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비정상적인 간기능을 가진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 Aminotransferase 및 HBV DNA와의 상관관계

        황준영,박혜원,서상혁,장병국,박경식,조광범,황재석,안성훈,박승국,강유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만성 B형 간염의 면역관용기는 바이러스의 활동도와 조직소견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제거기의 경우에는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 AST, ALT의 수치, HBV DNA와의 상관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적으로 면역제거기로 생각되는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ALT, AST, HBV DNA와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1년부터 2003년 3월까지 내과를 방문하여 만성 B형 간염으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간생검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혈청 ALT가 100 I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던 77명을 대상으로 조직학적 간염 활성도 및 간섬유화 정도와 ALT, AST, HBV DNA 수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HBV DNA가 음성인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결과: 77명중 남자가 58명이었고, 여자가 19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34.09±11.71세(14세-69세)였다. 간소엽 활성도는 minimal 30명(39.0%), mild 31명(40.3%), moderate 12명(15.6%), severe 4명(5.2%)이었고, 문맥 활성도는 minimal 9명(11.7%), mild 30명(39.0%), moderate 28명(36.4%), severe 10명(13.0%)이었다. 간섬유화는 none 1명(1.3%), mild 9명(11.7%), moderate 19명(24.7%), severe 36명(46.8%), 간경변 12명(15.6%)이었다. 각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면 간소엽 활성도와의 상관계수는 ALT가 0.499 (p<0.001), AST가 0.529 (p<0.001), HBV DNA가 -0.164 (p=0.182)였고, 문맥 활성도는 ALT가 0.494 (p<0.001), AST가 0.523 (p<0.001), HBV DNA가 -0.336 (p=0.05)이었으며, 간섬유화 정도는 ALT가 0.187 (p=0.103), AST가 0.219 (p=0.055), HBV DNA가 -0.420 (p<0.001)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ALT와 AST는 간염 활성도가 증가할수록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AST가 ALT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간섬유화 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었다. HBV DNA는 간섬유화 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염 활성도와는 상관관계가 적었다. Mann-Whitney 검증으로 조직소견의 단계별로 비교하였을 때 ALT와 AST는 간소엽 활성도와 문맥 활성도 모두 mild와 moderate간의 차이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HBV DNA는 간섬유화 정도에서 mild와 moderate간의 차이가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면역제거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ALT와 AST는 간소엽 및 문맥 활성도가 심해짐에 따라 증가하며, AST가 간염 활성도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BV DNA는 간섬유화가 심해짐에 따라 감소하며, 특히 간섬유화 초기에 의미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oxide thin-film transistors

        황준영,홍민택,윤의중,배병성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6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7 No.2

        A three-bit flash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consisting of inverter-based comparators and logic gates using amorphous indium-gallium-zinc-oxide thin-film transistors (a-IGZO TFTs) was developed. The TFT has a bottom gate structure with a methyl-siloxane-based organic spin-on-glass passivation layer, which reduces the plasma damage on the active layer. A bootstrapped logic gate structure was used in the proposed ADC to overcome the reduced output swing in the inverters and the NAND gates caused by using only n-type a-IGZO TFTs. The output signals of the developed three-bit flash ADC with a-IGZO TFTs well matched the analog inputs. The output voltage swing was 0.2–3.6 V, well matching the simulation result. The three-bit flash ADC was verified up to the 1 kHz operation frequency, and thus can be used in sensor applications such as the wearable sensor display and the integrated biosensing platform.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악성 간종양과 감별이 어려웠던 Sclerosed Hemangioma 1예

        황준영,박혜원,서상혁,장병국,박경식,조광범,황재석,안성훈,박승국,권중혁,강구정,강유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의 혈관종은 가장 흔히 발생하는 간의 양성 종양으로 그 중에서도 해면 혈관종이 가장 흔한 조직학적 형태이다. 혈관종은 시간이 지나면서 혈전, 반흔, 그리고 석회화 등을 동반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이러한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섬유화 반흔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상태를 sclerosed hemangioma라고 한다. Sclerosed hemangioma는 간혈관종의 매우 드문 형태로 경화된 작은 혈관들 사이에 많은 양의 콜라겐 조직과 탄성 섬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간내 담도암이나 전이성 간암과 유사하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간의 악성 종양과 감별이 어렵고 보고가 드문 sclerosed hemangioma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48세 여자 환자가 3개월간의 우상복부 불쾌감을 주소로 개인 의원을 방문하여 시행한 복부 초음파와 복부 CT에서 간우엽의 종괴가 발견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신체 검사에서 활력 징후는 모두 정상이었다. 진찰 소견에서 간이 늑골연 아래에 10 cm 정도 만져졌으나 압통은 없었고 황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 소견은 백혈구 5880/uL, 혈색소 10.1 gm/dL, 혈소판 304,000/uL이었고, 혈청 생화학 검사에서 ALP 53 IU/L, AST 21 IU/L, ALT 16 IU/L, 총단백 6.9 g/dL, 알부민 4.4 g/dL, 총 빌리루빈 0.6 mg/dL 이었다. HBs Ag 음성, HBs Ab 양성, HBc Ab 양성, HCV Ab 음성이었다. α-FP은 4.71 ng/mL, PIVKA II 4.71 ng/mL, CEA 2.11 ng/mL, CA 19-9는 26.71 U/mL 이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간우엽에 직경이 10 cm인 큰 타원형의 경계가 뚜렷한 종괴가 관찰되었고, 종괴는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를 보이고 T2 강조영상에서 검게 보였으며 조영제 주입후 역동적 MR에서 서서히 결절성으로 지연조영증강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CT 유도하 경피적 간생검에서는 섬유조직만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T2 강조영상에 검게 보이며 부분적으로 지연조영증강되므로 악성 간종양을 배제할 수 없었고, 환자가 큰 종괴로 인한 불쾌감을 호소하므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고무타이어와 같은 탄성을 가진 흰색의 단단한 종괴였고, 크기는 직경이 9 cm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여러개의 경화된 작은 혈관들 사이로 많은 양의 콜라겐 조직과 섬유화가 관찰되었고, 혈관들은 내강의 허탈이 관찰되었다. 상기환자는 방사선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으로 sclerosed hemangioma로 진단하였다. 결론: 상기 환자는 자기공명영상에서 부분적으로 지연조영증강되는 소견이 보여 간내 담도암이나 전이성 간암과의 감별이 어려웠다. 간혈관종에서 볼 수 있는 강한 조영증강이 없는 것은 종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많은 양의 섬유조직 때문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sclerosed hemangioma의 드문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융기형 위점막 병변에서 겸자 생검과 내시경적 절제 후의 병리 조직 소견의 비교

        황준영,박경식,황재석,안성훈,박승국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3 Clinical Endoscopy Vol.26 No.2

        Background/Aims: The correct histological diagnosis of gastric adenoma is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reported to be precancerous lesion and associated with focal gastric carcinoma. However, there is some discrepancy between the histology of the forceps biopsy and that of the endoscopic rese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histologic findings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between the specimens of forceps biopsy and endoscopic resection.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137 cases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which had been removed by the resection such as polypectomy 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ll patients had undergone forceps biopsy before endoscopic resection. We compared the histologic findings of the specimens by forceps biopsy with those by resection. Results: The histologic fidings were accordant at 101 of the 137 cases (73.7%), and different at 30 cases (21.9%). Among the 86 cases with adenoma in the biopsied specimens, 10 cases (11.6%) were finally diagnosed as gastric cancer in the resected specimens. Conclusions: Because biopsy specimens may not be presentative of the entire lesion, endoscopic resection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is needed for accurate histologic diagnosis and treatment if adenoma is suspected.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68-72) 목적: 내시경 검사 시에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융기형 병변을 총칭하여 위용종이라 하며, 조직학적으로 이형성을 동반한 경우를 위선종이라 한다. 특히 위선종은 일부에서 국소 암성 병변을 같이 동반하고 있으며, 또 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조직학적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를 이용한 조직소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내시경 검사에서 관찰된 융기형 위점막 병변에서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 후의 조직소견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2년 7월까지 내시경 검사에서 융기형 위점막 병변이 관찰되어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를 모두 시행한 1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1.7±10.2세였고. 병변의 크기는 1.0~1.4 cm이 57명(41.6%)으로 가장 많았다. 병변의 위치는 전정부가 82명(59.9%)으로 가장 많았다. 겸자 생검 결과는 위염 13명(9.5%), 저이형성 51명(37.2%), 고이형성 35명(25.5%), 위선암 13명(9.5%), 과형성 용종 25명(18.2%)이었다. 전체 병변 절제 후 조직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겸자 생검과 일치한 경우가 101명(73.7%)이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30명(21.9%)이었다.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를 살펴보면 겸자 생검에서 위염 소견만 보인 13명 중 전체 병변 절제 후 조직 소견에서 2명이 저이형성, 1명이 고이형성 소견을 보였다. 그리고 겸자 생검에서 저이형성을 보였던 51명 중 8명이 고이형성, 4명이 국소 암성변화, 1명이 과형성 용종, 2명이 위염 소견을 보였다. 겸자 생검에서 고이형성을 보인 35명 중 6명에서 국소 암성변화를 동반하였고, 2명이 위염, 1명이 저이형성을 보였다. 그리고 겸자 생검에서 국소 암성 변화를 보인 16명 중 3명이 고이형성을 보였다. 결론: 융기형 위점막 병변을 가진 1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겸자 생검에서의 조직 소견과 전체 병변 절제 후의 조직 소견의 일치율은 73.7%였고, 21명(15.3%)의 환자에서 겸자 생검 조직 소견에 비해 전체 병변에서 이형성이 더 심하게 나타났으며, 위선종이 관찰된 86명의 환자 중 10명(11.6%)에서 국소 암성변화가 동반되어 있었다. 따라서 선종이 의심되는 융기형 위점막 병변이 발견된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용종절제술이나 점막절제술 등의 전체 병변 절제를 통한 조직 소견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화염 가수분해 증착공정에서 온도 및 OH 분포측정

        황준영,길용석,김정익,최만수,정석호,Hwang, Jun-Yeong,Gil, Yong-Seok,Kim, Jeong-Ik,Choe, Man-Su,Jeong, Seok-Ho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4 No.11

        The effects of SiCl$_4$addition on flame structures have been studied in flame hydrolysis deposition (FHD) processes using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 (CARS) and planar laser induced fluorescence (PLIF) to measure temperatures and OH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en a small amount of SiCl$_4$ addition can change thermal and chemical structures of H$_2$/O$_2$ diffusion flames. When SiCl$_4$ is added to a flame temperature decreases in non-reacting zone due to the increases in both specific heat and density of the gas mixture, while flame temperature increase in particle formation zone due to the heat release through hydrolysis and oxidation reactions of SiCl$_4$. It is also found that OH concentration decreases dramatically in particle formation zone where temperatures increase. This can be attributed to consumption of oxidative species and generation of HCl during silica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