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곡(晦谷) 권춘란(權春蘭)의 「태극통체인사도(太極統體人事圖)」연구 -『진학도(進學圖)』의 위기지학(爲己之學) 방법론 설계와 관련하여

        劉權鍾 ( Yoo Kwon-jong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진학도』 전체 26건의 도설 중 제1도인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그에 대한 해설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내용은 조선의 유학자들이 제작하였던 도상들 가운데 「태극도」와 주제 혹은 도상의 형태가 같거나 주제와 형태를 변화시킨 도상들을 회곡의 「태극통체인사도」와 비교하였고, 「태극통체인사도」의 도상과 해설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태극통체인사도」와 해설의 특징과 의의를 논하였다. 특히 중점적으로 고찰한 것은 『진학도』의 위기지학의 방향과 방법에 관한 설계에서 「태극통체인사도」가 제1도로서의 중요성의 위상과 그 역할에 관한 것이다. 고찰의 결론으로 얻은 것은 첫째 「태극통체인사도」의 주제는 조선시대 전체를 통털어서 「태극도」의 위기지학 지향적 변형과 응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며, 둘째 「태극통체인사도」는 그의 위기지학의 강령을 심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체계화하는 것임을 보여주며, 셋째 도상의 면에서 볼 때 「태극통체인사도」는 태극을 근원적 은유로 삼는 발상법과 그로부터 연역되는 지식의 체계에 대한 신념 및 그에 입각하여 실천해야 하는 인사의 과정과 내용을 위계를 갖춰 하나의 도상 속에 표상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회곡 당시의 여러 학자들이 사용하거나 개발하였던 도상적 표현 형태와 비교할 때 매우 치밀하면서도 상세한 표상 방법으로서 독창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diagram and its explanation of Tae-geuk-tong-che-in-sa-do(太極統體人事圖, Taiji as the Ultimate includes all the human things) which is the first in all 26 diagrams of Hoegok(晦谷) Kwon Chun lan(權春蘭)'s Jin-hak-do(進學圖, a book of diagrams and explanations for promoting one's learning). The method of this syudy relies on at least three ways. The first is the comparative research of his diagram to others that include the concept of Taegeuk(Taiji) in their titles and show various variant in composition of shape or theme. The second is the analysis on his diagram and its explanation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specialities and significance of it. Especially discussed is about the role and significant phas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as the first of all diagrams of the Jin-hak-do, if the book Jin-hak-do holds on the whole a design for the methodology pointing to learning to become a sage. The remarks of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firstly the theme of the diagram Tae-geuk-tong-che-in-sa-do is very special and unique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the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in th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original diagram of taiji(太極圖, Taijitu) made by Zhou Dun Yi(周敦頤) for the sake of promotion of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secondly the diagram shows that the general principles of his design for the learning to become a Sage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mind learning stressed by Yi Hwang(李滉), and finally viewing from the aspects of the diagram's shape makes it an elaborated representation that integrates into one systematic process his way of thinking to signify the taegeuk as the root metaphor, his faith in the knowledge deduced from the metapho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main haman affairs. Any other scholar's diagram at his time cannot show the elaborateness and creativity as his.

      • KCI등재

        孔子의 마음이해와 老子의 마음이해의 동이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40 No.-

        본 연구는 아직 학계에서 탐구되지 않은 공자의 마음 이해와 노자의 마음 이해를 비교하는 시론적 연구에 해당한다. 마음 이해란 어느 한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 담긴 마음을 이해하는 관점과 방법을 통칭하며, 특히 개념을 단위로 삼아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음 이해에 대한 연구는 어느 사상가 혹은 어느 고전에서 발견되는 마음과 유관한 개념군의 성격과 그들의 관계 유형에 주목함으로써 접근방법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에 공자와 노자의 마음이해의 同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지난 3년동안 토대기초연구를 행하면서 제작한 통합마음모형의 범주를 적용하여 양자의 마음 이해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합마음모형은 동서양 철학, 심리학, 정신분석, 사회학, 인지과학, 문학 등의 마음 이해로부터 관찰된 마음 개념들의 속성을 모두 여섯 가지의 범주(마음의 구조와 작동, 마음의 변화 및 성장과 퇴화, 마음의 존재와 영역, 마음의 관찰 평가 진단, 마음의 작용과 효과 범주, 마음의 은유)로 구성되어 있다. 논의의 결과에 의하면, 양자는 마음의 구조와 존재 영역에 대한 논의는 소략하거나 없으며, 마음의 작동에 관한 관찰 내용은 풍성하다. 그리고 마음의 변화(성장 또는 퇴화)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룬다. 그 결과 공자와 노자는 각각 마음의 양성 혹은 성장을 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에 대한 논의도 역시 세밀하고 깊이 있게 전개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 이점이 같거나 유사하게 보이는 점이다. 그러나 마음의 성장 방향과 그 방법에 대한 설명은 매우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대체로 공자가 禮의 실천을 통해서 덕을 축적한 결과가 仁이라고 하는 일종의 축적과 건립의 방법으로 이해한다면, 노자는 허정의 상태로 나아가는 비움에 의한 성장의 방법으로 이해하는 점이 매우 다르다. 그러나 최근의 인지과학적 관점은 이러한 차이가 관념상의 차이인가 아니면 실질적인 차이인가라는 새로운 물음을 제기하고 있어서 이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하고 미래의 과제로 남겨놓는다. This study purports to attempt a new comparative study of Confucius and Laozi in their understanding of mind, which has never been inquired properly recently. The understanding of mind includes the viewpoints and methods in understanding the mind that are observed in the ideas of a scholar or a homogenous group sharing some thoughts or a classical text, consisting of concepts. Thus, it is the quality of concepts and linkage patterns of the concepts that the study of the understanding stresses on. This study adopts as a useful standard of comparison the integrated mind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the result of a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mind models. The integrated mind model includes all six categories of the mind: structure and activities; existence and field;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observation, evaluation, and diagnosis; work and effect; metaph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iscussion, Confucius and Laozi commonly have few ideas about the structure of the mind, but have a number of ideas about its activities. Both of them respectively keep their deep attention on the change to growth or degeneracy. Accordingly, each of them develops one’s own program for the growth of the mind to the highest level. Of course, about the effect of the growth, each of them adds explanation. Conceptually, each of them proposes a very different way on its growth, explaining the substance of its highest level peculiarly. However, a group of recent cognitive scientists has explained their substance is not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is new explanation, our proper judgement on their difference, in the substantial effect of the mind or the situation of its highest level, should be our future task.

      • KCI등재

        중천(中天) 김충렬(金忠烈)의 한국유학사관(韓國儒學史觀) 연구(硏究)

        유권종 ( Yoo Kwon Jong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2 No.-

        이 논문은 중천 김충렬의 저술 『한국유학사1』에 담긴 그의 유학사관에 관한 연구이다. 그 저술에서 뚜렷하게 인지되는 것은 공자에 의해 확정된 春秋筆法의 정신에 따라서 역사의 평정을 엄정히 함으로써 사회와 국가 발전의 정신적 도덕적 토대를 공고하게 하는 데 기여하자는 태도이다. 그는 한국인으로서 지니는 내부적 시각을 진지하게 발휘하면서도 중국철학에 관한 굉박한 식견에 기초한 외부적 시각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한민족의 유학사의 맥락을 구성하였고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대한 평정을 이룩하였다. 그의 저술은 유학 내지 유교가 지닌 문화주의적 포용성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서 재인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중 커다란 의의를 지닌 것은 바로 한국의 역사에서 유교와 유학에 의한 주체의 확립과 그 주체들이 형성한 역사적 맥락의 과정을 재구성한 것이다. 바로 이것이 그의 저술 전체를 꿰는 대강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시각에서 보자면 그의 저술은 한민족이 유교와 유학에 의하여 자기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 대한 장편의 서사이자 그에 대한 自己評定의 글이다. This article is a result from a study on late Professor Kim Chungryeol`s viewpoint of Korean history of Confucianism included in his book, Korean History of Confucianism. His insight as historian has a solid foundation to deal with figure and events in strict fairness in historical estimation according to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writing the Annals and to contribute to firm establishment of spiritual and moral basis for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He successfully constructed context of Korean Confucianism and estimated historic figures and events by using both view from inside as a Korean and from outside as a specialist of Chinese Philosophy who was highly literate. He focuesd on recognition on embracing of Confucian Culturalism through many historical events of Korean Confucianism. The most meaningful thing in his book is that he figured out the principal agents in Korean history whose mentality had been organized just with Confucianism and re-constructed the historical context established by the agents. Just these things are believed as the most meaningful contribution of his book to Korean academic society. In that sense, his book is a long epic of Korean people`s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llective self-identity and simultaneously a self-rating.

      • KCI등재

        철학과 의학의 통합 패러다임 모색

        유권종 ( Kwon Jong Yoo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8 No.-

        본 연구의 핵심적인 목표는 고령사회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철학 의학 통합패러다임의 얼개를 설계하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치료에서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청되는 상황에서, 철학 의학 통합 패러다임은 동양철학이 개발한 수행/수양의 방법과 의학이 발전시켜온 방법을 연결시켜서 고령사회의 건강한 삶을 가능하게 해주는 사고와 실천의 패러다임이다. 의학은 주류의학으로서 양의의 역할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미국 독일 일본 등의 보완의학과 대체의학의 임상 데이터와 임상 결과를 함께 고려한다. 특히 보완 대체의학들이 공통으로 지칭하는 습관과 질병 혹은 건강의 긴밀한 유관성을 중요한 단서로 삼아서 의학과 철학을 통합하는 건강공학 패러다임을 설계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방향이다. 이때 전체 의학과 연결하고자 하는 철학은 동양철학이다. 동양철학의 실천(수행)에서 건강 유지와 관련된 방법적 체계에 해당하는 의례 혹은 계율이라는 장치와 관련된 지혜를 의학과 결합하고자 한다. 동양철학의 수행법상에서 중시되었던 의례(장치와 실천)을 현실에 맞게 재구성하고 그것을 의학적 건강법과 연결함으로써 사실상 일상생활 전체의 라이프스타일을 심신건강의 확보와 건전한 생활의 지속의 기반으로 삼으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철학 의학 통합패러다임을 위한 여섯 가지 원칙이 제안되었다. 첫째 의학과 철학의 전문적 지식차원의 통합이 아니라 개별적 라이프스타일의 자기구성과 운영에 관한 건강공학 패러다임이라는 점, 둘째 건강과 질병이 교차하는 인생의 역동적 과정에 건강의 지구력과 회복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하는 건강유지의 기반설계, 셋째 기반설계의 두 가지 요건으로서 삶의 목적 정의 및 의례장치 설정과 의례적 실천, 넷째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자기 검속과 자기 성찰의 활동 및 자기준거의 확보, 다섯째 공자의 博文約禮의 방법의 활용, 여섯째 유교식 모델과 불교식 모델(및 기타 모델)의 분류 가능성 등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a kind of philosophy-medicine integral paradigm as a new approach to solution of aged society health problem. In a situation asking a new health paradigm turning from treatment to prevention, philosophy-medicine integral paradigm that enables aged/aging society healthier is a paradigm combined with philosophical practice developed as self-cultivation and medical methodologies not only from main stream medicine but the others like complimentary medicine and alternatives. The main stream medicine is firstly counted as one of necessary parts and kinds of compli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s Max Gerson’s treatment, Nishi’s or Goda’s, Herbert Benson’s from Germany, U.S.A., and Japan as the other necessary parts because they have been providing a group of new concept to keep health and healing by re-organizing healthy habits or lifestyle with their own clinical data. The new integral paradigm will be qualified with the data that the compli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are commonly pointing a very intimate relevance between routine habits and disease/health. And the paradigm will be framed along with traditional Confucianism or Buddhism each of which has developed a typical but very practical self-cultivational methodology especially with system of Confucian proprieties or Buddhist precepts. Accordingly, the paradigm should be organized by doing two main works: One of them is to modify the Buddhist or Confucian rituals fit into individual life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other is to combine the modified rituals to the medical health-method continuously insisted by the compli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In fact according to the works this study will propose that individual lifestyle should be a platform on which mind-body could be continuously healthy and sound living will be lasting. This study proposes six principles to organize the integral paradigm. The first is that this paradigm is not an integration of knowledge or theories of medicine and philosophy but a kind of health engineering paradigm based on how to self-organize and manage individual lifestyles. The second is to design of a platform for maintaining health. The third is to have a definite purpose of life and to establish ritual settings and practice them in daily life. The forth is to make practice of self-check and self-evaluation with self-criteria in order to set aside sustainability. The fifth is to apply Confucius’ way to learn widely and to converge them into daily activities. The sixth is to make various models of healthy lifestyle that could follow Confucianism or Buddhism or others.

      • KCI등재

        유교의 방법론과 인지과학의 소통 가능성

        유권종 ( Yoo Kwon Jong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3 No.-

        전통적으로 유교가 개발해온 방법론들, 예를 들면 수양론(공부론), 교육방법론 등은 현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인지과학과 상호소통하면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가,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과연 어떤 내용인가? 이런 의문들은 현대에도 유교의 진실이 유용할 것인가 여부를 따져보기 위해서 던져보아야 하는 것이다. 인지과학이 발달하면서 인지과학자들은 불교 특히 티벳불교와 교류하면서 인지과학의 이론을 발달시켰다. 이 과정에서 불교 역시 과거로부터 전해오던 불교적 명상 수행의 작용과 효과를 실험을 통해서 입증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러한 성과가 과학자나 철학자들에게 불교를 인지과학과 연관 지어 연구할 수 있는 종교적 가르침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불교 특히 티벳 불교가 전통적 가르침에 의거하여 수행을 지속하면서 그로부터 얻는 개인적 차원의 현상학적 경험을 현대인지과학 혹은 철학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온 것과는 달리 유교는 한국이나 중국을 막론하고 수양과 공부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현실의 인적 성원이 결여되어 있는데다가, 연구의 경향도 문헌 분석에 입각한 고증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고 또 철학적 분석의 틀도 서구의 근대철학적 틀에 맞춰져 있는 까닭에 인지과학과의 소통가능성을 열지 못했다. 그러나 불교가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하여 재조명되고 불교적수행방법의 과학적 합리성이 잘 입증되듯이, 유교도 그렇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물론 꼭 인지과학의 연구과정을 거쳐야만 유교가 현대학문이 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인지과학을 통해서 유교를 재조명하는 일은 유교가 지닌 여러 가지 특성과 장점들을 설득력을 갖추어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일이다. 인지과학의 관점을 동원하여 유교가 지닌 특성과 장점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심학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 심학과 예학과의 관계도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교의 심학이 보여주는 마음의 구조는 인지과학적 관점에 대해서 불교가 주었던 신선한 자극만큼 새로울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예학이란 심학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님으로써 인간의 심신의 상호복잡한 관련성을 이용하여 인격을 양성하는 방법론으로서 새롭게 고찰할 필요가 있는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예학이란 단순히 의례의 규범학으로서 그 규범적 체계화에 한정하지 않고, 그것이 인간의 심신의 균형과 대인관계의 화평을 가져오도록 하는 개별적 집단적 활동을 형성하고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기제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교가 사회의 안정과 지속을 위해서 개인의 덕을 함양하고 사회의 상호협력과 조화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강구하고 다듬어온 방법론을 인지과학적 방법과 연관 지어 논의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유교 인식의 틀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Is there a feasibility that methodologies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education, and so on could be exchanged,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with cognitive science? If it is feasible, what might be? These questions may be useful for checking availability of Confucian truths from now on. In the course of cognitive science development, some scientists contacted Buddhist truths that have been proved by meditation and connected them to their scientific researches. And the Buddhist truths already secured meaningfulness and effectivity in order to reveal the secret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as it got scientific validity. On the contrary, studies on Confucianism are not out of historical investigation based on literature analyses and metaphysical infere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modern era in the Western history without any living existence of Confucian cultivation and education.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that linked Confucianism to cognitive science except a few cases. Once the linkage between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and Confucianism is enlarged, it opens a way to share peculiarities and strong points that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eveloped. This study has a target to establish a cognitive framework of Confucianism by connection with cognitive science and by discussion about how to transfer the traditional ideas of Confucianism especially developed for cultivation of individual moral virtue and harmony of a society.

      • KCI등재

        삶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철학-의학 통합 패러다임 모색

        유권종 ( Yoo¸ Kwon Jong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우리 사회는 고령사회로 진입했고 곧 초고령사회를 맞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사가 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100세 인생 시대이다. 이는 질병을 다루는 의학의 발달이 큰 성과를 거두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필수적인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함께 뒷받침해 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경제력의 향상과 정보의 공유에 의한 의학 및 건강관련 지식, 식품 섭취와 영양보급의 상향 균질화, 운동과 체력유지, 명상 등 심신안정 방법의 보급 등등. 이렇게 건강을 유지하면서 장수 시대를 누리게 되는 것은 단지 의학 내지 의사에게만 의존해서 가능한 일이 아니다. 건강을 바탕으로 장수를 누리는 것은 의학적 지식이나 처방을 포함하여 삶의 내용들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는 능력의 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본 연구는 삶의 내용들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는 방식에 대한 성찰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노하우(실행적 앎)를 시스템적 생명이론과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개진한다. 시스템적 생명이론은 프리초프 카프라가 산티아고 학파의 자기생성이론을 특히 시스템적 사고에 입각하여 규정한 것이며, 의례이론은 이마무라 신스케와 이 마무라 히토시가 제안한 『의례의 온톨로기』에 입각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라이프스타일의 조직과 관련된 이론으로 사용한다. 아울러 의학과 관련된 내용은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서 서양의 주류 의학의 맹점을 비판하면서 대안의학적 치료의 방식을 제안하고 있는 의학적 관점을 채택하고 이를 라이프스타일의 건전성 이론으로 융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Korean society has got to Aged society and will soon get to Hyper-Aged society. Given this, one of the hottest issues should be 100-Year life era. Even this 100-Year life will be possible depending on development of medicine that highly well treats diverse diseases, at the same time it’s due to development of many other essential parts that are supporting to extend human life expectancy; improvement of economy power, wide sharing of medical and health care knowledge, upward homogenization of food intake and nutrition supply, supply of exercise and mind and body rest, etc. However it is not only depending on medicine and medical doctors to keep fit and enjoy long life. But to enjoy long life based on mind-body health should be also depending on ability of a person concerned to conciliate diverse contents of his/her life including medical knowledge and medical doctor’s remedies. Given this precondition, this study goes to review on ways to conciliate diverse contents of one’s life and know-hows to realize such a good life by centering systemic approach to a good living and ritual theory in this research method. The systemic approach implies so-called Santiago School’s Autopoiesis theory as Fritjof Capra introduced, and the ritual theory that comes from Imamura Shinske and Imamura Hitoshi’s work, Ontology of Ritual. In this study these two will be applied to how to organize one’s lifestyle. Besides, main stream medicine in America and Western Europe could not be coupled with philosophy because of its exclusive framework in defining diseases and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some alternative medicines that count routine and habits as main causes of health or disease need to be treated as good partners to philosophical knowledge for sound life.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knowledge mainly comes from methodologies of self-cultiv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Doaism.

      •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예기(禮記)』 해석에 대한 고찰

        유권종 ( Kwon Jong Y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6 No.-

        본 연구는 퇴계로부터 재전 제자까지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禮記에 관한 해석의 사실을 밝히고, 그 해석의 내용 및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퇴계의 학맥에서 예기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방식은 고증적 방식과 해석적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고증적 방식은 이미 퇴계에게서 단편적으로 시작되었지만, 예기를 대상으로 삼아 본격적인 고증의 방식을 취한 것은 학봉과 서애의 상례고증으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미수의 경례유찬, 십이월령고정도 그러한 전통을 잇는 저술로 인정될 수 있다. 또 해석적 방식은 지산의 곡례수장도와 우복의 사문록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사문록은 재전제자까지의 퇴계학맥으로 볼 때에 예기 해석의 치밀함과 아울러 고증에 입각한 변석이 매우 돋보이는 저술이다.퇴계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예기 해석의 특징은 우선 퇴계로부터 재전 제자에 이르는 과정에서 그 저술의 전문화가 이루어지는 점, 즉 퇴계에게서는 단편적인 경문의 인용을 통해서 예설을 확정하던 방식이었던 것이 서애와 학봉 그리고 미수에 이르는 과정에서 상례와 제례를 전문적으로 고증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면서 전문화가 이루어진 점을 하나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아울러 우복의 사문록과 같이 고증은 물론 치밀한 이기론적 철학적 분석에 입각한 예기 해석이 성취되었다는 점도 꼽을 수 있다. 또 미수의 경례유찬과 같이 왕과 제후 대부 사 등의 신분에 따라 차등을 엄격히 강조하는 예를 예기 등의 경전으로부터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이다. 그리고 곡례수장도처럼 예학과 성학을 결합시킨 저작이 이루어진 점도 중요한 특징이다. 이렇게 보면 퇴계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예기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성학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중요성을 지녔던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plain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s and commentaries of Yeki, one of old Chinese classics, on the Toegye School from 16th century to 17th centry, and to discuss the features and historical value of their works. In the Toegye School, confucians works to approach to Yeki show two different ways. The one is a bibiographical study, the other is a hermeneutic study. The bibiographical study was started by Toegye and has been regularized by Hakbong(Kim Sung-il) and Soae(Yu Sung-ryong) in their each works. Their each works had the same name, that was Sang-rye-go-jeung which meant a bibiographical study of funeral ceremony. Misu(Hu Mok) had also made bibiographical studies, which were Gyung-rye-yu-chan and Si-bi-wol-lyung-go-jung. The hermeneutic studies were made by Jisan(Jo Ho-ik) and Ubok(Jung Gyung-se). Jisan's work is Gok-rye-su-jang-do and Ubok's work is Sa-mun-lok. Specially the latter is a very important one because its hermeneutic study as well as the bibiographical method are very correct and fine. The features of Yeki stdies in the Toegye School can be explained as follow: the first is from Toegye to Misu their bibiographical studies had developed and speciallized more and more. The second is that the school had achieved a work which was the finest one of hermeneutical studies in the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with its philosophical debates as like Ubok's Sa-mun-lok. The third is to emphasized the rites different in grades of social status in Misu's Gyung-rye-yu-chan. The last is to combine and harmonize rite studies and sage learning in Jisan's Gok-rye-su-jang-do.

      • KCI등재

        마음에 관한 연구와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유권종(Yoo, Kwon-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5 No.-

        이 연구는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문학적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상호문화의 이해란 타문화의 소유자를 향한 행위 나아가서는 삶의 태도와 방향을 수용과 포용 혹은 소통과 인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당위적 요청을 담고 있다. 주요 방법은 마음연구에 기초한 개인과 사회의 실천력 향상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마음이 포괄하는 범위는 개인의 의식으로 포착되는 명시적 층위로부터 의식으로 포착되지 않는 암묵적 층위에 걸쳐 있으며, 암묵적 층위는 인지생물학에서 언급되는 미시주체와 미시세계의 작동까지 포괄한다. 실천적인 상호문화 이해의 방법을 논의하기 위하여 인문학적 마음 연구가 연관되는 이유와 내용을 밝히고, 동시에 유교의 마음 이해의 전통에서 강조된 진지의 관념과 최근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의 이론 및 의례 이론을 접합하여 실질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논의의 순서와 항목은 서론을 제외하고 첫째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 논의를 위한 문제제기, 둘째 상호문화 이해와 마음 연구의 상관성, 셋째 마음 이해의 차이에 대한 비교, 넷째 마음과 삶-미시주체로부터 사회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영역, 마지막 결론에서 실질적 방법의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의 이해는 공존의 윤리를 공유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그리고 마음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호문화 이해의 확산은 개개인의 일상을 그에 걸맞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재건립할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고, 또 일상의 재건립을 위해서는 의례적 장치의 재구성과 그것의 실천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kind of the humanistic research for raising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 other societies. The meaning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keeps a request for transformation of one’s attitude or even direction of life toward communication with approval of other’s culture and toward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culture. 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improvement of the power of execution based on claiming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n mind. The conceptual range of the mind in this study covers from the explicit level which is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to the implicit which cannot be captured by the consciousness. And the implicit area involves the concepts of micro-identities and micro-worlds which are developed in the cognitive science. The main discussions are as follow. Firstly, the reason why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mind should be necessary for the extension of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is discussed. Secondly, the concept of true knowledge, a similar meaning with the embodied knowledge in the cognitive science,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is discussed with its effectiveness for improvement of executive power of the intercultural practice. In addition the cognitive scientific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nd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bout the ritual are combined with the mind and the true knowledge. Except introduction it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problem posing on the improvement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e seco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ultural understnading and studies on mind. The third,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by a method of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understanding of mind. The fourth, mind and life---range from the micro-identities to social system. The final, practical methods. The direction of this discussion is focusing on how to share the ethics for co-existence. The conclusion focuses on renovation of our routin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y the reconstruction of present ritual system and by the practice of the reconstructed rituals.

      • KCI등재

        마음과 뇌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연구는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성과를 유교의 수양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로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 그리고 유교의 마음 이해의 맥락을 뇌과학/신경과학의 탐구에 접맥함으로써 과학에 근거한 인문학적 담론의 관점을 다양화시키고 담론을 풍성하게 하는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논의한 내용은 첫째 마음과 뇌에 관한 접근 가설의 비교, 둘째 유교 심학의 마음 이해의 특징, 셋째 유교적 마음이해의 인지과학적 재해석, 넷째 바렐라의 생명중심 관점과 유교적 마음 이해의 연결점 등이다. 논의의 방법은 최근 인지과학 특히 뇌과학/신경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를 크게 세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보고 이 가운데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관점을 유교의 수양론 내지 그것에 작용한 유교적 마음 이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타당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뇌와 신경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는 크게 기존의 물리주의 혹은 유물론적 입장을 견지하는 패트리셔처칠랜드의 제거적 유물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의식은 뇌로 환원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뇌 외적인 요소들이 의식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계열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생명 현상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 개체의 목적론적 활동을 인지연구의 중요사항으로 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신경현상학적 입장이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 마음 이해는 바렐라의 관점과 근접해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그리고 유교적 마음 이해가 현대의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방향, 혹은 그에 바탕으로 두고 이루어지는 인문학적 담론에 중요한 경험적 지혜를 줄 수 있음도 함께 논하였다. The targe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t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of brain/neuro-science to be adopted as a new scientific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methodological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For this, four items are researched. The first is comparisons of accessible hypotheses concerning the mind and the brain. The second is the features of understanding of min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ind-learning. The third is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under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last is the connection between Francisco Varela’s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life itself not on the ontology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latest products of the brain/neuro-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ut among them only F. Varela’s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explain and support the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ussion 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emonstration of the validity of F. Varela’s viewpoint and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Patricia S. Churchland, as a pioneer of Neurophilosophy, strongly discerns her Neurophilosophy as the eliminative materialism from the folk psychology, and insists all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reduced to the results of the brain science. There is a strong opposition against her attitude from the side of Alva Noё and according to this human mind or consciousness cannot be reduced to the brain. However F. Varela’s attitude belongs to none of the two groups. He opened a new field, that is Neurophenomenology, which stre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neuroscience, on the cognition of the life phenomena and regarded the teleological activities of the living things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research of the cognitive science. This Varela’s attitude can be the closest to the Confucian attitudes of self-cultivation methodology. And instead the Confucian viewpoint will be able to suggest a way of wisdom to brain/neuro-sc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f Humanities.

      • KCI등재

        [탈근대성에 대한 동양철학의 담론2] 잘삶(well-being) : 한국의 전통적 맥락에 기초한 웰빙 담론의 구조

        유권종 ( Kwon Jong Yoo )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This study has a target to develop a new structure of discourse about well being based on the context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s or culture. Kinds of ideal types of well being can be put into the structure and realization of them will be feasible in the structure. For making such a structure, it is insisted that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bottom-up approaches must be referred to the studies of Korean traditions. Order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first is a reflection on current discourse of Korean scholars about well being, the second on the methods and criteria of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on well being, the third structure of discourse about well being, the fourth, as conclusive remark, discourse about well being in Korean society and context of traditional thoughts. In this study, on the basic cognition that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can give a very useful idea for realization of wisdom of traditional thoughts two things are commented for developing research of traditions. The first is that even though much of our consciousness and other activities of mind seem to be under control of capitalism civilization, other layers of traditional cultures of different nature from capitalism under the surface layer of capitalism still exist and have continuously influenced us. The second is the traditional cultures keep a context of Korean`s consciousness about well being. Therefore it becomes natural that searching a new structure of well being discourse must refer to this context. As conclusive remarks, it is insisted that research of traditional thoughts for well being discourse should aim at discovering new things by studying the past especially by means of making traditional wisdoms more deeply participating into the present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people`s lives, practical models of traditional wisdoms must be suggested, and discussions about well being must not only focus on an individual mental maturity but involv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or other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