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펄프 표백시 산소와 이산화염소의 영향 : 수산기 라디칼의 생성과 금속이온의 영향 The Effect of Hydroxyl Radical and Metal Ion

        윤병호,조병묵,이명구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1997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케미루민센스와 HPLC를 사용하여 산소 표백시 수산기 라디칼의 생성과 리그닌 및 탄수화물의 분해와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간단한 리그닌 모델화합물인 아포사이놀과 탄수화물 모델화합물인 α-D-glucopyranose와 methyl-β-D-glucopyronoside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수산기 라디칼의 생성과 금속이온과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탈리그닌을 촉진함과 동시에 탄수화물의 분해를 억제하는 최적의 금속이온 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금속이온의 존재가 수산기 라디칼의 형성과 탈리그닌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며, Cu^2+ > Mn^2+ > Mg^2+ > Fe^2+ 순서로 수산기 라디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금속이온들은 탄수화물도 분해시키는 문제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100㎛ Mg^2+를 첨가하면 수산기 라디칼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u^2+은 탄수화물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미쳤으나, 3㎛ Mn^2+을 첨가하면 놀랍게도 methyl-β-D-glucopyranoside에 대해 약간의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염소 라디칼 표백 용액 중에서는 이와 반대로 금속과 관계없이 상당한 양의 수산기 라디칼을 생성하지 않으나 이산화염소 자체의 라디칼이 리그닌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였다. Hydroxyl radicals were detected and their qualitative yields were estimated by using chemiluminescence method and γ-irradiation technique in oxygen or chlorine dioxide radicals bleaching conditions. The correlation of hydroxyl radical formation and lignin model(Apocynol) or carbohydrate model(α-D-glucopyranose and methyl-β-D-g1ucopyranoside) degradation was studied in the presence of metal ion or without metal 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metal ions efficien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in oxygen bleaching process, in the order of Cu^2+ > Mn^2+ > Mg^2+ > Fe^2+, and these metal gave also rise to the degradation of carbohydrate. But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100㎛ Mg^2+ gave an efficient protection against carbohydrate degradation and suppressed the hydroxyl radical formation under oxygen bleaching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Cu^2+ had a detrimental effect on the stability of carbohydrates, whereas the addition of 3㎛ Mn^2+ surprisingly had a small protective effect on methyl--β-D-g1ucopyranoside. In the CIO_2 radical bleaching conditions the hydroxyl radical expected to generate from water or substrates was not detected in the presence of metals.

      • Carbamoylethyl Starch의 製造와 종이 製造時 添加效果에 관한 硏究

        尹世永,崔正箕,鄭文箕,趙炳默,吳正壽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연습림 1995 연습림논문집 Vol.- No.4

        Recently, paper strength properties come up to be lowered by increasing ratio of utilization of recycling pap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strengthening agents which may cause enviromental problems have been used. Therefore, acrylamide was added to starch which is a cheap natural polymer, carbamoylethyl starch(CES) with high activity was prepared, and so the applicability as a paper additive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T-IR spectra of CES of which degree of substitution was 0.25 showed strong C=O band at 1680㎝^-1 which corresponds the carbonyl group n amides(amide Ⅰ). Analysis of bravender viscosity showed that cooking start point of CES is 60℃ and instant viscosity is 830 B.U.(bravender unit). Effect of carbamoylethl DS on strength properties was resulted that CES of DS 0.20 appeared to be the best choice for making handsheets from KOCC with good overall strength properties, and it was selected as standard sample. Effect of pH on strength properties was obvious for their increasing values as decreasing pH. Also, a 5-fold increase in size rate as well as significant increase in wet-tensile strength were obtained in handsheets from KOCC by 3% wet-end addition of CES.

      • 제주연안 갯녹음(백화) 지역의 해수에 분포하는 세균군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강봉조,김미란,윤병준,이동헌,오덕철,강형일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2 基礎科學硏究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갯녹음(백화)현상이 세균생태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 및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갯녹음 현상이 일어난 제주도 성산과 강정지역 연안의 해수에 존재하는 세균군을 16S rRNA 증폭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강정지역에서는 Alcanivorax, Paracoccus, Damselae, Pseudomonas, Rhodovulum, Silicibacter, Sulfitobacter, Roseobacter 등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Alcanivorax가 20%의 빈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 성산 지역에서는 Pseudomonas속 균주가 우점종으로서 존재하였으며, Pseudomonas tolaasii(혹은 Pseudomonas corrugata)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세균은 44%, Pseudomonas mandeli와 가까운 세균이 24%, Verrucomicrobiales와 가까운 세균은 4%, 기타 동정되지 않은 세균은 세 group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8%, 8%, 12%를 차지하여, 두 곳에 분포되어 있는 세균군상이 상당한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갯녹음 지역인 강정과 성산 해수의 8월(표품 채집시기)의 수온은 27℃-27.5℃, 염분의 농도는 30.24-30.60%, pH는 8.23-8.36, 용존산소량(DO)은 각각 7.20-7.28로, 두 지역에서 매우 비슷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는데, 이는 수온이나 염분의 농도, 또는 pH보다는 다른 원인에 의하여 두 갯녹음 지역에 분포하는 세균군의 차이를 가져왔음을 제시해 주었다. In this study, the bacterial communities distributed in sea water of the whitening areas of Gangjeong and Seongsan, Jeju-do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PCR amplification of 16S rRNA to obtain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relationship of the whitening phenomenon and microbial ecosystem. In Gangjeong, diverse bacteria such as Alcanivorax, Paracoccus, Damselae, Pseudomonas, Rhodovulum, Silicibacier, Sulfitobacter, and Roseobacier have been found, and Alcanivorax was the most abundant clone. The most abundant clone from Seongsan was Pseudoinonas, of which Pseudomonastolaasii and Pseudonionas mandeli were most abundantly occurred in the frequency of approx 44% and 24%, respectively. Approx 4% of the bacterial clones closest to firruconiicrobiales and other unidentified clones were also found in Seongsan, suggesting there is a great discrepancy between bacterial communities from the whitening areas of Seongsan and Gangjeong. The mean tem- perature, chlorine concentration, pH, and dissolved oxygen (DO) of the sea water of Gangjeong and Seongsan in August of 2001 (sampling period) was 27℃-27.5℃, 30.24-30.60%, pH 8.23-8.36,7.20-7.28 ㎎/ℓ, suggesting other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for the factors mentioned above might result in difference of bacterial communities distributed in both areas.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이산적 시공간 기반 2차로 도로 차량모형 개발

        윤병조(Yoon Byoung Jo)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6D

        2차로 양방향 도로의 교통류는 저속차량과 추윌 행태에 따라 다양한 동적 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교통류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2차로 도로의 다양한 교통류를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저속차량의 행태와 더불어 대향차로를 이용한 추월 행대를 동시에 구현하는 차량모형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국내의 경우 고속도로와 신호교차로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추종모형과 차로변경모형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2차로 도로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모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산적 시·공간 모형인 CA(Cellular Automata)모형을 기반으로 차량추월을 고려한 미시적 2차로 도로 차량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수정된 CA 차량추종모형과 추월모형을 이용하여 병렬적으로 결합된다.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차량추종모형은 다양한 거시적 교통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추월모형은 대향방향 교통류와 차량추월 확률변수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거시적 교통류를 합리적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차량모형은 보다 다양한 2차로 도로 교통류의 모의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wo-lane and two-way traffic flow shows various dynamic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behaviors of low-speed vehicle and overtaking. And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vehicle model which simultaneously explains the behaviors of low-speed vehicle and overtaking using opposite lane in order to microscopically analyze various two-lane and two-way traffic flows by traffic flow simulation. In Korea some studies for car-following and lane-changing models for freeway or signalized road have been reported but few researches for the development of vehicle model for two-lane and two-way highway have been done. Hence a microscopic two-lane and two-way vehicle model was in this study developed with the consideration of overtaking process and is based on CA (Cellular Automata) which is one of discrete time-space models. The developed model is parallel combined with an adjusted CA car-following model and an overtaking model.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car-following model explained the various macroscopic relationships of traffic flow and overtaking model reasonably generated the various behaviors of macroscopic traffic flows under the conditions of both opposite traffic flow and stochastic parameter to consider overtaking. The vehicl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simulation of more various two-lane two-way traffic flows.

      • KCI등재

        결측 택시 Probe 통행속도 예측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윤병조(Yoon Byoung Jo)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1D

        택시 프로브(Probe)를 이용한 구간통행속도 모니터링체계는 지능형교통체계(ITS)의 핵심적인 하부시스템 중 하나이다. 택시 프로브기법을 통해 수집되는 구간통행속도는 도시가로망의 교통상태 모니터링과 통행시간 정보제공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택시 Probe기법은 표본수가 적고 교통혼잡으로 인하여 구간통행시간이 자료수집 주기보다 큰 경우, 실시간으로 자료가 수집되지 않는 누락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누락상태는 단일시간대에서 다중시간대에 걸쳐 발생하게 되며, 기존의 단일시간대 예측기법으로는 다중시간대의 상태를 예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중시간대 누락상태에서 실시간 구간통행속도를 예측하기위한 기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시간대 예측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단일 및 다중시간대 통행속도를 예측하기위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비모수회귀(NPR)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중시간대 예측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단일시간대 예측기법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 The monitoring system for link travel speed using taxi probe is one of key sub-systems of ITS. Link travel speed collected by taxi probe has been widely employed for both monitoring the traffic states of urban road network and providing real-time travel time information. When sample size of taxi probe is small and link travel time is longer than a length of time interval to collect travel speed data, and in turn the missing state is inevitable. Under this missing state, link travel speed data is real-timely not collected. This missing state changes from single to multiple time intervals. Existing single interval prediction techniques can not generate multiple future stat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place multiple missing states with the estimations generated by multi-interval prediction method. In this study, a multi-interval prediction method to generate the speed estimations of single and multiple future time step is introduced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short-term techniques. The model is developed based on Non-Parametric Regression (NPR), and outperformed single-interval prediction methods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in spite of multi-interval prediction scheme.

      • KCI등재

        LOS A 저밀도 상태에서 고속도로 자유교통류 속도의 동질성에 관한 연구

        윤병조(Yoon Byoung Jo),오승훈(Oh Seung Hwoo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6D

        서비스 수준 (LOS) A 상태의 고속도로 자유교통류 속도(FFS)는 교통량 수준에 따라 동질적이라고 고려되어지고 있다. 저밀도 자유교통류 속도의 특성은 제한최고속도 결정 교통사고 분석 모의실험 모형의 개발 등에 기초지료로 활용된다. 설계 및 운영 속도의 거시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정도이며 저밀도 상태에서 고속도로 자유교통류 속도의 미시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양의 속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량 수준(1-3대/30초)별 일중 시간대(0-5 6-8 9-11 12-19 20-23)에 따른 저밀도 상태에서 FFS의 특성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속도분포는 일중 시간대의 교통량 수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다른 특성을 보였다. 이른 아침 및 야간 시간대의 V85(85th percentile 속도)는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주간 시간대의 V85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이른 아침 및 야간 시간대의 교통량 수준별 FFS는 저밀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질적으로 분석된 반면 주간 시간대는 동질적으로 분석되었다. Freeway FFS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S (Level of Service) A has been regarded as a homogeneous state to all levels of traffic volume. The features of low-density FFS is served as the basic data for a decision on limited maximal speed accident analysis simulation modeling etc. A few researches for the macroscopic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operation speed have been reported and any study for the microscopic features of freeway free-flow speed under the state of low density has not been don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low-density FFS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ffic volume (1-3 veh/30 sec) and daily hour periods (0-5 6-8 9-11 12-19 20-23) is microscopically analyzed in this study with huge volume and speed data. It was found that speed distributions are changed and show different behaviors under the conditions of traffic volume levels and daily time periods. V85s (85th percentile speed) at early morning and night periods decrease when levels of traffic volume increase whereas V85s at day time do no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s. Especially FFSs of levels of traffic volume at early morning and night periods despite low density is analyzed as heterogeneity but homogeneity at day time.

      • KCI등재

        고속도로 트럼펫형 IC 연결로 유형별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윤병조(Yoon Byoung J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1D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트럼펫형 IC의 연결로선형조건 및 교통조건에 따른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 방향은 도로선형조건 및 교통조건을 기반으로 현실적인 적용성, 교통사고 예측 및 평가로 설정하였다. 교통사고예측에 필요한 설명변수는 연결로의 설계 및 운영 단계에서 수집이 용이한 주요한 영향인자 중에서 선정하였다. All Possible Regression기법을 이용하여 유출 연결로 형태(직결, 준직결, 루프)별 사고예측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의 적용결과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다. 개발된 사고예측모형은 보다 비용-효율적이고 안전한 트럼펫형 IC 연결로의 설계와 연결로 교통사고 원인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s according to the alignment and traffic conditions of trumpet Inter-Change(IC) ramp types are introduced. The development of the models is focused on both the real application and the accurate estimations of the models based on the conditions of road alignment and traffic volume. The independent variables essentially required to forecast traffic accidents are selected among major elements which can be easily collected at the stage of both ramp design and operation. The forecasting models according to exit-ramp type (direct, semi-direct and loop) are built with statistical multi-variable regression using all possible regression method. And the forecasts of the models showed high accuracy statisticall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odels could be employed to design trumpet IC ramp more cost-efficiently and safely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happened on the IC ram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