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성 인식(Trait Recognition)을 통한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건전성 평가

        국찬표,이근경,한상일 한국금융연구원 2003 금융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개별은행의 건전성을 평가한 후 일정 은행군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특성인식을 방법론으로 사용하여 우리니라 은행들의 건전성을 평가해 보았다. 표본 내 및 표본 외 자료를 이용한 본 논문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특성모형은 미국과 유사하게 우리나라에서도 부실 및 건전은행을 적절히 구별해내며, 로짓 모형보다는 제 1종 및 2종 오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본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 설정한 변수들 가운데 자산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X_(7)(무수익여신 비율), X_(8)(외화여신/총여신)과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X_(9)(순이자소득/총자산), X_(12)(영업이익/총수입), X_(13)(ROA), X_(14)(ROE)등은 은행의 도산가능성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은행의 유동성을 나타내주는 지표인 X_(15)(유가증권/총자산), X_(16)(주식/총자산), X_(17)(회사채/총자산)등도 은행의 도산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행의 생산성을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X_(26)(총자산/종업원수), X_(27)(총대출/종업원수), X_(28)(총이익/종업원수)등도 은행의 건전성을 판별하는 데 유효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에 대해서 97년 당시의 전체 20개 은행을 분류한 특성(features)을 이용해서 2003년 현재 은행의 건전도를 평가해 보았다. 이 결과 은행의 건전성이 97년보다 크게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외환 위기 이후 금융구조조정의 성과가 일정부분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일정기간 동안 은행위기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seeks to ascertain the soundness of the Korean banking industry by applying an empirical method calledthe trait recognition model (TRM). We perform an empirical test with 20 banks; 10 failed banks and 10 non-failed banks. The sample is split into (1) an original sample used to build a classification model and (2) a holdout sample reserved for prediction purpose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empirical test, TRM identifies non-failed and failed banks relatively well, as it has done in the U.S. TRM also outperforms the logit model in terms of minimizing Type 1 (identifying a failed bank as non-failing) and TypeII( identifying a non-failed bank as failing) errors. The variables related to asset quality,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predict banking failures relatively well. The variables for bank size, capital adequacy, diversification, and liability are less effective in predicting banking failures. We also evaluate the soundness of those banks that were still in operation at the end of 2002 based on variable bank features in the period of 1996-1997. We find that the soundness of most banks was relatively robust, though several banks still have problems with regard to their asset quality and profitability. Every bank is found to have maintained safe features on the variables related to productivity, which were considered most effective toward determining bank soundness. We believe this is mainly a result of improvements in productivity realized through bank restructuring and M&As.

      • 백서에서 신 허혈성 손상에 미치는 칼슘 길항제의 효과

        문철웅,정종훈,박천국,이승일,배학연,장경식,김만우,정춘해,홍순표,이병래,김호중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8 No.1

        Renal ischemi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acute renal failure. Four factors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acute renal failure are vasoconstriction, decreas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tubular back leak of filtrate, and intratubular obstruction. The cellular response to renal ischemic insults include decreased content of adenosine trihosphate, lipid peroxidation induced membrane degradation, alteration in cellular pH, and calcium or phospholipase 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role of increased cellular calcium as a pathogenetic contributor to cell injury during ischemia. Author studied the protective effects of calcium antagonists on cellular injury during renal ischemia in ra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role of these agents, author measured the amount of malondialdehyde(MDA) and the enzyme activities of free radical scarvengers-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from non-pretreated group and calcium antagonists pretreated groups in control, ischemia and reflow subgroup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amount of MDA in non-pretreated group was higher in the reflow compared with the control(<p<0.01). But, in all pretreated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DA. 2) The SOD activity in non-pretreated group was lower in both the ischemia and the reflow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But, in both verapamil and trifluoperazine-pretreated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SOD activity. 3) Both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non-pretreated group were lower in both the ischemia and the reflow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But in all pretreated groups, there was no statically difference in both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ee radical mediated ischemic injury by renal artery clamp in rat can be protected by intraperitoneal pretreatment with calcium antagonists. As trifluoperazine has a protective effect in renal ischemia, the calcium activated calmodulin dependent enzyme may play a role in renal ischemic inju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및 기업가치

        국찬표(Chan Pyo Kook),강윤식(Yun Sik Kang) 한국증권학회 2011 한국증권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CSR과 관련된 국내의 초창기 연구로서 CSR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SR과 기업지배구조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CSR 활동은 기업가치를 제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자발적인 CSR 활동을 수행할 유인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CSR 활동과 관련된 대리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업지배구조 수준에 따라 CSR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점을 검증하였는데,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경우에 CSR 활동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반면 기업지배구조가 취약한 경우에 CSR 활동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수한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이 효율적인 CSR 활동 수행을 유도하여 매출증대, 명성제고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또한 대리인 비용이 되는 비효율적인 CSR 활동은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감소시킴으로써 그 결과 기업가치를 보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와 CSR 활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일수록 CSR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는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과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고려하는 CSR 활동이 상충하지 않고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자발적으로 CSR 활동을 수행할 유인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CSR을 통해 주주와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이 동시에 도모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는 또 다른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 of CSR on the corporate value and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s market. The result shows that CSR activities improve the corporate values, and it implies that this is the reason for firms to implement the voluntary CSR activities continuously. Furthermore, we show that the effect of CSR on the corporate value is different by the corporate governance level because of the agent cost regarding the CSR activities. In the firms with the higher level of governance, CSR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the firm value. And in the firms with the lower level of governance, they do not affect the firm value significantly. It implies that corporate governance system induces the efficient CSR activities, and it improves the corporate value via the revenue increase with the better reputation. And the governance system prevent the decrease of the corporate value by controling the potential high agency cost due to the inefficient CSR activities. In addition, the more actively the firm is getting in the CSR activities, the less level of conflict of interest exist between the shareholders and the other stakeholders of the firm.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voluntary CSR activities may increase the value of the firm and the shareholders together. This is another path for the corporate governance in enhancing the corporat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