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자절간 기내배양에서 소괴경의 형성과 형태적 발달

        황혜연,이영복,Hwang, Hye-Yeon,Lee, Young-Bo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4 No.4

        기내에서 배양되고 있는 감자 (Solanum tuberosum L.)로부터 액아와 완전히 전개된 잎이 부착된 약 1 cm 크기의 절간을 채취하였다. 절간의 잎은 제거한 후 온도, 일장, sucrose, CCC의 처리가 소괴경의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확인하기 위해 MS배지에서 배양을 하였다. 기내 소괴경의 형성에 있어 $20^{\circ}C$와 $28^{\circ}C$의 두 처리간에 있어 배양 80일 후에 형성된 괴경의 크기나 생체중 모두 $28^{\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였으며, 배지에 첨가되는 sucrose의 영향에 있어서도 농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여 8% sucrose가 3% 보다 괴경의 비대 발육을 촉진하였다. 일장의 영향은 배지의 sucrose의 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circ}C$에서는 sucrose가 8%일 때 일장에 관계없이 괴경의 형성이 양호하였지만 sucrose의 농도가 3%일 경우에는 일장과 관계없이 액아는 신초로 발달하였다. 그러나 $28^{\circ}C$의 고온에서는 8% sucrose와 8시간의 단일에서만 괴경의 비대에 효과가 있었다. CCC의 영향에 있어서 괴경의 구중은 sucrose 농도가 8%의 배지에서는 모든 일장에서 괴경의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일장이 짧을 수록 효과는 더 양호하였다. 배양온도에 따른 감자의 액아부위 세포의 조직학적 변화에 있어서는 저온조건에서 괴경이 형성이 촉진되어 세포의 조직은 신장생장보다 비후생장을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장조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암조건에서 조직의 비후 생장이 뚜렷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CCC의 첨가 유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CCC를 첨가한 조건에서 양호한 현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변화에 있어서 배양한지 9일이 되었을 때 pith, cortex 및 perimedullary tissue에 있는 parenchyma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내 위치별 세포분열의 가시적 비율에서는 pith부위 보다 cortex부위에서 세포비후의 비율이 큰 것으로 보였다. Sucrose, CCC 및 일장차이에 따른 AGPase 활성의 변화에 있어서 암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도 각각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8시간 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6시간 처리 sucrose 농도 3%보다는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에서는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ucrose의 농도가 높고, CCC와 암처리의 괴경형성의 촉진조건에서 AGPase의 활성이 양호함을 볼 때, AGPase가 starch 합성에 중요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One-node stem pieces ca. 1 cm in length containing a axillary bud and a fully expanded leaf were obtained from it in vitro plant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Leaves were removed and the nodes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day length, sucrose, and CCC in microtuber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fresh weight of microtubers after 80 days increased significantly at 8% sucrose and $20^{\circ}C$ compared with $28^{\circ}C$. The tuberization and development were reduced at $28^{\circ}C$ except short-day treatment of 8 hours at 8% sucrose. The fresh weight and diameter were increased on the culture medium added CCC 500 mg/L. The potato tuberization was promoted under short daylength, and it showed great effect by treatment with the CCC. Though the tuberization was promoted at low temperature of $20^{\circ}C$ in a histologic change of an axillary bud part cell of a potato, the cells were able to observe the swelling growth. Swelling growth of tissue was stimulated in the darkness and was more remarkable by addition of CCC. In particular, in the visual ratio of cell division for each position in the tissue, the cortex part showed larger ratio of cell expansion than that of the pith part. The effect of CCC was identified at 8% sucrose in the darkness. The effect of CCC was not showed in sucrose 3% under long daylength of 16 hours. As a result, the fact of a substance with AGPase important for starch composition was certified by the result with the inclose of AGPase activity on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CCC, and dark treatment by which tuber formation and development are promoted.

      • SCOPUSKCI등재

        Streptoverticillium olivoverticillatum에서 분리한 새로운 Type II 제한효소 SolI의 특성 연구

        황혜연,임정빈,Hwang, Hye-Yeon,Yim, Jeong-Bin 한국미생물학회 1994 미생물학회지 Vol.32 No.3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방선균주로부터 새로운 type II 제한효소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균주는 수리분석 결과, Streptoverticillium olivoverticillatum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한 제한효소는 SolI이라 명명하였다. SoII은 BamHI의 isoschizomer로서 여섯 개의 염기서열 5'-G $\downarrow$ GATCC- 3'을 인지하며 두 개의 G 염기 사이에서 절단하여 4 base가 돌출된 5'말단을 생성한다. 그러나 BamHI과는 달리, dam methylation 되어 있는 인식 염기서열에는 작용하지 못하였다. Ammonium sulfate 분획(30-65%)과 heparin-agarose,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SolI을 부분 정제하였다. SolI은 활성을 보이기 위하여 0.2mM 이상의 $MgCl_2$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으며, 다른 cofactor는 요구하지 않았다. NaCl이 없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며 120 mM 이상의 NaCl이 있으면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이 효소의 반응 최적 온도는 $40^{\circ}C$, 최적 pH는 8.6으로 나타났다.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의 용출부피 비교로부터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43,000Da인 것으로 추정된다. We screened many species from a wide variety of bacterial genera for a new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lI from a soil isolate, Streptoverticillium olivoverticillatum are described here. The enzyme turned out to be an isoschizomer of BamHI. It recognized the hexanucleotide sequence of 5'-G$\downarrow$GATCC-3' and cleaved as in dicated by the arrow, generating a 4 base 5' extension. Unlike its isoschizomer, BamHI, the activity was sensitive to dam methylation within the recognition sequence. Follow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of the crude extract, heparin-agarose and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y were employed to purify the enzyme. SolI required at least 0.2 mM of $MgCl_2$ for the cleavage to occur. The enzyme exhibited its maximal activity in the absence of NaCl, but was inhibited completely in the presence of 120 mM NaCl. The pH and temperature optima for activity were pH 8.6 and $40^{\circ}C$,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of SolI was estimated to be 43,000 Da by Superose-12 gel filtraion chromatography.

      • KCI등재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의 캘러스배양에서 Shikonin 유도체 생산에 미치는 저선량γ선의 효과

        황혜연,김재성,이영복,Hwang, Hye-Yeon,Kim, Jae-Sung,Lee, Young-Bo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3

        The effects of low dosage ${\gamma}$-radiation on the cell growth and the formation of shikonin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in callus culture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under different medium and light conditions. Gamma radi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cell growed and formation of shikonin derivatives, depending on the culture conditions. In the cell cultures grown on M-9 medium, 2Gy and 16Gy of ${\gamma}$-radiation increased the calli growth and the formation of shikonin derivatives, respectively under 16hr day light condition. When calli were cultured for 60 days in the dark after irradiation of ${\gamma}$-radiation, cell growth was increased at low dosage of 1Gy and 2Gy in LS medium containing BA 2mg/L and IAA 0.2mg/L. Interestingly, calli grown in M-9 medium by 2Gy irradiation for 60 days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formation of shikonin derivatives(13.21mg/g cell fresh wt), which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untreated cells.

      • KCI등재

        대구지역 학생들의 싱겁게 먹기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짠맛 미각판정치, 짜게 먹는 식태도와 식행동 비교

        황혜연(Hwang, Hye-Hyun),신은경(Shin, Eun-Kyung),이혜진(Lee, Hye-Jin),황태윤(Hwang, Tae-Yoon),김영애(Kim, Young Ae),이연경(Lee, Yeon-Kyu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1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싱겁게 먹기 행동 변화단계별로 짠맛 미각판정치, 짜게 먹는 식태도 및 식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 추후 이들을 위한 싱겁게 먹기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싱겁게 먹기 행동변화단계별 비교 결과, “싱겁게 먹으려고 생각해 본적이 없다” (고려전단계, n = 492)와 “앞으로 6개월 이내 싱겁게 먹으려고 생각하고 있다 (고려단계, n = 686)”는 학생들이 “싱겁게 먹기를 실천하고 있다 (행동단계, n = 351)”와 “싱겁게 먹은 지 6개월이 지났다 (유지단계, n = 60)”는 학생들보다 짠맛 미각판정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짠맛 선호도는 유지단계 학생들의 경우 고려전과 고려단계의 학생들보다 가장 낮은 두 염도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으며 (p < 0.001, p < 0.001), 높은 두 염도에 대한 선호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p < 0.001). 또한 싱겁게 먹기 행동단계별 짜게 먹는 식태도와 식행동 점수는 고려전단계 학생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유지단계 학생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각 단계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01, p < 0.001). 이상의 결과, 싱겁게 먹기 행동변화단계에서 고려전과 고려단계 학생들의 짠맛 미각판정치, 짜게 먹는 식태도와 식행동 점수가 행동단계나 유지단계의 학생들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트륨 저감화 교육을 실시할 때 학생들의 싱겁게 먹기 행동변화단계를 먼저 파악하여 행동변화단계에 맞는 행동수정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 salty taste preference,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 by stages of behavior chang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1,595 students (1,126 school- aged children, 469 adolescents) from 43 elementary schools and 17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were tested using salty taste kits and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on stages of behavior change,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behavior. Results: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sult for salty taste assessment than school-aged children (p < 0.01). In salty taste assessment, the students of pre-contemplation stage (n = 498) and contemplation stage (n = 686) showed higher scores than students of action stage (n = 351) and maintenance stage (n = 60). Regarding the salty taste preference, students of maintenance stage preferred the lower two samples (0.08%, 0.16%) and students of pre-contemplation stage preferred the higher two samples (0.63%, 1.25%). High-salt dietary attitud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scores were highest for students of pre-contemplation stage and were lowest for students of maintenance stage. Conclusion: Salty taste assessment,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tages of behavior chang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xamination of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 b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effective education.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전략

        황혜연(Hwang Hey Yeon),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문제연구 Vol.18 No.1

        본고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주된 관점을 설명하고, 학교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그에 적합한 교육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사회속에 포함되어져야만 하는 요소들에는 자연, 전체로써 집단, 사람들의 삶의 형태들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리는 환경적인 문제를 넘어서 모든 인간의 삶속에 도입되어져야 한다.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공동체의 미래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지역공동체의 관련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변화시키며 모험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한국 학교내에서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학교 특성화 사업 등을 통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속에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교육과 연계하여 고민해보고 해결해보도록 함으로써 비판적사고의 향상을 꾀하고, steam수업을 통해 경험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통합적인 사고력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보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고, 단기적인 프로젝트로 끝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한국의 학교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발전과 실행을 위해서, 정부와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협력을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기적인 국가 계획수립이 필요하며, 프로젝트 수업, 전략적 질문, 경험학습, 스토리텔링, 독서를 이용한 다른 교과목과 관련된 학습방법등과 같은, 학교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것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사교육과 교사의 배치, 그리고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ain the main poi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in education circumstances of Korea and think over appropriate strategie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can be a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erms of whole society. The factor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sustainable society are, at least, nature, group as an aggregate, mode of living existence of people. And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introduced in all around human life area beyond environmental principal.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e needs the critic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hange of community for the sustainable future and make model for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amid dynamic changes and various risk in our society. Seco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done at school in Korea throughout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special projects.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programs, which is connected with communities, improve critical thinking by worrying about problem associated with things around the children and searching solutions. Throughout Steam, children can obtain experienced knowledges and improve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Also, children can extend the range of thinking through reading and obtain the mind of care, supporting each other. However searching materials about great programs shared with one another is a little difficult, and usually they are short-term projects. Thir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al circumstances, we need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schools and local community. We need a long-term policy which is continued for period and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apply to education environment in our school such as project learning method, strategic Questioning, experience learning, storytelling, the learning methods which is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using reading and so on. Also we nee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oper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ll and appropriate arrangements of teachers and support.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 성취압력과 수학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학업성취의 관계:: 수학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황혜연(Hyeayun Hwang),이선영(Sun-Young Lee),권순구(Soon Koo Kwon),봉미미(Mimi B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성취압력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도움요청 회피,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예측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변인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교과목은 수학이며, 서울 소재 고등학교 남학생 452명의 설문응답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 전체가 포함된 분석에서는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지원과 성취압력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모두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자기효능감과 수행접근목표가 부모 변인과 자기조절학습 변인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그러나 자기효능감 수준 상, 하위 각 33.3%만을 대상으로 한 다집단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부모 변인과 학습자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가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남학생들은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성취압력이 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도움요청 회피 행동을 많이 하였고, 특히 부모의 성취압력을 강하게 지각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경로는 자기효능감이 낮은 남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부모 변인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 습자 동기 변인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examined the predictive utility of perceived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on students’ use of self-regulatory learning strategies, help-seeking avoidanc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were specified as mediators. Responses of 452 high school boy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total sample,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self-efficacy,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student self-regulatory variables. When the responses of only those in the top 33.3% and the bottom 33.3% of the self-efficacy score were compared, several path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ents with strong self-efficacy reported greater help-seeking avoidance as they perceived greater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Their achievement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parental pressure. None of these paths was significant for the students with weak self-efficacy.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ental support and pressure accurately,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parental influence and student motivation should thus b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사회이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 판소리를 소재로 한 현대시 활용 중심으로

        황혜연 ( Hea-yeon Hwang ),서은숙 ( Eun-sook Se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연구는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한국사회이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 방안으로써 대표적인 한국문화 중 판소리를 상정하여 판소리를 소재로 한 현대시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한국사회이해」교육에서의 문화영역 분석을 통해 한국전통문화의 양적 질적 강화가 필요함과 한국문화교육의 의의를 살펴 한국문화교육은 외국문화로서의 한국문화가 아니라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 한국문화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교육적 타진을 위해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 된 판소리 문화를 상정하여 판소리를 소재로 한 영화에 대한 판소리 보존과 전승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과 ‘신명’이라는 판소리의 전통적 가치를 추출하였다. 또한 지식적 전달이 아닌 정서적 공감을 통한 이민자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문학적 접근으로써 판소리를 소재로 한 현대시를 활용하여 한국문화 교수-학습 지도안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판소리를 소재로 한 현대시 활용의 한국문화교육을 통해 이민자의 한국전통문화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이해 및 한국문화 향유에 대한 동기유발을 촉진하고 한국사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삶의 현장인 지역사회 공동체 문화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출신국의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긍정적인 한국문화 정체성 형성 및 출신국의 문화에 대한 정체성도 견고해질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d the Use of modern poetry based on Pansori as a material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Korean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KIIP).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al area in Korean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KIIP), we examined the necessity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rengthening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found that Korean culture education needed not only Korean culture as a foreign culture,but also contents that enable Korean culture to be internalized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Through the discussions about the preservation and tradition of Pansori, we extracted the traditional value of Pansori which is lis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world, proposed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we have exemplified Korean culture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using modern poetry based on Pansori as a literary approach to form a new cultural identity of immigrants through emotional empathy rather than knowledge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immigrants and to encourage motivation for enjoying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modern poetry based on Pansori,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culture, which is a place of lif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commun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positive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and the identity of the culture of the native country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ulture of the native country.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Enterobacter agglomerans CBNU45로부터 분리된 제한효소 EagBI 의 특성

        최영주,김성재,황혜연,임정빈,김영창,Choe, Yeong-Ju,Kim, Seong-Jae,Hwang, Hye-Yeon,Im, Jeong-Bin,Kim, Yeong-Chang 한국미생물학회 1994 미생물학회지 Vol.32 No.1

        토양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agglomerans CBNU45는 type II 제한효소인 EagBI을 생산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EagBI을 DEAE-cellulose, phosphocellulose P11, hydroxylapatite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부분 정제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EagBI은 여섯개의 염기배열 5’-CGAT${\downarrow}$CG-3’을 인식하고 T 와 C 사이를 절단하여 두개의 염기가 3’-말단쪽으로 돌출된 cohesive end를 형성하였다. EagBI의 반응 최적조건은 10mM Tris-HCl(pH 7.8), 6~10mM $MgCl_2$, 37${\circ}C$이었으며 NaCl이 없는 반응 완충용액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다. EagBI은 $dam^-$와 $dam^+$ 메칠화 DNA도 절단할 수 있으며 65${\circ}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EagBI은 PvuI의 isoschizomer이나 NaCl 요구성과 열안정성에서 PvuI보다 편리한 제한효소로 확인되었다. EagBI is a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from Enterobacter agglomerans strain CBNU45 isolated from soil. EagBI was partially purified by DEAE-cellulose, phosphocellulose P11 and hydroxyl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EagBI recognizes and cleaves the sequence 5'-CGAT${\downarrow}$CG-3' and generates 2-base 3'-protruding cohesive ends. The optimal reaction conditions of EagBI are 10 mM Tris-HCl (pH 7.8), 6-10 mM $MgCl_2$, at 37 ${\circ}C$. The enzyme is maximally active in the absence of NaCl, able to cleave both $dam^-$ and $dam^+$ DNAs, and sensitive to heat treatment (at 65 ${\circ}C$ for 10 min). Therefore, although EagBI is an isoschizomer of PvuI, it is more useful than PvuI in respect of the NaCl requirement and heat-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