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일-질소가스 혼합유체를 이용한 고온 오일플러싱 시스템 공정설계에 관한 연구

        이윤호,최부홍,Lee, Yoon-Ho,Choi, Bu-H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해양플랜트설비 건조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 고온 오일 플러싱 장비에 대한 성능개선을 위해 기존의 플러싱 장치에 사용되던 오일에 질소가스를 혼합한 고온 오일 플러싱 시스템에 대하여 국제표준화기구 코드(ISO code)를 기준으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오일-질소가스 혼합유체 플러싱 시스템 공정을 설계 후 청정성능에 영향을 주는 혼합유체의 혼합비율, 온도, 레이놀즈수 및 액상분율 등에 대한 공정모사 결과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 직경과 가스상의 체적분률이 일정한 상태에서 혼합유체의 체적유량이 증가될수록 수평 유압배관 입출구의 액상분율 차이 ${\Delta}{\alpha}_L$ 값은 증가하게 되고 배관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오일과 질소가스 기포 사이의 상분포가 달라짐을 확인했다. 이러한 상분포의 변화는 오일-질소가스 혼합유체 플러싱 시스템의 청정성능에도 커다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A theoretical study on gas-liquid two-phase flow flushing systemnitrogen gas to the oil used for existing flushing equipment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ISO code so as to improve performance of existing high-temperature oil flushing equipment used in ocean plant facility drying field. For study, we analyzed process simulation results mixed fluid mixing ratio, temperature, Reynolds number and liquid hold up affectcleaning performance after designing oil-nitrogen gas mixture flushing system process. As a result, as the volume flow rate of mixed fluid increases with the tube diameter the volume fraction of the gas phase constant, the liquid fraction difference value at the inlet and outlet of horizontal hydraulic piping increases. It was found that the phase distribution between oil and nitrogen gas bubbles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pipe lengthdirection. This change in phase distribution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ean performance of an oil-nitrogen gas mixture flushing system.

      • SCOPUSKCI등재

        조직확장기를 이용한 조직확장이 신경조직에 미치는 영향

        김영진,김진환,이윤호 大韓成形外科學會 1988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5 No.2

        So far surgeons have used tissue expansion exclusively to attain coverage of skin defects. Most previous studies involving expanders investigated changes in cutaneous tissues and blood vessels. Frequently we enocounter in the pprocess fo insertion of tissue expander that major nerves and vessels lie just above either beneath of it. Up to date, there is seldom reports concerning its effects of long-term compression on the nerve trunk. This has led us to investigate whether tissue expander can be applied to locate adjacent to major nerve trunk without damaging its function and integrity. 50cc retangular silicone tissue expanders (McGHan) were implanted under the glufeal muscles right above sciatic nerve of the thigh of 20 4kg. white rabbits. After 4, 8 and 12 weeks of full expansion, sciatic nerve functions were investigated by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amplitute study and animals were sacrificed, obtained sections of sciatic nerve to clarify the possible pathologic changes.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ings; 1.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74.8±13.8 m/sec in control group, 65.8±4.7 in 4 weeks group, 68.8±6.2 in 8weeks group, 73.4±10.1 12weeks group respectively, but without significant statistics. 2. Amplitude was 9.50±1.50 mv in control group, 8.20±2.17 in 4 weeks group, 8.80±1.92 in 8 weeks group, 9.00±1.58 in 12 weeks group, but without significant statistics. 3. Focal segmental demyellinaton and secondary axonal degeneration were observed in the section of proximal & distal compressed sciatic nerves in group B.C & D. 4. We can assume that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compression of vasa nerovorum of epineurium and mechanical pressure as a cause of this changes. 5. Electrophysiologic test and pathological findings revealed that long-term compression by tissue expander adjacent to the major nerve trunk might induce considerable neural degenerative change, although it does not deteriorate nerve conducion velocity and amplitude.

      • SCOPUSKCI등재

        異物注入의 諸問題 및 現況

        李允浩 대한성형외과학회 1976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 No.2

        Even up to this day, the injection of foreign materials including paraffin has been being carried on mostly by laymen in Korea, even if covertly, and the resultant complications are very troublesome and occasionally disastrous. The authors analyzed 54 patients who had been injected with foreign materials else-where and has been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Reconstructive Plast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73 to August, 1976.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x ratio was 13 males to 41 females. 2. The most frequent age was from 20 to 29 when the injection was done(52%). 3. The onset of complications was mostly during 1 to 10 years after the injection(59.3%). 4. The most frequent injection site was the nose(23 cases). 5. The frequent complications were (a) foreign body reactions, (b) paraffinoma and additional disfigurement. (c) functional disturbance, (d) overlying skin ulceration or necrosis, and (e) inflammation. 6. The surgical removal was the only satisfactory method to eradicate the lesion.

      • KCI등재

        콩에 있어서 온도 상승이 생물 계절, 수량구성요소, 단백질 및 지방함량 영향 평가

        이윤호,상완규,조정일,서명철 한국작물학회 2019 한국작물학회지 Vol.64 No.4

        A recent assessment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rojected that the global average surfacetemperature will increase by a value 1.5°C from 2030 to 2052. In this study, we used a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thatmimicked field condition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ed air temperature on phenology, yield components, protein content, andoil content, to assess soybean growth. In 2017 and 2018, ‘Deawonkong’, ‘Pungsannamulkong’, and ‘Deapungkong’ cultivarswere grown in three temperature gradient chambers. Four temperature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y dividing the rowsalong temperature regimes: ambient temperature + 1°C (aT+1), ambient temperature + 2°C (aT+2), ambient temperature + 3°C(aT+3), ambient temperature + 4°C (aT+4). Year, cultivar, and temperature treatments significantly affected yield componentsand seed yield. In 2017, the flowering stage of ‘Deawon’ and ‘Pungsannamul’ cultivars in the aT+4 group was delayed comparedto the flowering stage of those in the aT+1 group. In 2018, the flowering stage of ‘Deawon’ and ‘Pungsannamul’ was delayed atall temperature gradients, owing to high temperature stress, whereas ‘Deapung’ was regularly flowering in 2017 and 2018. Theduration of the grain filling period was six days shorter in 2018 than in 2017 because of high temperature stress. The total numberof pods per m2for ‘Deawon’ and ‘Pungsannamul’ was 48.8 and 41.5% lower in 2018 than in 2017, respectively, whereas‘Deapung’ increased by 6.3%. The 100-seed weight of ‘Deawon’ and ‘Deapung’ was 29.2 and 32.1% lower, respectively. However, ‘Pungsannamul’ decreased by 14.7%. The protein and oil content was lower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in 2018 thanin the same period in 2017 because of high temperature stress. In contrast, the oil content in ‘Deapung’ was higher in 2018 thanin 2017. Our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temperature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with pod number, 100-seed weight, protein content, and oil content. 본 연구는 자연 환경과 가장 유사한 온도구배 챔버에서국내 최대 보급 품종인 대원콩, 풍산나물콩 및 대풍콩을 통해 재배기간 온도 상승에 따른 생물 계절, 수량구성요소,단백질 및 지방함량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을 하였다. 2017년과 2018년 대원콩과 풍산나물콩은 aT+ 1에 비하여 aT+ 4에서 개화기가 지연하였다. 특히 2018년이 지연일수가 길었다. 반면 대풍콩은 일률적으로 개화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 등숙기간은 년차간과 온도구배간 약 3-9일이지연이 되었다. 수량 구성요소에서는 2017년에 비하여 2018년이 감소 폭이 높았다. 특히 100립 중과 종실 수량이 감소하였다. 연차와 품종에 따라서 면적 당 협수의 감소는 대원콩과 대품콩이 각각 48.8%와 41.5%씩 감소를 하였다. 풍산나물콩은 14.7%가 감소를 하였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은연차, 품종 및 온도구배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2018년이 2017년에 비하여 등숙기간 온도 상승으로인해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대풍콩은2017년에 비하여 2018년이 지방함량은 높았다. 본 연구에 알 수 있듯이 개화기에서 종실비대기사이의온도 상승은 생물 계절을 지연과 협수와 100립 중이 감소하여 종실 수량 감소로 이어졌다. 또한 콩 종실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과 지방함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향후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량 보다는 영양학적 측면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급성 뇌졸중(Acute Storke) 환자에 대한 진료지침(Clinical pathway)의 유용성

        이윤호,고광태,방기성,이성영,임진혁,이재경,이광현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0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1 No.1

        목적 급성 뇌졸중 환자임을 인지한 이후 얼마나 빠른 시간안에 치료를 시작하는가는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본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치료시간 단축을 위한 진료지침을 통해 혈전용해술을 시행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분석하여 급성 뇌졸증 환자에 대한 진료지침의 효율성을 살펴보고, 향후 더 나은 진료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진료지침 마련 전후의 치료과정을 분석하였으며, 2007년 8월 1일부터 2008년 3월 31일까지 본원의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중 급성 뇌졸중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CT 검사시간을 평균하였으며, 이 중 혈전용해술을 시행한 46(남자 27명, 평균나이 68.5세)명에 대해서는 t-PA 정맥주사한 시간을 호사하여 평균하였다. 각 평균한 시간을 진료지침이 마련되기 이전의 평균 시간과 비교하였다. 결과 진료지침 마련 후 치료과정이 진료지침 마련 전 6단계에 걸친 혈전용해술에서 4단계에 걸친 혈전 용해술로 그 과정이 보다 간소해졌다. CT검사시간은 7분에서 139분으로 평균시간은 약 28분이었으며, t-PA 정맥주사시간은 30분에서 60분으로 평균시간은 약 50분이었다. CT검사시간의 경우 진료지침 마련 전의 평균시간인 약 34분에 비해 6분 빨라졌으며, t-PA 정맥주사시간은 진료지침 마련 전에는 79분으로 그에 비해 약 29분 빨라졌다. 결론 진료지침이 마련이 급성 뇌졸증 환자의 치료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각기 다른 병원들과의 결과 공유를 통해 더욱더 효율적인 진료지침이 마련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