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운대 해수욕장 전면 해상의 조류에 미치는 바람효과

        이문,이종섭,김병국,김종규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2 No.1

        We observed tidal currents throughout all four seasons in 2007 at a single station, located 1.6km off Haeundae Beach and compared these current data with wind data. The direction of seasonal wind represented a similarity between the winds at sea and on land but the speed of wind at sea was almost three times stronger than the wind on land. In addition, the wind at sea turned out to considerably affect on tidal currents, particularly from late summer to autumn.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Ekman Layer, indicating a limitation of wind influence, was estimated to be 31.8 m on average, suggesting that the entire water column is under the influence of wind. Therefore, we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wind stress into the analysis of tidal currents for the prevention of the loss of sand from Haeundae Beach. 2007년 4계절 동안 5회에 걸쳐 해운대 해수욕장으로부터 약 1.6 km 떨어진 수심 20 m 해역에서 층별 관측한 조류자료를 이 기간 동안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획득한 육상풍 및 해상풍 자료와 각각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계절별 풍향은 육상풍과 해상풍이 서로 유사하였으나, 풍속은 해상풍이 육상풍에 비해 3배 이상 강하였다. 또한, 해상풍은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표층 조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바람이 수층의 흐름에 미치는 한계를 나타내는 에크만층의 두께는 평균 31.8 m로 나타나, 측류 위치의 전 수층이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해운대 해수욕장의 모래 유실 방지 대책을 위한 조류 해석에 있어서 풍응력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인 노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이문,문진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8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1 No.3

        We have analyzed a long term data of marine environments, red tide information and meteorology acquired by NFRDI and KM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s in the Narodo coastal waters which is known to be the first outbreak reg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During the period of from 1992 to 2007,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first occurred more often in August. However,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tended to be earlier annually, and in addition, the surface salinity also had a tendency to increase. Consequently, it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outbreak time of the blooms and salinity. On the other hand, insolation was relatively rich but precipitation was relatively scarce in Gohung Province, compared to Yeosu or Tongyeong, where Gamak and Jinhae bays when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first occur in Narodo coastal waters. Averag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August in Narodo coastal water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Gamak and Jinhae bays, suggesting that Narodo coastal waters are a region of relatively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Also,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chlorophyll_a were significantly low than those in Jinhae Bay, which is known to be a eutrophicated region, while the overall water quality seemed to be similar to Gamak Bay. The results of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oved that insolation and water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Narodo coastal waters while concentrations of COD and dissolved oxygen are secondly important. Furthermore, typhoons also appeared to be one of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outbreak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유독성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으로 알려져 있는 나로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적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실시한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및 적조정보자료와 고흥 지방의 기후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8월에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발생시기는 해마다 빨라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표층 염분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기의 빨라짐과의 어떤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최초로 발생할 때는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또는 진해만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사량은 많았고 강수량은 적었다. 8월의 나로도 주변 해역의 평균 수온 및 염분은 동일한 시기의 가막만 및 진해만에 비하여 평균 수온은 0.2~0.6℃, 염분은 1.84~3.91 psu 각각 더 높았으며, 두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 고염을 나타내었다. 또한 나로도 주변 해역은 부영양화 해역으로 알려진 진해만에 비해서는 영양염이나 식물플랑크톤의 농도가 현저히 낮았으나, 전체적인 수질환경은 가막만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요인으로서는 기상인자와 물리적 환경인자인 일사량과 수온이 가장 중요하며, 부차적으로 수질요소인 COD와 용존산소의 농도가 여기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풍 또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생물 기르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이문(Lee Moon-Ok),성은지(Sung Eun-J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5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유아들을 대상으로 생물 기르기 활동을 실시한 현장연구이다. 유아들과 2년 동안 지속적으로 다양한 생물을 길러보고 그 성장과정을 관찰하면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수풍뎅이, 누에, 명주잠자리 등을 키우면서 통합적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물 기르기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의 연령증가에 따른 탐구능력의 변화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의 연령 증가에 따라 관찰력이 좀 더 세밀해지고 관찰을 통한 비교하기, 예측하기 등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by performing integrated activities for raising animate creatures. 30 4-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2 years. They raised various animate creatures including beetles, silkworms, and ant lions. Children performed various integrated activities around the creatures, such as language, math, science, art, and physical activities.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children became more interested in raising living things and showed higher levels of scientific ability, verbal express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s time passed by, the children paid more attention to details while they observe and their verbal and graphic expression was based on their factual knowledge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 진해만 연구의 변천과 앞으로의 과제

        이문(Moonock Lee),김종규(Jongkyu Kim),김명원(Myeongwon Kim),김병국(Byeongkuk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0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7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연구와 관련하여 지난 40여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및 과학인용지수(SCI)에 게재된 85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진해만 연구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천해왔는가를 진단 · 평가하였다. 진해만 연구의 주제로서는 적조, 수질과 저질, 해수유동, 저서동물과 어장환경 등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또한 1990년대 이전에는 진해만의 북부해역에 연구가 집중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진해만 전역 또는 서부해역으로 연구 중심이 이동하였다. 이것은 진해만내에서 북부해역과 서부해역이 가장 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진해만에서의 적조는 발생빈도가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소내만에서는 여전히 유해성 적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해만의 전 해역을 대상으로 한 유해적조생물의 생태학적 조사와 물리적 집적과정, 생물학적 증식과정 등에 대한 학제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수질과 저질 환경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 상당히 개선되어 북부해역에서의 빈산소수괴의 출현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패류양식장이 밀집한 서부 해역에서는 여전히 빈산소수괴의 출현빈도가 높고, 육수나 생활하수 유입의 영향을 계속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부해역과 서부해역에 대한 유기물 오염부하를 억제하여 적조는 물론, 패류 독성이나 빈산소수괴의 발달 등의 제반 환경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시급히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extensively 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relation to Jinhae Bay’s researches over the last four decades, in order to diagnose and evaluate how their researches have been changed with time. Algal blooms, water quality and sediments, seawater movement, and benthic animals appeared to be most often treated themes. In addition, researches seemed to be densely conducted around the northern part of Jinhae Bay until the 1990s but since then the interest in researches were transferred to the western part or the whole area of the bay. Algal blooms in Jinhae Bay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but still occur in the small inner bay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re necessary for explaining not onl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causative organisms but also the processes of physical accumulation and biological proliferation in the entire area of the bay. Water qualit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were also improved since the 2000s, and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decreased. However, the western part of the bay is still suffering from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nd exposed to domestic sewage from the land Consequently, we will have to find a solution to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harmful algal blooms, 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nd shellfish toxicity by controlling pollution load in the nor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bay.

      • KCI등재

        영추(靈樞).잡병편(雜病篇)의 잡병치료경락(雜病治療經絡)에 대한 연구(硏究)

        이문,육상원,Lee Moon-Og,Yuk Sang-Won 경락경혈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4

        Objectives : The Jap Byoung(雜病) of the Young Chu(靈樞), one of the classical book of oriental medicine contains symptoms and remedies for various diseases that can be seen on human body. But it is too difficult to understand the Jap Byoung(雜病), because it is written in old chinese and there are many printer's error and omissions or adds in this book. As a consequence of above reason, the writer of this article has researched to find out the exact meaning of that. Methods : So in this part we study a woodblock-printed book of successive generation and view of annotators, and add adding notes, adjustment, translation to exact comprehension of the original text. Results & conclusions : The principle ideas of the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Jap Byoung(雜病) is consist of five part. In chapter 1, we present symptoms occurred by the upstream current of Qi(氣逆) and their treatments by taking meridian flowing the body parts on which the symptoms occur. In chapter 2, we deal with symptoms such as ikgun(?乾), a pain of the knee(膝中痛), huby(喉痺), epistaxis(?血), lumbago(腰痛), anger(怒), a pain of the jaw(痛), a pain of the nape(項痛) and their remedies. In chapter 3, since abdominal inflation occurs when the Qi(氣) of the five viscera(五臟) is damaged or go upstream, I discussed that the treatment should be given by taking the meridian accordingly. In chapter 4, we deal with the remedy for heartache, and different meridians to be taken by symptom, and parts on which needle to be used, and detailed remedies. In chapter 5, we present other diseases, detailed body parts to be cured and remedies by referring symptoms for a pain of the jaw(痛), the upstream current of Qi(氣逆), hiccup, etc. Especially, we introduce a part of Doinbup(導引法) for wegurl(?厥) and remedies for hiccup such as inducing sneeze by stimulating nostrils, holding one's breath, etc.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

        이문(Lee, Moon-Ok),황인주(Hwang, In-J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교사 중 9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에게 교육활동에 따라 적합한 교수매체를 직접 제작하여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실습생들이 제작한 교수매체의 개수는 그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의 수보다는 적었다. 둘째, 실습생의 교수매체 제작에 대한 개선점에 대하여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생들이 유아의 발달과 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견고한 교수매체를 제작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는 활용을 할 수 있기를 원하였다. 실습지도 교사들은 실습 전에 준비해야 할 점으로 교수매체 제작과 자료수집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기를 원하였고, 교수매체 제작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교수매체의 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유아 발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상호작용에 대한 준비를 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학교육에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을 위해 보충해야 할 점으로는 계획안 지도와 유치원의 상황을 고려한 모의수업,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다양한 평가 등을 요구하였으며, 특히 창의적인 교수매체 제작을 위해 기존 교구의 장·단점 분석, 제한된 재료를 활용한 창의적인 교구 제작 및 분석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n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For the study, 101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issues and 9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urged the student teachers to make and use their own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used was smaller than the number of instructional media the student teachers made. Second, the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ma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for practice teaching. They suggested that student teachers needed to consider the purpose of education, safeness, durability, creativeness, and flexibility of application when they made or chose instructional media. The teachers also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wanted universities or colleges to have more practical experiences in producing and applying instructional media which have mor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y also wanted more thorough assessment and feedback on students' use of instructional media.

      • KCI등재

        부모-유아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에 관한 고찰

        이문(Moon Ok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9 교육연구 Vol.33 No.-

        본고에서는 부모와 유아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에 관계되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부모-유아간의 책읽기와 책의 유형, 유아의 연령과 읽기능력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책읽기가 유아의 읽기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 부모-유아의 책읽기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모와의 책읽기와 유아의 읽기발달, 책을 매개로 한 부모-유아간의 상호작용, 유아와의 책읽기 활동을 위해 고려할 점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Reading is a developmental task which develops gradually over time. Many factors influence children'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to children is one of them. Studies suggest that reading to children is important and has significant impacts on children's development of reading. This study reviews a body of literature to look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orybook reading and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Reading to children i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language development, reading readiness, reading comprehension,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and motivation to read. In addition, it is also related to understanding of many aspects of reading, such as how handle books, the directionality of written language, and the functions of print in books. Reading to children has long-term effects as well. Several factors influence parents' reading to their children. Parents regulate their reading according to their social background, types of books, age of the child, and parental beliefs. Parents' reading changes over time and their children's reading evolves accordingly. Parents' reading to their children seem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teach and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Since many studies reveal the positive effects of reading to children, it is important to educate parents about the significance of reading to their children. Although many parents do read to their children, majority of parents still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early reading experiences. Reading to children at kindergarten is also important. By reading children regularly at home and at kindergarten, both parents and teachers can help children learn to read naturally and enjoy reading throughout their lives.

      • KCI등재

        예비부모의 자녀출산 및 양육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문(Lee Moon-ok),심미영(Sim Mi-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예비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출산 및 양육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결혼 후 현재 자녀가 없는 예비부모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13명의 예비부모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부모의 자녀출산의지는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의 수는 2~3명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부모의 양육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애정적 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율적 태도, 거부적 태도, 통제적 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에서 예비부모들은 자녀가 자율적으로 꿈을 발견하고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친구와 같은 부모가 되고 싶다고 하였다. 셋째, 예비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 참여시 반드시 예비부모가 함께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바람직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예비부모들의 특성과 상황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요구되어 지며, 예비부모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spective parents’ perception of childbirth,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176 prospective parents who were married but currently did not have any chi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surveyed on the above mentioned topics and 13 of them were interview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rospective parents had a high level of will for childbirth. Most of them planned to have their children and many wanted to have two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sex. Most prospective parents were in favor of having dual income even after childbirth. For childrearing attitude, many of them had affectionate attitude followed by autonomous attitude, rejecting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Most prospective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and were eager to participate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if they were given a chance. They felt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education or knowledge to be a parent.

      • KCI등재

        하구에 있어서의 밀도유적 수리조건

        이문,이삼노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 No.1

        밀도류에 대한 하구에서의 수리조건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정상염수쐐기가 존재하는 하구에서의 유하방향의 계면현상은 하구에서의 밀도 Froude수가 커짐에 따라 그 기울기가 증대하였다. 적층 두께는 하도내에서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하도내를 벗어나면서 급격히 증대하였으며, Overall Richardson number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하구에서의 밀도 Froude 수는 반드시 1.0은 아니며, 상층수량에 따라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구에서의 수위는 상대밀도차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섬진강 하구에서의 현상관측결과, 하천수와 외양수와의 사이에 강한 밀도전선이 형성되어 있었다. Experimental studies oil the density currents were made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hydraulic conditions in the estuary. Interfacial forms in the flow direction became sharply with increasing densimetric Froude number in the estuary which arrested saline wedge exists. Interfacial thicknesses were almost constant in the open channel, while they abruptly increased out of channel and they also decreased as overall Richardson number increases. Densimetric Froude number of river mouth showed that it was not necessarily 1.0 and varies with the upper layer thickness. On the other hand, water level ther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lative densities. It is observed in the Sumjin River Estuary that a strong density front has been formed between freshwater and ocean wa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