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영업 선택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전병유 한국노동경제학회 2003 勞動經濟論集 Vol.26 No.3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자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금전적인 제약과 실업률로 대표되는 경기적 요인이 자영업 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 자료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력이나 직업 경험과 같은 인적자본은 남성의 자영업 선택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에는 직업 경험이 자영업 선택에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낫다. 부동산 자산 소유는 고용주 선택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금융 자산 소유에 따른 소득은 자영업 선택에 오히려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적인 문화와 환경 조건을 반영하는 자영업 경험 여부 또는 부모가 자영업인가의 여부는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자영업의 선택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있게 검토한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우선 미시적인 분석에서 선택편의와 예상소득기회의 차이를 통제한 구조 모형에서 실업률은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시 분석에서도, 경기변동과 노동시장의 조건을 반영하는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외환위기 이후 대체로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자영업은 실업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는 '밀어내기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변동에 대응하는 자영업 선택에 관한 개인의 의사결정에서 자영업 선택에 따른 소득기회와 관련된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개인적 특성의 차이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s determining individuals' behavior of selecting self-employment not only at the micro-lev디 but also at the macro-level to put a particular emph asis on the financial constraint and unemployment rate representing business cycle .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Korean Labor and Income Panal Study』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such as edu cational attainment and job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male's selection of self-employment. The effects of job experience, however, changed negative for female's selection of self-employment. Second, real estate is signific antly enhancing the selection probabilities of employer selection while the income from financial assets has negative effects. Third. entrepreneurial culture and enviro nment are also raising the self-employment selection probability. Lastly, the regio nal unemployment rate representing the business cycl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mployment selec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both at the micro and macro level. Moreover, the coefficient of regional unemployment rate has ch anged positive in the structural model of self-employment selection controlling f or selection bias and income opportunities, which means that individual's behavior of self-employment selection is rather complex when accounting for the uncertainties of income opportunities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 t workforce.

      • KCI우수등재

        The Crisis, Mobility and Dualization in the Korean Labour Market

        Byung You Cheon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3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test dualization of the Korean labour market in terms of employment adjustments and labor turnover during the crisis. How have the employment adjustments following the crises occurred between permanent and temporary worker groups in the Korean labour market? Is the probability of job loss higher in workers of weaker positions such as contact-based temporary workers? Should the higher incidence of contract-based temporary workers have lowered the employment adjustments of permanent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crisis on the employment adjustments were more focused on temporary workers. The employment volatility and relative job loss rate of temporary workers have increased during and after the crisis. And, the hypothesis that the contract-based temporary workers become increasingly working as a buffer for job security of the permanent workers in the crisis is accepted.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중간일자리 및 중간임금계층을 중심으로 / 논평 / 토론

        전병유 ( Byung You Cheon ),김종면,이철희,김용진,신관호,정지만 한국금융연구원 2007 한국경제의 분석 Vol.13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focusing on the middle-class of the labor market. The job polarization and the wage polarization have been examined between 1993 and 2006. The jobs are rank-ordered in the industry-by-occupation matrixes being indexed by earnings. The middle-level jobs are defined as 25~75% of the rank-ordered jobs in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workers in 1993. The middle-level wage earners are defined as those earning 67~133% of median wage each year. Not only the proportion of middle-level jobs decreased from 50% in 1993 to 41% in 2006, but also that of middle-level wage earners decreased from 47% in 2000 to 43% in 2006, which evidenced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The causes of the job and the wage polarization could be found from the side of labor-demand rather than from the labor-supply side. The major causes would be in the de-industrialization of the economy in terms of jobs. The large scale entries into the labor market of female and youth workforce are not the major causes of the polarization. The policy reponses to these polarizations will be to enhance the quality of low and middle level jobs as well as to generate the middle-level jobs.

      • KCI우수등재

        업무에서의 컴퓨터 사용의 임금효과

        전병유(Byung You Cheon) 한국경제학회 2002 經濟學硏究 Vol.5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wage effects of on-the-job computer use. The estimated wage differential associated with computer use in Korea is very similar to that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The raw long wage differential for computer use in Korea is more than 30%.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the wage premium for computer use is 11∼15%. It is 8∼11% when other controls for job and employer characteristics are included. The computer wage premium, particularly, is greater for female, low-aged, and low-wage workers. This implies that the computer-related public training program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high-skilled and low-skilled workers.

      • KCI등재

        자산과 소득불평등의 총수요효과와 성장체제

        전병유(Cheon, Byung You),정준호(Jeong, Jun H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1

        이 글은 전형적인 포스트케인지언의 수요체제 모형에 자산과 부채의 동학, 그리고 개인(가구)소득 불평등을 추가하여 이들의 총수요 효과를 분석하였다. Bhaduri and Marglin(1990) 모형을 확장한 Stockhammer and Wildauer(2015) 모형을 활용하여, 1999년-2014년까지 한국경제의 수요체제를 분석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는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대외부분을 고려하더라도 임금주도성장체제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노동소득분배율의 개선이 소비를 증대시키는 전형적인 포스트케인지언의 경로를 따르기보다는 노동절약적인 투자 확대와 이를 통한 수출의 확대라는 경로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Stockhammer and Wildauer(2015)의 분석 결과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부채주도성장의 증거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이 소비를 증가시키는 ‘소비의 낙수효과(expenditure cascades)’ 현상이 나타났지만, 소득불평등 악화에 따른 투자 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소득불평등 악화의 총수요 효과는 부(-)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focuses on aggregate demand effects of asset-debt dynamics and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 the typical post-keynesian model of demand regime. It analyzed the demand regime of Korean economy between 1990-2014, using the model of Stockhammer and Wildauer (2015) with the enlargement of Bhaduri and Marglin(1990) model, The result is that while the Korean economy has also wage-led growth regime, it drives not consumption growth, but export growth through labor-saving technology adoption. The evidence of debt-driven growth is found to be very weak in Kore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 of Stockhammer and Wildauer(2015). Although the higher income inequality does not has effects of increasing consumption(expenditure cascades), the effects of reducing investments is larger, which means the total demand effects of higher inequality is proved to be negative.

      • KCI등재

        복지국가의 인센티브 문제에 관한 연구

        전병유(Byung You Che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2

        이 글에서는 북구 복지국가 모델이 경제적 인센티브와 윤리-규범의 문제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기 어렵다는 경제학적 논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형평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적 기획인 복지국가의 주된 경제적 기능은 위험에 대한 사회적 보호 즉 보험 기능이다. 복지국가는 사적 보험의 실패를 극복하여 인적자원과 혁신 투자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기여와 분리된 조세 기반의 보편적 복지와 시장에서의 임금평등을 추구하는 복지국가는 잠재적으로 인센티브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스웨덴과 같은 북구 복지국가는 고용 중심의 제도 배열, 노동윤리와 급여규범 유지에 기여하는 제도·정책의 설계 · 운영, 격차 축소의 인센티브 메커니즘 형성, 교육에 대한 공적 투자와 사회보장과의 정합성 구축 등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었다. 북구 복지국가 모델은 인센티브-규범의 문제가 이론과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와 정책으로 대응 가능한 현실의 문제를 보여주는 현실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economic reasoning of non-sustainability of welfare state due to its intrinsic incentive problems and to see how the nordic welfare state responds to them. The welfare state as a political design of state to pursue equality has social insurance as its main economic function. It survives market failure of private insurance to contribute to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The universal tax-financed welfare state, however, has the problem of tragedy of commons such as reduced work incentive and work ethics. But, the existing nordic welfare state overcomes it through employment-focused policy arrangements, maintenance of work ethics and benefits moral, incentive mechanism of wage-compression, public educational investment and its complementation with social security. The Nordic model shows that problems of incentive and moral are not about those of theory and reasoning, but about their reality which policies and institutions could respond to.

      • KCI등재

        임금 불평등 변화의 요인분해: 2006-2015년

        정준호 ( Cheon Byung-you ),전병유 ( Jeong Jun-ho ),장지연 ( Chang Jiye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2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임금불평등을 지니계수의 변화와 이를 초래한 요인들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자료와 임금 지표에 따라 추세가 달라지지만, 주당 35시간 미만 일하는 파트타임의 증가로 전체근로자 임금총액의 지니계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는 반면, 시간당임금 지니계수와 풀타임근로자의 임금총액 지니계수는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파트타임 증가가 임금총액 기준의 불평등은 높였지만, 파트타임의 시간당임금 증가는 시간당임금 기준의 불평등을 낮추었다. 풀타임 노동자만을 대상으로, 지니계수 감소 요인을 분해한 결과, 불평등 감소에 절대적으로 기여가 큰 요인은 근속, 경력, 직종 등의 변수였고, 고용형태 변수는 불평등 감소에 미미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업체 규모 변수는 불평등을 오히려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이나 연령, 교육 등의 변수는 불평등 변화에 유의미한 크기의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는 장기근속과 관리전문직종에 대한 임금프리미엄의 감소와 대규모사업체의 임금프리미엄 증가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wage inequality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since the mid-2000s. Although trends vary by data and wage indices, the Gini coefficient of the total wage of all workers shows an increasing trend due to the part-time increase of less than 35 hours per week, while the wage Gini coefficient of hourly wages and the total wage Gini coefficient of full-time workers showed a declining trend. Part-time increases have increased inequality based on total wages, but part-time hourly wage increases can be considered to have reduced hourly wage inequality. Therefore,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factor of Gini coefficient reduction only for full-time workers, factors that contributed absolutely to inequality reduction were variables such as job tenure, career, and occupation, and employment type variable has little effects, and the establishment size variable deepens inequality. The variables such as industry, age, and education did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inequality change. This is attributed to the decline in wage premiums for job tenure and management and professional jobs and the increase in wage premiums for large-scale businesses.

      • KCI등재

        간접고용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이시균 ( Byung You Che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1

        본 논문은 사업체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간접고용의 고용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파견근로와 사내하청/용역근로와 같은 간접고용의 활용은 고용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간접고용 중 사내하청/용역의 활용은 정규직 창출률과 직접고용 순고용증가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결과는 간접고용과 직접고용의 활용 간에 대체효과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해 간접고용에 대한 사회적 규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the pail-time work and related polices in Netherland, which increased the employment rate for the past 30 years with part-time job creation. Netherland has been successful in making part-time ``good`` jobs. There were many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increaing part-time jobs such as market, institution, policies, and industrial relations. There was virtuous cycle between increase in the supply of female labor power and increase in the demand for part-time worker in the labor market. The policies were reinforced which protect part-time workers, introduced the incentive system which was favorable to part-time wokres, guaranteed the right to select working hours to workers. Particularly, the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policies were created in the midst of the social dialogue. As the polder model has been persisted for almost 30 years, the switch to full-time work or long working-hour model would not be possible. As the paler model is a very specific model based on the Netherland`s own social conditions, it is not easy to copy and transplant in othe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