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김미옥(Mi Ok Kim),황혜신(Hye Shin Hwang),임무송(Moo Song Lim),홍지은(Jee Eun Hong),김순선(Soon Sun Kim),도정아(Jung-Ah Do),최동미(Dong Mi Choi),조대현(Dae Hyun Cho)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6

        국내 유통 농산물 16품목을 대상으로 LC/MS/MS로 분석 가능한 다종다성분 농약 60종을 검사하여 식품의 잔류농약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510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490건(96.1%)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8건(3.5%)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들깻잎, 부추 등 엽채류의 검출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시금치, 부추에서 각각 ethaboxam, fluquinconazole이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검출 농약은 9종이었으며, azoxystrbin과 dimethomorph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쌀 등 16품목의 다소비 농산물을 대상으로한 모니터링 결과 농약의 잔류량은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산물에 대한 농약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pesticide residue level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year 2009. Residues were examined in 16 commodities (rice, foxtail millet, buckwheat, kidney beans, peanuts, sesame, oranges, grapefruit, kiwifruit, spinach, perilla leaves, leeks, garlic stem, garlic, ginger, and oak mushroom) collected from 22 provinces in Korea. Analyses were performed by multi-methods capable of detecting up to 60 pesticides by LC/MS/MS. A total of 510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f the samples, 96.1% contained no detectable pesticide residues. Detectable residues at or below the MRLs were found in 3.5% of the samples. However, in 0.4% of the samples (spinach and leeks), residue (ethaboxam and fluquinconazole) levels exceeded the MRLs. Furthermore, intake assessments of 7 kinds of pesticide residues were carried out, excluding those exceeding the MR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s of EDI (estimated daily intake) to ADI (acceptable daily intake) were 0.0001-0.0006%, which indicates that the detected pesticide residues were in a safe range. It is concluded that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are properly controlled in Korea.

      • KCI등재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박은령(Eun Ryong Park),이선규(Sun Kyu Lee),황혜신(Hye Shin Hwang),문춘선(Chun Sun Mun),곽인신(In Shin Gwak),김옥희(Ok Hee Kim),이광호(Kwang 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2

        보존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프로피온산, 안식향산이 천연 원료로부터 이행되거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써 생성되는 제품군들을 선정하여 berry류, 건강기능식품, 식초음료류, 초(염)절임류 등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45건의 시료로부터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과 재래식 발효법에 의한 감식초의 담금, 발효기간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방법으로 담금한 감식초에서 발효과정 중의 프로피온산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제조공정 중 안식향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 중 berry류(푸룬, 크랜베리), 건강기능식품(프로폴리스추출물제품, 인삼제품), 식초음료류(식초음료베이스, 식초혼합음료, 과실식초), 절임류(올리브제품, 염절임류, 오이피클류, 초절임류) 등 145건을 분석한 결과, 145건의 시료 중 144건의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으며, 크랜베리와 프로폴리스 추출물제품 중에는 최대 약 500ppm 농도의 안식향산이 원료로부터 천연유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피온산은 시료 64건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제품의 경우 원료로부터 천연유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식초음료류와 올리브 제품의 경우는 식품의 제조과정 중 발효 및 숙성에 의한 부산물로써 천연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In the current food sanitation regulation, food additives are under controlled by the Food Code. The naturally derived preservatives such as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can be naturally carried over or produced as metabolite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fermentation. To monitor naturally formed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levels, a total of 145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berries (prune, cranberry), functional foods (propolis liquid, ginseng product), vinegars (vinegar-based drink, vinegar beverage, vinegar), and salted and pickled products (olive, pickled cucumber, salted/pickled product) and analyzed by HPLC-PDA and GC-FID. From the results,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each detected and identified in 144 samples and 64 samples respectively. The amount of benzoic acid ranged from 4.1~478.4 ppm in cranberry, from 49.7~491 in propolis liquid, and from 2.5~10.2 ppm in ginseng, and other tested samples contained very small quantity. Also, the amount of propionic acid ranged from 179.8~951.9 ppm (av. 553.6 ppm) in vinegar (persimmon vinegar 100%), which was the highest level among fermented foods, from 13.7~247.0 ppm in propolis liquid, from 2.0~180.7 ppm in vinegar-based drink, and from 1.6~76.6 ppm in olive. Vinegar beverage and pickled cucumber each showed 24 and 18 ppm of propionic acid; in contrast, propionic acid was not detected in prune, cranberry, ginseng, and picked/salted products.

      • KCI등재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교육과 슈퍼비전 성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소연(So Yun Cho),노혜련(He Len Noh),황혜신(Hye Shin Hw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2

        본 연구는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교육과 슈퍼비전 성과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2015년까지 3년간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토대로 시행한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사업" 의 성과를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는 특별한 보상 없이 바쁜 일과를 보내면서 소진된 상황이었고,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교육과 슈퍼비전에 참여하면서 개인의 변화, 실천의 변화, 관계의 변화, 이용자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변화 요인은 1) 교육과 슈퍼비전을 강점에 초점을 두고 진행한 점, 2) 실천 경험을 강조한 점, 3) 종사자의 욕구를 토대로 한 점, 4) 협력과 소통을 확장한 점, 5) 지속적인 훈련을 제공한 점과6) 일관된 가치를 전달한 점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실천적 제언을 했으며, 이 내용은 지역아동센터 현장에서 발전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utcome of strength-based, solutionfocused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Happy Community Children"s Center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Busan and Kyungnam areas in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5. The results revealed tha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were burnt out from their extremely busy daily routine without being rewarded for their efforts. After participating in strength-based, solution-focused education and supervision, however, workers experienced changes with respect to self, practice, relationships, and service users. The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changes were as follows: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1) wer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engths, (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e experience, (3) were based on the needs of the workers, (4) expanded the workers" level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workers from other centers, (5) provided continuous training, and (6) conveyed consistent practice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policies and practices that would enhance the work competencies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The suggestion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and supervision for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 KCI등재후보

        가정법원 전문조사관제도의 활용과 성과에 대한 법관의 인식

        노혜련(Noh, He-Len),유서구(Yoo, Seo-Koo),황혜신(Hwang, Hye-Shi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7

        본 연구는 가정법원에서 가사, 소년보호, 가정보호사건과 관련된 사법기능과 복지ㆍ후견 업무를 지원하는 전문조사관제도의 활용과 성과에 대한 법관의 인식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사, 소년보호, 가정보호사건을 담당하는 법관 총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전문조사관과 일해 본 경험이 있는 법관은 71.6%(58명)로 나타났고, 그 중 대다수(93.0%)가 전문조사관을 적극 또는 매우 적극 활용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1명을 제외한 모든 법관이 전문조사관 제도의 성과에 동의 또는 적극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 성과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 중에서는 ‘미성년자녀를 둔 부모 교육 등과 같은 복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에 이바지한 점’, ‘법원 외부 전문가와 전문 기관의 활용에 이바지한 점’과 ‘가사ㆍ소년보호ㆍ가정보호 사건처리의 충실화에 이바지한 점’을 특히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법원 전문조사관 제도의 발전과 확대를 위한 제언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mily court judges’ perception of utilization and performance by specialized probational officers working in Korean family court system. A total of 84 judges, who are handling cases of divorce, juvenile delinquency, and family violence, were asked to complete the structured survey through the court intranet. The study found that 2/3 of the judges has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with specialized probational officers in family court. Most judges used their services actively and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the services. Almost all judges agreed on the success of the system and assessed that the system especially contributed to developing and expanding welfare and educational programs, to using outside experts, to enhancing effectiveness in dealing with cases of divorce, juvenile delinquency, and family violence. Along with major finding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