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황진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8 한국 복식 Vol.- No.40

        As dynasty period started, one of the representative women who worked in the royal palace was court lady(宮女) and they were in charge of every affairs in the royal court from big events to miscellaneous affairs. Those who were favored by the king became promoted to Sanggung(尙宮) from a low class and sometimes they were conferred with a title called Hugung, meaning a royal concubine. One of the examples where humble servant became a royal concubine is Sukbin Choi (淑嬪 崔氏:1670~1718) who used to be known as a maid in charge of the water for the court ladies to wash their faces. However, not many of the court ladies were favored by the kind so most of the Nains (內人:Korean word for maid) worked for the king for their whole life. They had many roles to play and a lot of duties to fulfill but they were merely neglected women who did not get anyone’s attention. In the long history of 2000 years, it is difficult to find materials on court ladies. Since the Joseon Dynasty was a man oriented society, information on court ladies is not recorded in detail and there are not much of remains. Therefore, not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court ladies. However, through recreation events of court ceremonies or movies or TV series on court ladies, many media programs are dealing with their official status, a system related to them and their personal lif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historical research on and correct understanding for clothing of court ladies who entered the palace in an early age and used to live a dedicated life for the king and the queen. 왕조시가 시작되면서부터 궁궐에서 일하는 여성가운데 표적인 존재가 궁녀(宮女)이다. 조선시 기본 법전인 『經國大典』이 편찬되면서 정립된 내명부의 품계는 정1품에서 종9품까지 정해졌으며 이 중 궁녀의 범위는 정5품부터 종9품까지 다양한 명칭과 신분을 가지지만 평상시에는 상궁(尙宮)과 나인[內人]으로 불려지며 궁중의 큰 행사부터 잡일까지 모든 일을 맡아 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시 궁녀 복식을 고찰 한 것으로 먼저 문헌에 나타난 복식을 살펴보고, 실제 시행 한 복식과 기록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자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壬辰倭亂)이전의 궁녀복식에 관한 기록은 찾기 어려워 조선후기의 복식을 통해 추측을 할 뿐이다. 국말의 궁녀의 복식은 고종과 순종 는 전통적인 왕조의 모습이 변화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국말 상궁들의 증언과 남아있는 사진자료만을 가지고는 조선시 전체를 설명할 수는 없다. 이러한 한계 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각종 문헌 자료 등을 포함하여 평상복과 의례복, 두식(頭飾), 혜(鞋)로 나누어 조선 후기 궁녀복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복은 옥색의 저고리와 남색치마를 기본복식으로 관례전의 어린 나인들은 연두색, 분홍색, 남 색, 노란색, 보라색등의 저고리에 자주삼회장을 달며, 진분홍색, 다홍색, 남색치마들을 착용하였다. 관례 후 정식 나인이 되면 오전 근무[上番]에는 어여머리와 초록 곁마기 또는 초록 당의를 소례복으 로 착용한다. 오후근무[下番]시에는 옥색의 저고리와 남치마만을 착용하며, 머리도 조짐머리로 약식 으로 차려 입었다. 당의는 국말 궁녀들의 소례복으로 근무 시 착용하였던 복식으로 상궁과 나인의 당 의는 초록색이며 그 외 낮은 계급인 비자는 아청색의 당의를 착용하여 신분별로 색상에서 차이를 주 었음을 확인 하였다. 조짐머리는 저녁근무에 간소한 형식의 쪽머리이다. 궐에서 하는 가장 약식의 머리모양으로 또야 머리와 비슷한 모양이나 크기와 맺는 위치, 비녀에서 구분되는 또 다른 쪽머리이다. 이러한 쪽머리에 는 당의와 함께 족두리(簇頭里)를 착용하기도 한다. 어여머리는 오전근무에 소례복(小禮服)착용 시 머리모양으로 어염족두리에 어염다리를 얹은 형태이며 이 어여머리 위에 목제체발을 얹으면 큰머리 로 원삼에 사용하였다. 신은 주로 홍색과 청색의 온혜(溫鞋)・당혜(唐鞋)와 흑혜(黑鞋)를 신었다.

      • KCI등재후보

        금융마크업과 소득불균형

        황진영,정군오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1

        본 논문은 순금융마크업(Net Financial Mark-UP)이 소득불균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순금융마크업이란 대출이자에서 단위당 은행운영비용을 차감한 뒤 예금이자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간단한 정태적 모형을 통하여 순금융마크업은 소득불균등에 대해 두 가지 상충된 영향을 제시하였다. 즉 높은 수준의 순금융마크업은 가난한 그룹에 속하는 은행 고용자들의 임금소득을 상승시켜 소득불균등을 완화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그들의 고용 수준을 감소시켜 소득불균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론적 예측을 바탕으로 국가간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결과 금융마크업률(Financial Mark-UP Ratio: 순금융마크업의 대리변수)은 소득불균등(‘소득지니계수’를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다른 설명변수를 포함하거나 개발도상국만으로 구성된 표본 등에서도 만족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분묘 출토 세가닥 바지 유형에 관한 연구

        황진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9 한국 복식 Vol.- No.41

        The names of the pants used from the Ancient Times were variously used, and the pan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worn by both men and women, but their roles were different. The man wore pants with the jacket(Jeogori) in the sense of a coat, and the woman wore pants for underwear in the jacket(Jeogori) and skirt(Chima). The pants of the Joseon Dynasty are conveyed in various forms through excavated costumes. Among them, the Three legged pants made the shorts form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pants and overlapped on one leg. Three legged pants are valuable data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type of the pa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excavated quantity is small.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ree legged pant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legged pants were excavated only in the early 16th and 17th centuries and were thought to be popular at the time. Second, there are three pants with short pants on the outside and there are six pants with short pants inside. Third, it is composed of double and can be seen as practical pants for convenient use without taking off pants with cold weather. Fourth,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both men and women wore the same type of pants, and Three legged pants seem to be used as men’s pants. 상고시대부터 사용된 바지의 명칭은 다양하게 불리며 사용하였고, 조선시대 바지는 남녀 모두 착용하지만 각각의 역할이 달랐다. 남자는 겉옷의 개념으로 저고리와 함께 바지를 입었으며,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안에 속옷의 용도로 바지를 입었다. 조선시대의 바지는 출토 복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으며, 그 중 세가닥 바지는 그 형태가 일반 바지와 다르게 짧은 반바지 형태를 추가로 만들어 한쪽 다리에 겹쳐 주었다. 세가닥 바지는 출토된 수량은 적지만 조선전기 바지의 특징적인 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세가닥 바지의 유형과 구성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가닥 바지는 모두 16~17세기 초에 만 출토되고 당시에 유행되었던 형태일 것으로 생각 된다. 둘째, 짧은 바지 가닥이 겉으로 배치가 되는 세가닥 바지 3점과 짧은 가닥이 속으로 들어가는 세가닥 바지 6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이중으로 구성되어 추운날씨에 방한효과와 함께 바지를 벗지 않으면서 용변이 편리하도록 제작된 실용적인 기능의 바지로 볼 수 있다. 넷째, 조선전기에는 남녀모두 속곳형태의 바지를 착용하였으며, 세가닥 바지는 남자의 바지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 근거로 짧은 가닥의 부리너비가 좁은 점, 사폭바지가 등장하는 시점부터 점차 사라진 점 등으로 미뤄보아 남자용 바지로 추정할 수 있다.

      • Injectable Hybrid Hydrogels with Versatile Properties for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황진영,이시민,Le Thi Phuong,박기동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Gelatin hydrogels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pharmaceutical and medical applications due to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roperties of natural polymer-based hydrogel without any modification. To overcome this, natural/synthetic hybrid hydrogels incorporating PEG into gelatin hydrogels could control their properties with biocompatibility. In this study, we prepared gelatin/PEG hybrid hydrogels depending on the lengths and contents of PEG, formed by enzyme-mediated crosslinking. The physicochemical of hydrogels were independently adjusted by PEG parameters with cyto-compatibility. Furthermore, the formulation with the highest physicochemical properties showed effective hemostasis and wound healing in vivo. In conclusion, the gelatin/PEG hybrid hydrogels with tunab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could be expected to be a promising biomaterial for various applications.

      • KCI등재후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피갑(皮甲)의 특징에 관한 고찰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보존과학 Vol.20 N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피갑 유물의 전시와 안전한 보호를 위한 보존처리를 진행하기에 앞서 갑옷의 특징과 종류를 파악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보존처리의 기초자료를 위해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갑옷의 명칭은 색, 재료, 신분, 갑옷의 부위까지 함께 나열하여 세부적인 특징의 차이에 따라 기록하였다. 명칭을 표기하는 순서는 대부분 색상과 직물, 다음으로 철이나 가죽 등의 재료가 나열되며, 앞부분은 의(衣), 뒷부분은 갑찰의 재료, 또는 신분만으로 명칭을 기록하였다. 둘째, 갑옷에 사용된 재료는 직물, 가죽, 금속이며, 철갑(鐵甲), 피갑(皮甲), 지갑(紙甲), 엄심갑(淹心甲), 단갑(緞甲)으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갑옷의 구조와 착장방법에 따라 크게 4가지의 유형으로 나뉘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피갑 4점은 그 중 임진왜란 이후부터 19세기 말, 20세기 초까지 입혀진 보편적 양식인 포형(袍型) 갑옷 양식에 포함되며 보군(步軍)이 착용하였던 갑옷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nducted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armor in its collection for the purposes of public display and appropriate preservation. This was preceded by a literature study on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armor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for secure and accurate conservation treatment. The literature study found that during the Joseon dynasty, armor was named in reflection of precise details including the color, material, status of the wearer, and even the certain parts of a suit of armor. In general, the name of armor includes the details in the order of color, underlying textile, and scale material (e.g., iron, leather). The former part of the name presents the features of the garment and the latter part refers to the material of the scales or the status of the wearer. The study also found that main materials used in armor include textiles, leather, and metal, and armor can be classified by the materials of the scales—e.g., metal armor(鐵甲), leather armor(皮甲), paper armor(紙甲), paper-and-fabric armor(淹心甲), silk armor(緞甲). Joseon-period armor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structure and the method of wearing, and overcoat(袍)-style armor was the most widely used in the period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1592-1598) through the late nineteenth-early twentieth century. Overcoat-style armor was commonly worn by infantry, and the four examples of armor with leather scal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elong to this category.

      • KCI등재후보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덕온공주 집안 서대(犀帶)의 보존처리 및 특징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5 No.-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덕온공주 집안 서대는 2019년 국립한글박물관 특별전시를 위해 소장처의 의뢰로 응급처리를 실시하게 되었다. 처리의 목적은 전시를 위한 원형유지가 우선이었으며, 서대는 훼손이 심하여 형태복원 및 탈락된 띠돈의 고정이 필요했다. 처리 전 서대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구조의 명칭, 시대에 따른 형태의 변화 등을 살펴보아, 보존처리의 방향 및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로 삼았다. 품대 중 서대는 1품의 품계를 가진 사람이 사용하는 품대로 왕의 옥대 다음으로 귀하게 여겨졌던 품대이다. 서대를 장식하는 무소뿔[서각]은 품질에 따라 3가지 양식의 무늬로 구분되는데, 그 중 주변으로 작은 원형의 흑갈색 무늬가 중앙에 밀집한 모습으로 포도문과 유사한 양식으로 고급품에 속하는 질 좋은 서대임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버클이 없는 일체형 구조이며, 각이 진 방형의 품대로 19세기 이후 주로 착용되는 품대의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 하였다. 이후 보존처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서대의 구조를 확인하여 제작방식을 파악하였으며, 유물과 초상화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서대의 형태적 특징, 그리고 세부 구조 등을 살펴서 보존처리 대상 유물이 19~20세기 제작된 서대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