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teral Oropharyngeal Wall Coverage with Buccinator Myomucosal and Buccal Fat Pad Flaps

        정복,송승용,김소현,김영석,이원재,홍종원,노태석,유대현,김세헌 대한성형외과학회 201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42 No.4

        Background Reconstruction of oropharyngeal defects after resection of oropharyngeal cancer is a significant challe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reconstruction using a combination of a buccinator myomucosal flap and a buccal fat pad flap after cancer excision and to discuss the associated anatomy, surgical procedure, and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In our study, a combination of a buccinator myomucosal flap with a buccal fat pad flap was utilized for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oropharyngeal cancer, performed between 2013 and 2015. After oropharyngectomy, the defect with exposed vital structures was noted. A buccinator myomucosal flap was designed and elevated after an assessment of the flap pedicle. Without requiring an additional procedure, a buccal fat pad flap was easily harvested in the same field and gently pulled to obtain sufficient volume. The flaps were rotated and covered the defect. In addition, using cadaver dissections,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ransposing the flaps into the lateral oropharyngeal defect. Results The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The largest tumor size was 5 cm×2 cm (length×width). All donor sites were closed primarily. The flaps were completely epithelialized after four weeks, an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six months. There were no flap failures or postoperative wound complications. All patients were without dietary restrictions, and no patient had problems related to mouth opening, swallowing, or speech. Conclusions A buccinator myomucosal flap with a buccal fat pad flap is a reliable and valuable option in the reconstruction of oropharyngeal defects after cancer resection for maintaining functionality.

      • KCI등재
      • KCI등재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일부 주부들의 식단작성의 관심도와 식품 구매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복미(Bok-Mi Jung),안창범(Chang-Bum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식단작성에 관한 관심도와 식품구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일부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단작성의 유무, 식단작성의 필요성, 식품 구매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부들의 연령은 40~49세가 39%로 가장 많았고, 조사 대상 주부들의 44.5%가 직장에 다녔으며, 학력은 고졸이 53%로 가장 높았다. 가정의 월수입은 100만원~200만원이하가 50.1%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구성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비율이 75.6%로 가장 높았고, 가족 수는 3~4명이 57%로 가장 높고, 주거형태는 아파트가 67.1%, 주택의 소유형태는 자가가 69.9%로 가장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식단 작성 및 필요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01), 식품 구매 시 충동구매보다 미리 생각하여 구매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직장이 없는 주부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식품구매장소는 재래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재래시장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마트, 아파트 상가, 슈퍼 순이었다(p<0.0001). 주거형태에서 아파트 거주 주부들은 마트를, 주택 거주 주부들은 재래시장을 선호하였다. 식품 구매 시 우선 고려하는 요인은 재료의 신선도, 다음으로 가격, 영양, 맛 순이었다. 식품구매는 2~3일에 1번 보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구매시 대부분 유효기간 및 성분을 확인한다고 답하였다. 그러므로 여수지역 주부들의 식단작성에 대한 관심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다고 볼 수 있으며, 구매는 주로 재래시장에서 미리 생각하여 재료의 신선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구매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연령이 높은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통하여 식단작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직장을 가진 주부들은 계획구매를 실천하도록 유도하여 식단작성과 계획구매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terest in menu and food purchase of housewives living in Yosu, Chonnam.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eal planning and food purchas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0. The maj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ties was 39%, having a job was 44.5%, a high school education was 53.0%, and 1~2 million won in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50.1%. A couple with children was 75% and a 3~4 headed family was 57%. An apartment resident was 67% and one’s own house was 67%.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menu preparation and necessity was significantly (p<0.0001). On grocery purchase, the percent of planned purchase was higher than that of impulse purchase, which was higher in housewives without a job. The subject’s favorite place for grocery purchase was a traditional market. The higher the age of subjects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of subjects were, the higher the grocery purchase at a traditional market was. However, the younger subjects and subjec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red to purchase groceries in a mart, stores in an apartment, and supermarkets in order (p<0.0001).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during purchasing grocery were freshness of materials, price, nutrient, and taste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older person for importance of planning menu and encourage housewives with a job to plan grocery purchase to provide nutritionally adequate meals at reasonable coas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콘텐츠 공유 및 상호작용이 가능한 웹 기반 콘텐츠 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복,백수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and network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any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educational tools used in the education field. The government has applied digital textbooks since 2015, and as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increase, the use of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solutions is rapidly increasing. Commonly used remote class solutions use the method of making a user's screen as an image and transmitting it to other users. Therefore, since the instructor's screen is unilaterally delivered to the learner, the method for learners to interact on the instructor's screen is block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digital textbook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web-based contents book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ly developed digital textbook and enables interaction in remote classroom situations. Since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developed independently of the platform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user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of value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urrently widely used video conferencing solutions or digital textbooks. IT,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교육 도구들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정부는 2015년도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였고, 비대면 원격 수업이 늘어나면서 쌍방향 원격 수업 솔루션들의 사용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격 수업 솔루션들은 사용자의 화면을 영상으로 만들어 다른 사용자들에게 송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교수자의 화면을 일방적으로 학습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화면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이 봉쇄되고, 이에 따라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을 어려워지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된 디지털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원격 수업 상황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웹 기반 콘텐츠 북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시스템은 플랫폼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환경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상회의 솔루션이나 디지털 교과서가 적용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안으로 사용될 가치가 있다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