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복응력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

        이미지,김윤태,Lee. Mi Ji,Kim. Yun Tae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국내 대부분의 사면파괴는 여름철에 주로 나타나는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1996년 이 후부터 매년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여 800mm를 초과하고 있다. 사면파괴는 대부분 토석류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경제적 손실 뿐 아니라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킨다. 토석류의 여러 특성 중에서도 퇴적범위나 퇴적두께와 같은 퇴적 특성이 경제적인 손실과 인명피해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러한 토석류의 퇴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위해 토석류 해석 프로그램 `FLO-2D`를 사용하였다. 유동학적 인자인 항복응력과 점성 중 토석류의 흐름 발생과 정지에 영향을 미치는 항복응력에 변화를 주어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 항복응력이 증가할수록 이동거리가 감소하고, 유동심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퇴적부에서 유동심이 급격히 증가한다. 퇴적부에서의 충격력은 항복응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따라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이 항복응력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향버섯 발생지의 식생구조 및 주요 특성

        이미지,구남인,가강현,김민수,Mi-Ji Lee,Nam-In Koo,Kang-Hyeon Ka,Min-Su Kim 한국환경생태학회 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향버섯이 발생하는 임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토양 특성을 구명하여 임지 및 환경의 필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신갈나무군락과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등이 혼재하고 있는 혼효림 형태인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전자의 군락에는 실새풀, 후자의 군락에는 애기나리와 대사초가 지표종으로써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군락 모두 유효인산과 pH, 모래, 점토가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토양의 높은 유기물 함량과 약산성 pH는 향버섯 발생에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위 층위에 나타나는 종들은 상위 층위에 출현한 종들이 실현 지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입지는 북-동의 방위로 비교적 습윤한 입지에 분포하였고, 낙엽층 깊이가 얇고 암석노출도가 낮아 토양이 발달한 것으로 보였다. 선정된 향버섯 발생지들은 교란 또는 외부 간섭으로부터 적응성이 높은 종을 중심으로 식생이 발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향버섯이 발생할 수 있는 임분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인공재배 시 향버섯 발생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orest land and the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forest land where Sarcodon impricatus are present.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dominated by Q. mongolica and th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 mixed forest with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Also, Calamagrostis arundinacea in the former community and Disporum smilacinum and Carex siderosticta in the latter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levels as indicator species. Both communitie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vailable phosphate and pH, sand, and clay, and the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slightly acidic pH of the soil are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 impricatus. The species appearing at the lower layer continue to dominate because the species appearing at the upper layer have secured realized niches. The site was distributed in a relatively humid place in a north-east direction, and soil was developed with a thin litter layer and low rock exposure. In the selected S. impricatus growing areas, vegetation centered on highly adaptable species to disturbance or external interference was develop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promote the occurrence of S. impricatus during artificial cultivation, a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and where S. impricatus occurs indirectly.

      • KCI우수등재

        콘크리트충전 각형 강관 가새부재의 국부좌굴에 따른 파단 예측 모델 제안

        이미지,문기훈,한상환,Lee, Mi-Ji,Moon, Ki-Hoon,Han, Sang-Wha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the hysteretic behavior of concrete-filled HSS(Hollow Structural Section) bracing members and to predict the fracture generated by local buckling in bracing member. The effect of concrete in a concrete-filled bracing members varies depending on the width-thickness ratio as well as effective slenderness ratio. And the local buckling mode in concrete-filled specimen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idth-thickness ratio. Then this study utilizes the physical theory model to simulate the hysteresis curve of brace. And fatigue parameters to predict the fracture are developed. As a result, the refined fatigue parameters reflected the effect of local buckling are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width-thickness ratio and effecive slenderness ratio,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tical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 fracture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predicts well the fracture life.

      • KCI등재

        가면무용극 ‘콘’ : 전통문화와 관광전략

        이미지(LEE, Mi Ji)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태국의 전통문화로 대표되는 가면무용극 콘(Khon)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적 변용과정을 파악하고, 태국 내 전통문화의 대중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산업과 전통문화와의 연계에 중점을 두어, 콘이 현대에 들어와 대중적 가치를 획득하기 위해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인도 발 라마야나의 태국 버전, 라마끼얀(Ramakien)을 가시화하기 위해 활용된 콘은 왕실을 대변하는 상징적 공연예술로서 출발했지만,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에 맞추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형을 거듭해 왔다. 태국에서 콘의 현대적 변용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내국인에게는 기존 왕실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대중화와 보편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편,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콘을 활용한 태국 관광의 고급화 전략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태국 정부의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노력과 관민이 하나가 된 관광산업 전략이 있었다.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of Khon, the Thai masked dance represent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ailand, and figures out the factors that drove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n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connections between the tourism industry and traditional culture, the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ways that Khon was transformed to obtain popular values in the modern times. Khon, which was used to visualize Ramakien historically, started as a symbolic performance art to represent the royal family of Thailand and has undergone transformations until today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the time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Khon`s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in Thailand is the two-pronged approach: its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has been promoted to target the Thai people with the old image of the royal family kept intact on the one hand, and a strategy has been implemented to make Thai tourism upscale to target foreign tourists based on Khon on the other hand. At the center of these are the Thai government`s efforts to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tourism strategy of combining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s one.

      • KCI등재

        치료감호중인 조현병 환자에서 성격 평가 질문지를 이용한 정신병질적 성격평가

        이미지(Mi-Ji Lee),홍성곤(Sung-Gon Hong),이재우(Jae-Woo Lee),권지현(JeeHyun Kwon),왕성근(Seung-Keun Wang),지익성(Ik-Seung Ch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8 No.2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ntisocial Features(ANT) scale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 with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PPI-R) total score to assess psychopathy in Korean criminal offenders with schizophrenia. Methods:The subjects included 177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committed crimes. All subjects filled out PPI-R and PAI. The statistics are carried out by SPSS version 17.0. Results:The result shows that ANT scores are correlated highly with the PPI-R total score(r=0.56). Of the three subscales of ANT ; Egocentricity(ANT-E), Stimulus Seeking(ANT-S), Antisocial Behavior(ANT-A), ANT-E(r=0.53) and ANT-S(r=0.56) subscale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PPI-R total score, and ANT-A (r=0.38) subscale was moderately associated with PPI-R total score. Among the 8 subscales of PPI-R, Rebellious Nonconformity(RN), Machiavellian Egocentricity(ME), Blame Externalization(BE) subscales were relatively strongly correlated with PAI scales ; ANT, ANT-E, and ANT-S. Between 2 factors of PPI-R, Self-Centered Impulsivity(SCI) factor showed relatively powerful association with ANT scale of PAI. ROC curve for ANT with PPI-R diagnoses of psychopathy tells that ANT scale dose not seem to make categorical prediction of psychopathy on PPI-R. Conclusions:ANT scale of PAI tapped primarily behavioral symptoms of psychopathy rather than interpersonal and affective symptoms. Despite of strong correlation between PPI-R total score and ANT score of PAI, the result of ROC curve suggests that it might be better to use ANT score as dimensional measure of psychopathy rather than categorical, in Korean criminal offender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高麗初期의 對契丹關係」(上) (姜大良, 1948, 『史海』)를 다시 보다

        李美智(Lee, Mi-Ji)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姜大良(강진철)은 만30세 되던 1948년 「高麗初期의 對契丹關係」(上)를 발표하였다. 이 논고가 한국사학계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단순히 연구사적으로 처음 제출된 견해라는 데에 제한되지 않는다. 「高麗初期의 對契丹關係」(上)는 고려-거란 관계사 분야의 초기 저작임에도 불구하고, 고려 왕조가 추구하던 외교 정책의 본질과 구체적 실상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변 정치체의 역사와 동향, 상호 관계를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조명하였으며, 자료의 한계로 인해 추론을 제시해야 하는 부분에서는 엄밀한 논리성과 개연성을 잃지 않았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다소 긴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독자입장에서 필자와 함께 토론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 열정적인 문장이다. 『사해』 편집후기에서 편집진이 “煩肇보다 自身一讀이 第一”이라 하였듯이, 고려시대 연구자뿐 아니라 역사를 진지하게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一讀이 필수라고 생각된다. In 1948 Kang Dae-Ryang(Kang Jing-Cheol) published his first scholarly article on the early Goryeo-Khitan relations of the 10th century. The value of Kang"s research could not be limited only as the first one in the relevant field. Kang succeeded in providing a detailed overview and essential diplomatic orientations of the Goryeo dynasty while reorganizing the scattered pieces of the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the 10th century Northeastern Asia. His article did not lose logicality and sustained high probability even in some phases where without applicable primary sources. Kang"s enthusiastic style of writing that makes a reader feel as if one is being engaged in an ongoing discussion with the author is also one of the impressive many features of his article. As the editor(s) of the “Sahai" (『史海』, Historical Review of Corea), the scholarly magazine of the Corean Historical Society (朝鮮史硏究會), mentioned this rare article should not be missed out from the reading lists for the researchers pursuing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and those who seek an exemplary model of research in the area of the Korean history.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미지(Lee Mi-j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수학교과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동안 KCI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수집하고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에 맞춰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45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경향(논문발행년도 및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수학교과내용 및 수학교과역량에 따른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 관련 수학교과교육 연구는 2010년 이후 매해 2~8편 사이로 꾸준히 이뤄졌고, 2014년에 8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서 약 37편(82.2%)이 발행되었으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학생(31편, 68.8%)과 교사와 문헌 대상(7편, 15.6%) 연구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급 및 배경 분석결과, 초등학교(18편)에서 가장 많이 이뤄졌으며,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은 각 15편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방법은 중재연구가 27편(60%)으로 가장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수업설계 및 적용 연구(25편, 55.6%)가 가장 많이 이뤄졌는데, 이는 중재 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것과 연관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수학교과내용으로는 수와 연산(23편, 49%)이, 수학교과역량으로는 문제해결(20편, 27%)이 가장 많이 다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cent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pers published in KCI-listed papers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10 to 2020 were collected, and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For the final selected 43 papers, general trends (thesis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mathematics subject content, and trends according to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y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etween 2 and 8 papers every year since 2010, and about 35 articles (81%) have bee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28 papers, 65%) and teachers(8 papers, 19%), and as a result of school-level and background analysis, the most were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16 paper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es(15 & 14 pap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studies were 23 papers(53%).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subject, the most research on instruction design and application (16 papers, 50%) was conducted. This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studies. Third, it was analyzed that number and operation (23 papers, 53%) were dealt with as the cont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oblem solving (18 papers, 40%) as the mathematics subject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dditionally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