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 ${\cdot}$ 충남지역 단체급식소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실태조사

        임영희,곽현옥,Lim, Young-Hee,Kwak, Hyun-Ok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manag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and to suggest a guideline for an effective safety & sanitary managment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The subjects consist of 782 employees in 80 institutional foodservice,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V.10.0 package for descrip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loyees were female(97.2%), over 41 age(68.1%), high school(51.0%), less than 1-5 years(52.8%) of total career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ment status was contract(64.2%) and cook's certification w3s not applicable(80.1%).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over 1,000 number(65.0%) of average serving per day and operations format was direct(69.6%) management and 11-20 number of employees for cooking were 58.2%. Employees(96.0%) were received sanitation training and 82.4% of them have been monthly educated. Sanitation training instructor was dietitian 91.6%. The rating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was food handling 4.36/5.00, food products management 4.32/5.00, personal hygiene 4.31/5.00, equipments and tools handing 4.18/5.00. The employees, who were educated in the sanitation training,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an of the uneducated employess. Therefore,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will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 to sanitation training program of the employees. The suitable methods of sanitation training must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actical use of sanitary management by employees and institutional foodservice. Also, to enhance these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to care for safety & sanitary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 KCI등재

        에탄올 및 글리세린 처리방법이 카네이션 ‘데지오‘ 보존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임영희,오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of ethanol and glycerine for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preserved flowers in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Desio commonly used for flower design. For this purpose, effects of dipping duration of ethanol solution and treatment duration and concentration of glycerine on preserved flower quality were evaluated. Ethanol treatment resulted in perfect dehydration and decoloration of petals and it was proper at 24~48 hours under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time of glycerine treatment was 30% at 36 hours because it resulted in Munsell value of 4.0R in Hue, 6.49 in Value, and 19.8 in Chroma (4.0R 6.49/14) representing the most approximate value to that of fresh petals. Decreasing rate in weight after desiccation tended to reduce by longer time of immersing and higher concentration. Weight after 12 hours of immersing reduced up to 86~90% according to treatment time in non-treatment group of glycerin, meanwhile, it reduced up to 51~69% under higher concentration of 40%. However, weight after 48 hours of immersing reduced up to 90% regardless of desiccation time in non-treatment group of glycerine, to the contrary, decreasing rate reduced by 46~54% through glycerine treatment of 40%. Time for desiccation required 24 hours in glycerin concentration of 10~20% except 6 hours of immersing time, however, higher concentration resulted in increased time up to 48 hours. 본 연구는 보존화의 가공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화훼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Desio 꽃잎으로 에탄올 용액과 글리세린에 의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에탄올 침지시간과 글리세린 처리 농도 및 침지시간이 보존화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 및 탈색처리 효과는 꽃잎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명도가 가장 높고, 채도가 낮은 24~48시간에서 적절하였다. 글리세린의 적정처리 농도는 30%에서 36시간 처리구의 먼셀값이 H값 4.0R, V값 6.49, 채도를 나타내는 C값은 19.8로 신선한 꽃잎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건조 후 무게 변화에 있어서는 침지 시간이 길어지고 글리세린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2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라 86~90%까지 감소한 반면, 40%로 농도가 높을수록 51~69% 감소하였고, 48시간 침지 후의 변화에서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건조시간에 관계없이 90% 감소에 비하여 글리세린 40%에서는 46~54%로 감소율이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소요시간은 글리세린 10~20% 농도에서는 글리세린 침지 6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24시간이 소요되었고, 30~40%, 12시간 침지부터는 48시간이 소요되어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건조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 대전지역 성인의 건강식품 및 건강음료 섭취 실태

        임영희,김미원,박상현,유진 대전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4 생활과학연구 Vol.1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ake pattern of health foods in the market. A total of 450 peop le over 20 years of age living in Daejeon and the vicinitie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the September 2004 to the October 2004. Among the 398 answers collected , 28 was incomplete data , and 370 answers were used .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AS prograrn. The resu 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ma,i ority of respondents were female 53. 51%, who were 20-29 years old 35.41 %, and 58.11 % had college education or over. Of the 370 respondents surveyed , half (49 .46%) was found to take health food .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 and the sex of the subjec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d of health food , respectivel y. (p< 0.00 1). T he popular heal th food items were vi tarnin , ginseng product, complex nutrient. And the popular health drinks iterns were lactobacillus, drinks of vitamin type , green tea. Therefor, there is a need to educate consumers abou t the nutritional va lue of health drinks and how to use nutritional su pplements.

      • KCI등재

        嶺南地域原三國期鐵劍·環頭刀의 地域別展開課程

        임영희 영남고고학회 2011 嶺南考古學 Vol.- No.59

        The Iron sword and The Sword with a Ring Pommel in the era of Proto-Three Kingdoms are usually analyzed separately, but these two kinds of swords can be said to have appeared and perished in the close relationship because there was the aspect that the Iron Sword was replaced by the Sword with a Ring Pommel in the latter part of Proto-Three Kingdom era.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hat we analyze both the appearance and perishment of the Iron Sword and the spread of the Sword with a Ring Pommel in the same context rather than analyze them separately. Accordingly, in this article, the developing process of Iron Sword and Sword with a Ring Pommel was studied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developing process of this sword and this blade in the area of Yeongnam is divided into 4 step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burial-characteristics and the artifacts buried with other accessories,again which is subdivided into 7 periods. The I-1 period is confirmed as an non-stereotyped condition of burial pattern in the limited area of Daegu, while from I-2 period the burial pattern started to be stereotyped with the Iron sword found only at the bottom of wooden coffin. The period IIwas the time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multi-burial-accessories along with the Iron sword, which has been confirmed in some parts such as Gyoungju and Ulsan. The periods of I and II show an identical aspect of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Iron sword in the whole area of Yeongnam, while, from the period III, an outstanding difference in the process by area can be confirmed. The Iron sword with that type in IA, IB, II and IIII in the middle of AD 2 is found in the East Coast including Gyoungju, but only IA was still buried with various burial accessories in the lower reaches of Nakdong River, and only from the latter part of AD 2 did various kinds of multi-burial-accessories with iron swords start. On the basis of these local differences, the period III is divided into two, and the period III-2 starts to show the appearance of the Sword with a Ring Pommel in some historic sites. It is confirmed that in the period of IV-1 the iron sword started perishing in the East Sea area, and only some parts are found to have had long swords. At that time, Sword with a Ring Pommel was spreading into the areas of Daegu and Gyoungsan, while in the lower reaches of Nakdong River there was still all kinds of burials of accessories along with the iron sword. Afterwards, in the period of IV-2, the iron sword perished in the area of Yeongnam with the increase of the burial of Sword with a Ring Pommel, which means the transition from Sword to Blade. Like this, the difference of developing aspect by area confirmed regarding the iron sword and Sword with a Ring Pommel is thought to provide the new information with which we can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regions in the era of Proto-Three Kingdoms with iron arrowheads, iron spears, iron axe and the late Wazil Pottery. 원삼국기 철검과 환두도는 양자를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철검은 원삼국 후기에 이르면 환두도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각각을 분리하여 해석하기보다는 철검의 등장과 소멸, 환두도의 확산을 같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러한 측면에서 영남지역의 철검·환두도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영남지역 철검·환두도의 전개는 유구별 동반 관계를 기준으로 크게 4단계로 나누고, 이를 세분하면 총 7기로 구분할 수 있다. 가·나단계는 철검이 부장되기 시작하여 영남지역 전역으로 확산되는 단계로 전개과정에서 동일한 모습을 보이지만, 대구·경산에서 경주로 제작 및 유통의 중심이 변화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다단계를 획기로 전개과정에서 지역차가 뚜렷하게 확인된다. 먼저 다-1기에 경주와 동해안지역은 철검의 형식변화가 나타나 ⅠA·ⅠB·Ⅱ·Ⅲ식의 부장이 확인되지만, 낙동강하류역은 ⅠA식만이 복수로 부장된다. 그리고 다-2단계는 일부 지역에서 환두도가 나타나며, 낙동강하류역은 이 시기부터 철검의 형식변화가 확인된다. 라단계는 철검에서 환두도로 교체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라-1단계에 경주 및 동해안지역은 철검이 소멸하는양상을 보이지만, 낙동강하류역은 ⅠA·Ⅱ·Ⅲ식 철검과 환두도가 부장되며, 환두도는 대구·경산지역까지확산된다. 이후 라-2단계에는 영남지역에서 철검의 확인이 어렵고 환두도의 부장량이 증가하는 등 劍에서 刀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철검·환두도에서 확인되는 지역별 전개양상의 차이는 철촉, 철모, 철부, 후기와질토기 등 기존에이루어진 원삼국기의 지역성 연구와도 비교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지역평생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와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전략

        임영희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와의 평생교육체제 구축에 관한 전략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지역평생학습공동체의 의미, 평생교육시스템에서의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시스템 운영 전략 등을 탐색하였다.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시스템 운영 전략으로써 대학은 지방자치단체와의 평생교육체제 모형 구축, 성인학습자를 위한 다기능 대학으로 조직개편, 평생교육전문개발팀 운영, 대외협력시스템(Outreach System) 운영,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력취득제도 정비 등을 고려해 볼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는 대학과의 평생학습 MOU 체결, 대학과의 연계에 의한 평생학습정보시스템 운영해야하며, 정부는 국민의 평생학습을 위한 부처간의 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온라인 리뷰의 한옥호텔 선택속성 연구

        임영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3 호텔경영학연구 Vol.32 No.4

        This study uses data mining techniques based on Korean reviews left by domestic customers who visited Hanok hotels and identifies frequent words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F-IDF analysis.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words such as ‘good’, ‘hotel’, ‘breakfast’, ‘Hanok’, ‘feel’, ‘Hanok hotel’, ‘many’, and ‘employee’ showed high frequenc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good’, ‘Hanok’, ‘breakfast’, ‘employee,’ and ‘hote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Moreover,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anok hotels were divided into ‘Hanok and tradition’, ‘services’, ‘location and hotel environment’, and ‘tourism’. Factors such as cleanliness, safety, service, location, price, room,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derived as general hotel selection attribut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factors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accommodations, but price factor was not includ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anok hotels in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factors of Hanok, atmosphere, and traditional environment, including price also appeared. Customers choose and visit Hanok hotels to have a good experience of the traditional atmosphere and Hanok itself that harmonizes with natur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Korean customers with an attractive resting place that gives emotional stability and pride in Korea, the traditional image of Korea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it is necessary to show the excellence of Hanok hotels by conveying sentiment of Korea and the luxury of Hanok. It would be desirable to improve the interior facilities of Hanok with the collaboration of traditionality and advantages of Western hotels such as convenience and comfort. For external facilities, traditional service and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for sharing elegance and inspiration that accentuates our traditional style. In addition,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and luxury of Hanok hotels. 본 연구는 한옥호텔을 방문한 국내 고객이 남긴 한글 리뷰를 수집하여 데이터 마이닝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과 TF-IDF분석을 활용하여 빈도 높은 단어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과CONCOR분석을 활용하여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단어들을 파악하고 한옥호텔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좋다’, ‘호텔’, ‘조식’, ‘한옥’, ‘느끼다’, ‘한옥호텔’, ‘많다’, ‘직원’ 등의 단어들이높은 빈도를 보였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좋다’, ‘한옥’, ‘조식’, ‘직원’, ‘호텔’이 영향력이 큰 단어들로 나타났다. 그리고 CONCOR 분석 결과, 한옥호텔의 선택속성은 ‘한옥 및 전통’, ‘서비스’, ‘위치 및 호텔환경’, ‘관광’으로 크게 구분되어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 일반 호텔 선택속성은 청결, 안전, 서비스, 위치, 가격, 객실, 편의시설 등의 요인들로 도출되었고, 전통 숙박시설의 선택속성에서는 역사 및 교육 가치 요인은 있으나 가격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옥호텔 선택속성 분석 결과에는 가격 요인을 포함하여한옥과 분위기, 전통 환경에 대한 요인도 나타났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르다. 한옥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은자연과 어우러지는 한옥 자체와 전통적 분위기를 체험하고 즐기기 위해 한옥호텔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고객들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과 한국의 자긍심을 주는 매력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한국 전통적인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켜야 하며, 한국의 정서와 한옥의 고급스러움을 전달하여 한옥호텔의우수성을 보여주어야 한다. 한옥 내부에는 전통성 및 서양식 호텔의 편의성과 쾌적함을 적절하게 혼합하여보완하고, 외부시설에는 우리 전통의 멋을 살리는 우아함과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전통 서비스와 전통시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덧붙여 정부기관과 지자체에서는 한옥호텔의 개발과 고급화를 위해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려 혜종의 죽음과 정종의 왕위계승

        임영희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5 No.-

        The existing studies on the Accession of King Jeongjong to the Throne focused on ‘Wang Gyu's rebellion’, which led little attention to the death of King Hyejong. King Hyejong died without selecting a successor. During his short reign, it was continued attempting assassination against Hyejong and the threat to the throne. Jeongjong was the most threatening to King Hyejong and the most powerful force having the eye on the throne that time. Jeongjong was got of the installation of the King from the Later Jin Dynasty instead of King Hyejong, but he did not announce the death of King Hyejong and the enthronement of himself. It is probable that he took Wang Gyu as the political scapegoat to make a justification for his ascending to the throne and removed him. First, it is hard to find a reasonable motive for Wang Gyu to have to assassinate King Hyejong. Second, before King Hyejong's death, Jeongjong took already control of the central political system and the military forces, and eliminated all the aides of King Hyejong by attracting Wang Sik-ryum's forces. Third, Jeongjong tried to overcome the repulsive group against him and the burden of his injustiful ascending to the throne, by transferring the capital of the country to Seogyeong. The relatively weak kingship of Haejong could have been easily exposed to the threat of Jeongjong who had the strong Hojok as background at any time. Abnormal succession to the throne of Jeongjong was already implicit in the possibility of a power struggle in the Hojok coalition government based on the marriage policy of Taejo. 고려 정종의 즉위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왕규의 난에 주목하다 보니 혜종의 죽음에 대해서는 면밀히 살피지 못한 부분이 있다. 혜종은 후계자 선정을 하지 않은 채 세상을 떠났으며 짧은 재위동안 혜종에 대한 암살 시도와 왕위에 대한 위협이 계속 되었다. 정종은 혜종에게 위협적이었고 왕위를 넘볼 가장 유력한 세력이었다. 더불어 정종은 후진으로부터 혜종의 국왕책봉을 대신 받았지만 혜종의 죽음과 본인의 즉위를 알리지는 않았다. 정종은 자신이 왕위를 차지하는 명분을 얻기 위해 왕규를 희생양으로 삼았을 가능성이 크다. 첫째, 왕규가 혜종을 암살했을만한 합당한 동기를 찾아보기 힘들다. 둘째, 정종은 혜종이 임종하기 전에 이미 왕식렴세력을 끌어들여 중앙정계와 군사력을 장악하고 혜종의 모든 측근을 제거해 나갔다. 셋째, 정종은 무리한 서경천도를 강행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반발세력과 정상적이지 못한 즉위의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혜종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왕권은 강한 호족을 배경으로 둔 정종에게 언제든 위협받을 소지가 있었다. 정종의 정상적이지 못한 왕위계승은 태조의 혼인정책에 의한 호족연합정권에서 이미 권력분쟁의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마늘 분말을 첨가한 버터스펀지케익의 관증적 품질특성

        임영희,김미원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8 自然科學 Vol.19 N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tter sponge cakes with different levels(O. 1. 3 and 5%) of garlic powder. The density of the prepared dough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garlic powder. The cake heigh were highest in the 3% garlic powder group.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up to 1 % garlic powder sponge cake was shown have the highest acceptability inflavor. taste and qverall acceptability. color. moistness and Chewiness was highest in the butter sponge cake with 3% added garlic powder. 마늘분말을 0%, 1 %, 3%, 5% 로 각각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버터스펀지 케익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늘 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한 버터스펀지 케익 반죽의 비중을 측정한 결과 마늘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죽의 비중도 증가하여 5% 의 분말 첨가시에는 0.64±0.04 g 으로 대조군 ( 0 .47 ±0 . 04 ) 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마늘 분말 첨가가 버터스펀지 케익의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마늘분말을 3% 첨가한 버터스펀지 케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 첨가한 케익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을 첨가한 버터 스펀지 케익의 관능검사 결과 , 색 (color)은 3% 첨가 케익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control, 1 %, 5% 순으로 낮아졌다. 향미 (flavor) 의 경우 1% 첨가 케익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3%, control, 5% 순이었다. 맛 (taste) 의 경우 1% 첨가 케익이 7.00으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5%가 3.0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촉촉함 (moistness) 은 3% 첨가한 케익이 6.94 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5% 첨가군이 2 .88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씹힘성의 결과 3% 첨가 케익이 6.50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5% 점가 케익이 2.81 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의 결과는 1% 첨가 케익이 6.50으로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controlol 6.38, 3% 첨가 케익이 6 .25로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 그러나 5% 첨가 케익은 3. 06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