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세계사 전근대 부분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안

        梁正鉉(Yang Jo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03 역사와 경계 Vol.49 No.-

        The crisis of world history education came not only from shortened and smallized in curriculum but also from incoherence of its contents. To overcome this crisis, we have to propose alternative 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courses.<br/> First, we must reconsider the Euro-centric perspectives and Orientalism. And we must point out that both Western Europe and China overwhelmed world history. For instance, if we want to transcend Euro-centralism and Orientalism, we must give balanced treatments to Oriental civilization and Greek-Roman world by adding more histories of Asia Minor and Near Eastern Asia including the histories of Persia, Parthia and Egypt, which have not been given enough treatment.<br/> We may suggest central themes to organize the world history textbook because the selection and exclusion are inevitable. For instance, A Green History of the World has a subtitle of 'the environment and the collapse of great civilization'. In this article, besides 'developments' 'multi-cultures' 'cross-connections' etc. I would also propose other several principles in organizing secondary world history textbook: 1) overcoming Euro-centric perspectives and Orientalism 2) integrating the social studies' contents into the world history's 3) organizing world history in terms of the scope, 'change and development of region' in sequence.

      • KCI등재

        역사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 모색

        양정(Yang, Joung-Hyun)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3

        본고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라는 퇴행을 바로 잡고, 미래 지향의 역사교육을 탐색하기 위해서 두 갈래의 방향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첫째, 국가주의 서사, 일국사적 역사 인식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지역사를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필요성을 제기했다. 둘째, 자국사 교육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었던 선사-현대를 단순 비례로 안배한 통사 체제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대사의 비중을 높이는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안했다. 지역사, 현대사는 개인의 삶과 구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학생들은 공간적으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역사를 통해서 역사적인 존재로서의 지기 자신을 자각해 가는 것이다. 아울러 시간적으로 현대사를 통해서 자신과 더 가까운 시기, 그리하여 자신의 삶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역사적 행위 주체로서 자각하게 되는 것이다. 현행 2015 교육과정도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학교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과정’을 추구하고 있다. 학생들은 지역사․현대사 학습을 통해 과거 시간 속의 인간들이 그 시대 조건 속에서 어떤 삶을 꾸려나갔는지를 알고, 동시에 과거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내가 왜 지금 이곳에 이러한 모습으로 있는지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역사 학습은 학생으로 하여금 주체로서 자기를 인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역사를 자기 문제로 인식할 때 가능하다. 역사를 자기문제로 인식하는 데는 지역사·현대사, 나아가 지역 현대사를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과 가까운, 혹은 친근한 역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의 맥락을 보여 주고, 그 상황에 대한 의문점 등을 생각해 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orrect the attempt to national history textbooks and to explore future-oriented history education, First, we propose the necessity of positively incorporating local history into the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to the national history. Second, we propose a curriculum management method to increase the weight of modern history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the syntactic system in which the preliminary-modern history. Local history and modern history are specifically linked to individual life. Students are aware of themselves as historical beings through the history of the area in which they live. In addition, through the modern history closer to himself, they aware of their lif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istory. Students will be able to see why they are now here, through local history․contemporary history learning, and will be able to design the future and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based on these perceptions.

      • KCI등재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논리와 계열성

        梁正鉉(Yang Joung-Hyun) 역사교육연구회 2011 역사교육 Vol.120 No.-

        National History Curriculum revisioned twice In 2007 and 2011. In each Curriculum,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were integrated to one subject.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ocial studies is composed entirely of Korean history. Secondary school history is composed of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2007, 2011 national history curriculum based on history teaching intensification policy in the year of 2005, 2011. The logics of National history curriculum revisions are two. First, A counter-move to distorted historical accounts about Korea by neighbor nations. Need to comprehension about foreign nations in globalization.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cquired coherence of scope. But failed in sequence. 2011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on’t offer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school history. And standard achievements also don’t obtain coherence of sequence. It is necessary give attention to some points for achieve coherence of sequence. History curriculum must be made as a result of enough discuss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history curriculum should offer guidelines for organization of contents.

      • KCI등재후보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

        양정 ( Joung Hyun Y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3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된다. 첫째, 역사과 독립이 진전되었다는 점이다. 국사와 세계사가 통합되어 <역사>라는 하나의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초등학교에서는 5학년 사회를 한국사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중학교 2,3학년(8,9학년) <역사>는 근대 이전을 중심으로 국사와 세계사를 병렬 배치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역사>는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살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007 역사과 교육과정은 시간, 공간 차원의 ``범위`` 설정은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계열`` 측면에서는 학교급별로 별도의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도 학교급별 계열성을 확보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교육과정의 계열성 확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교급 간, 국사 세계사 영역 간에 유기적인 논의 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급별 계열화 논의는 지금까지의 계열화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내용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 내용 구성 단계에서 사료나 시각 자료를 제시할 경우에도 내용과 형식에서 적극적으로 계열성의 원리를 염두에 두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 In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were integrated to one subject.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ocial studies is composed entirely of Korean history. Secondary school history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s is composed of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highschools, ``history`` treats mainly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cquired coherence of scope, but failed in its sequence. 2007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oesn`t offer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school history. Standard achievements also don`t contain coherence of sequenc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me points in order to achieve coherence of scope and sequence. History curriculum must be made as a result of sufficient discussion betwee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History curriculum should offer guidelines for organization of contents. Documents, historical sources or visual materials must be arranged for sequence.

      • KCI등재후보

        역사교육에서 역사지리적, 간문화적 접근

        양정 ( Joung Hyun Y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2

        근대인의 삶과 의식·관념을 가장 강력하게 규정했던 국민국가(nation-state)의 틀이 점차 균열, 이완되고 있다. 다민족 사회, 다문화 가정이라는 말이 자연스러워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사회 과, 역사 과의 방향 에 변화를 요구한다. 단일 민족, 단일 문화 관념에 기반한 일국사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역사교육에서도 ``역사`` 과목 설정, 세계사 교육에서의 다문화적 관점, 상호 교류의 관점에 대한 논 의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지리적 맥락, 간 문화적 접근을 통해서 역사교육의 지평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식 주체인 개인-민족/국민 간의 관계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교육 은 역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의 맥락을 보여 주고, 그런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 질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역사지리적 접근, 간 문화적 접근이 이 지점에서 역사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세계화, 탈영토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가운데서도 역사·문화·사회적으로 형성된 국민 국가 공 간은 ``세계사회``의 핵심 영역으로 남아 일정하게 세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The frame of nation-state is being cracked these days. Such concepts as multiracial society or multicultural family are discussed frequently in history teaching. These trends require direction changes in history teaching. In 2007 National Curriculum, the middle school began to offer a history course. Middle School History contains the Korean history as well as the world history. Some history educators suggest that the Korean history and the world history should be taught in an interconnected and related form. In this paper, the author proposes that history teaching should be expanded to reflect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geography and the intercultural approach. History teaching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living styles and their problems so that the students raise questions on the issue. We may also have to face the reality in which the nation-states will remain strong in their roles and importance even thoug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re in progress.

      • KCI등재

        『반일종족주의』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양정(Yang, Joung-Hyun)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8

        2019년 출간된 『반일종족주의』는 정치적으로 논란이 되었으며, 역사교육과 관련하여 몇 가지의 논점을 제기하였다. 『반일 종족주의』의 출간은 탈진실 현상을 극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학생들이 사실과 다른 역사지식, 왜곡된 역사상을 가지고 역사 수업에 임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 책은 사실 오류, 자료의 자의적 해석과 맥락화, 개념 및 용어의 임의적 규정, 그리고 입장과 관점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정한 입장이나 주장을 내세우기 위해서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하고,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통계 수치를 제시하기도 한다. 선입견이나 개인적인 신념 혹은 편견을 사실인것처럼 진술하기도 한다. 역사 용어나 개념도 그 범주를 축소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제 식민 지배의 폭력성을 부정하거나 왜곡한다. 이러한 『반일종족주의』의 주장은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상의 역사 정보 유통과 관련한 미디어 리터러시 또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측면에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제 강점기에 대한 교수-학습 방안은 이러한 논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반일종족주의론자들의 왜곡된 역사인식으로부터 벗어나는 방안 중의 하나는 당대의 다양한 행위 주체의 목소리를 소환하는 것이다. 당대인들이 어떤 상황과 처지에서 어떤 입장을 취했는가를 구체적인 삶을 통해서 들여다 보는 것이다. The Anti-Japanese Tribalism, published in 2019, was politically controversial and raised several issues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It shows the phenomenon of post-truth.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history classes with historical knowledge different from facts and distorted history. This book has many problems in the authenticity of facts, interpretation and contextualization, definition of concepts and terms. The facts are exaggerated or distorted in order to denies or distorts the violence of Japanese colonial rule. Such claims of “anti-Japanese tribalism” need to be approached in terms of critical thinking in histor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media literacy or digital literac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historic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hould seek new ways based on these issues. The way to escape from national narrative is to summon the voices of various peoples.

      • KCI등재후보
      • 역사 교과서 서술에서 사실과 관점 :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수정 지시 파동을 중심으로

        양정 부산대학교 효원사학회 2009 역사와 세계 Vol.- No.35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facts and standpoints in Highschool history textbook, especially 『Modem History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der of amendment at 『Highschool Modern History of Korea』 Textbook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8, Minister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ed that 『highschool Modem History of Korea』 was described ideologically prejudiced tone, and ordered amendment. This study conclude that items of amendment is the other way ideologically prejudiced conservatism. Authors and teachers protested the order. They emphasized that the oder of amendments were viol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by joint consideration and research of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There are many points of views and interpretation in History. In history classroom, Students should deal with many interpretation and points of 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