Ji-Hee Kw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외톨개 모자반 발효주정 추출물을 0.5, 1, 2%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모닝빵의 저장성,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6일간 25℃에 저장하며 일반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서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첨가농도에 의존적으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산화 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 황색도의 경우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0.5, 1%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0.5% 첨가구가 맛과 질감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톨개 모자반 발효주정 추출물을 0.5-1% 정도 첨가할 경우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s made with 0.5, 1 and 2% of Myagropsis myagroides fermented ethanol extracts (MOE). The total microbial count in breads made with 2% MOE decreased to about 1.6 log cycles as compared to that of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 protection index measured by rancima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MOE in the breads.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pH 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breads containing MOE and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he bread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MOE, while the yellowness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reads containing 0.5% MOE were more preferred than the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0.5% MOE to breads has a good effect on improving the shelf-life and overall quality.

      • KCI등재

        자연 피임법을 위한 배란점수 산출법

        김기원(KW Kim),나종구(Rha CG),정구윤(KY Chung),이헌영(HY Lee),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5

        저자들은 자연 피임법의 새로운 방법으로서 배란 점수법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적인 연구로서 1975년 9월부터 1976년 10월까지 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 및 가족계획 크리닉에 등록된 기혼 여성중 본 연구에 협조적인 41명을 대상으로 이들에게서 얻은 증상, 체온표, 114주기를 검토 관찰하고 배란 점수를 준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배란 증상은 유방팽만, 경관점액의 변화, 중간통,배란기 성기 점상출혈의 빈도 순 으로 나타났다. 2) 각 배란 증상은 관찰 주기수가 많을수록 느끼는 빈도가 높았다. 3) 경관 점액 변화의 최고 증상일은 배란일 전 0.9일 이었고 지속 기간은 최고 증상 일을 중심으로 6.2일간 이었다. 4) 중간통의 최고 증상일은 배란일 전 0.3일 이었고 지속기간은 2.0일 이었다. 5) 배란기 성기 점상출현은 1.8일간 지속되며 최고 증상일은 배란일 전 1.1일 이었 다. 6) 유방팽만은 전 월경기에 5.3일간 지속되며 최고 증상일은 배란일 후 5.8일 이었 다. 7) 배란 점수법에 의해서 각 월경주기내에서 일정 기간의 가임기를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이것을 벗어난 주기는 5.3%이었다. 또한 월경 주기형이 일정한 경우에는 각 주기에서 11일간의 가임기를 볼 수 있었으며 이 기간중 특히 5일, 6일 7일에서 배란 점수가 제일 높았다. 이상으로 저자들은 배란 증상이 배란기와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관찰 하였고 이것을 기초로 월경 주기와 더불어 배란 점수법을 시도 하였다.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ncrease in interest in natural contraceptive measure in recent year because of growing disenchantment with current methods of contraception, refinement of techniques for measurement of hormonal levels in blood and urine and acknowledgement of the fact of the millions never using any but a natural contraceptive measure. We studied ovulation score method as a new natural contraceptive measure that is arranged of ovulation symptoms and menstrual period. It is based on the known of a characteristic changes of cervical mucus, intermenstrual abdominal pain(Mittelschmerz), intermenstrual genital spotting(Kleine-Regel) and breast engorgement or fullness during the menstrual cycles without an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ort of preliminary study of ovulation score method, is to decide the ovulation period and confine the correct fertile period using ovulation score for the practical use of contraceptive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reproductive age of women could predict and identify symptomatically the occurrence of ovulation, fortyone volunteers with 114 cycles were instructed in patterns of several ovulation symptoms and menstrual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t ovulation symptomes were 82.9% of breast engorgement or fullness, 63.4% of cervical mucus symptom, 31.7% of Mittelschmerz and 26.8% of kleine-Regel in order respectively. 2. The incidences of ovulation symptoms were higher in Group B (observed more than 3 monthes) compared to Group A (observed less than 3 monthes). 3. The peak symptom day of cervical mucus amounts were noted on 0.9 day before the estimated ovulation date an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was 6.2 days. 4. The peak symptom day of Mittelschmerz were noted on 0.3 day before the estimated ovulation date and continued for 2.0 day. 5. The peak symptom day of Kleine-Regel were noted on 1.1 day before the estimated ovulation date and continued for 1.8 day. 6. The peak symptom day of breast engorgement of fullness were noted on 5.8 day after estimated ovulation date and developed for 5.3 days especially at premenstrual period. 7. Calculated from the ovulation score method, fertile preiod of each cycle was within regular day and 114 cycles were mostly included in this fertile period. Especially in the cases of regular menstrual cycles, the fertile period was 11 days and in this fertile period, the ovulation score was higher on 5th, 6th and 7th day.

      • KCI등재

        장액성 유두상 자궁내막선암 1 례

        이규완,정경효,이낙우,김용민,이용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7

        저자들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수술후에야 알게된 암병기가 stage IVb, 분화도가 grade III인 장액성 유두상 자궁내막선암 1례를 경험하였기에, 향후 자궁내막암 특히 장액성 유두상 자궁내막선암의 조기진단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denocarcinoma of the endometrium is presently the most common gynecologic malignanty in the U.S.A. and Europe. Also, in Korea the incidence of endometrial carcinoma tends to increase grdually. Fortunately, because most of the patients who develope this desease are diagnosed in stage I, there is usually a good prognosis. But the prognosis of the serous papillary endometrial carcinoua(SPEC), subtype of endometrial carcinoma is very poor, it must be diagnosed in the early stage for proper treatment. The SPEC represent 1.1% to 10% of all adenocarcinoma of the endometrium and tends to develope at 60 or above years after menopause almostly.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SPEC diagnosed after explolaparotomy in 62 years old women and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중독 임신중독증에 병발한 무뇨증 1치험예

        정원영(WY Chung),이교웅(KW Lee),권순욱(SW Kw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6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7 No.8

        1. 중독임신중독증으로 인하여 초래된 급성신기능부전의 일례를 경험한 바 있어 보고하였다. 2. 입원후 첫 2-3일 간의 수분공급은 600+배설량의 원칙에 비하여 다소 과량을 공급함으로 인하여 조기에 폐수종을 초래하게 된 동기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3. 환자는 7일째 tracheotomy를 시행한 후 극적인 호전을 보며 congestive heart failure의 위기를 모면하였다. 4. Rheomacrodex 투여로 신장순환을 촉진시키고 만족스러운 이뇨작용을 얻을 수 있었다. 5. 발병 6개월 후에는 신장기능의 완전 회복을 확인하였다. ... 자간증... 임신성고혈압.... The Case reported was 36 years old women who had eclampsia on delivery and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Therapy initially is directed toward the Control of water balance. The patient was tried to maintain on 600 cc of water plus the measured fluid loss. Tracheotomy was performed because patient was unable to expectorate her coughing sputum on 5 th date of admission. Hyperkalemia accompamy critical event. During diuretic phase, patient was replaced the adequate amount of sodium, potassium and water. Repeated blood and uriuary biochemistry returued normal level on 27th of postpartum date but low urine specific gravity which was restored completely on 5 months l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