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존료 , 젓갈 , CaCl2 첨가가 김치발효중 배추잎의 조직감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인주,이철호,성연,윤의정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 No.3

        김치발효 중 일어나는 조직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조직경화제로서 CaCl₂, 숙성지연제로서 K-sorbate, 숙성촉진제로서 새우젓 및 멸치젓의 첨가효과와 이들 시료의 데침효과를 조사하였다. pH와 산도 및 환원당의 변화양상을 보면 새우젓 및 멸치젓 첨가구가 숙성촉진 효과를, K-sorbate, CaCl₂, 데침처리 등이 숙성지연효과를 뚜렷이 나타내었다. K-sorbate, CaCl₂ 및 데침처리에 의하여 발효중 김치배추의 절단강도 감소속도가 지연되었으며 압착력, 회복높이, work ratio의 감소속도도 지연되었으나 젓갈첨가는 이를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관능검사에서 젓갈첨가구가 굳은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 질긴 정도, 뻣뻣한 정도가 크게 낮아지는 반면, 보존료 첨가나 데침으로 이들 값이 증가하는 것과 일치하였다. pH, 산도, 배추잎의 절단두께, 절단력, 압착력, 회복높이, work ratio 등 기계적 측정치들은 신맛, 조직감, 외관의 기호도와 굳은 정도, 아삭한 정도, 질긴 정도, 뻣뻣한 정도 등의 조직감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김치의 pH는 김치의 신맛, 외관, 질긴 정도, 굳은 정도, 뻣뻣한 정도, 아삭아삭한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CaCl₂, K-sorbate, and fermented fish sauces and blanching on the texture of Chinese cabbage of Kimchi were evaluated. The addition of salt-fermented shrimp or salt-fermented anchovy accelerated the pH reduction, acidity increase and reducing sugar consumption, but K-sorbate, Ca-chloride and blanching suppressed the ripening process of Kimchi. The latter retarded the softening rate of Chinese cabbage during Kimchi fermentation, as demonstrated by the cutting force, compression force, recovered height and work ratio. The sensory evaluation confirme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texture measurements. The instrumental measurements, i.e. pH, acidity cutting thickness, cutting force and compression test parameters, showed acidity acidity was calculated as % lactic acid attributes, i.e. the preferences for taste, appearance and texture, and the level of crispiness, hardness, chewiness and fibrousness. The pH of Kimchi wa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quality parameter, whiih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taste, appearance, chewiness, hardness, fibrousness and crispiness.

      • KCI등재

        영아의 음악성발달과 언어발달과의 관계

        황인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ddlers' musicalit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toddlers who were two years old and enrolled at Child Care Center in Ansan city. In order to examine the toddlers' musicality, Gordon's(2004) PMMA and Hwang's(2008) 'behavior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spontaneous music play' and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al activitie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Kim, Seong, & Lee's(2003) PRES was used. Results were: (1)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ptitude and language development. (2)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spontaneous music play and language development. Specially spontaneous playing the instruments and spontaneous moving were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3)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al activities and language development.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no-particip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particip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Specially,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inging, playing the instru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영아의 음악성발달과 언어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산시에 위치한 A와 B 두 어린이집의 만2세 영아반에 재원하고 있는 영아 45명을 대상으로 음악적성,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의 빈도, 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 참여유형의 빈도, 언어발달을 알아보았다. 음악적성은 Gordon(2004)의 PMMA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과 빈도’와 ‘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 참여유형의 빈도’는 관찰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언어발달은 김영태, 성태제, 이윤경(2003)의 PRE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적성은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모두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과 빈도’와 언어발달과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자발적인 악기다루기와 자발적인 움직이기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 참여유형과 빈도’와 언어발달과의 관계에서 비참여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적극적 참여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극적 참여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특히 적극적 참여 중 노래부르기와 악기연주로 참여하는 경우와 언어발달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KCI우수등재

        인간적 척도와 시각적 선호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황인주,임성빈 한국조경학회 1990 韓國造景學會誌 Vol.18 No.1

        This study intends to define the concept of human scale and visual preference which is frequently being used by environmental designers, and to explore the dimension of buildings and courtyards which is perceived as "human scale" and "visually preferable" by users (college students). As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college students, "human scale" and "visual preferenoe" that were professional terms must be changed to understandable and compatible concept. The compatible concept for human scale was defined as the degree of friendliness and comfort, and that for visual preference was declined as the degree of like or dislike. The subjects thought that buildings with the height of 2.73 ∼5. 83 storides, the length of 27.44∼44.00m and the height ratio of 1.81 ∼5.41 were in human scale, and that buildings with height 2.60 ∼ 6.00 stories, the length of 25.7∼55.00 and the height ratio of 1.32∼6.41 were visually preferred. The block game used in this study was Proved to he a reliable and valid experimental method.

      • KCI등재

        영아교사의 음악활동 현황 및 음악활동에 대한 요구

        황인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practices and needs toward infants' music activities. 147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lot of music activities involved singing and moving, relatively listening and improvisation activities were not sufficient. Teachers replied that music activities were practiced 3 times a week, and for 5-10 minutes at a time. Second, many teachers perceived that infant music activities were necessary. They replied especially that they needed more activities in listening, movement, and improvis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음악활동 현황과 음악활동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으로 147명의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음악활동 현황과 음악활동에 대한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영아교사는 음악활동 중 노래부르기와 관련된 음악활동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감상하기와 동작활동관련 음악활동은 상대적으로 적게 실시하고 있었다. 음악활동의 실시횟수와 지속시간에 대해서는 일주일에 세 번이상 실시하며, 1회 음악활동 시간은 5분 이상 10분미만으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영아음악활동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감상하기, 동작활동, 창작하기/즉흥연주에 관련된 활동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산시 무용공연 지원실태 및 발전방안

        황인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무용공연이 갖는 여러 가지 외부효과로 인해 무용공연에 대한 사적 공급은 사회적 공급보다 작기 때문에 가치재로서의 무용공연 최적공급을 위해서 공공기관에 의한 무용공연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은 시장의 실패를 교정하고, 미래 무용고객층을 개발하며, 그리고 소득 및 문화적 소비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정당화된다. 따라서 공공기관에 의한 무용공연 지원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무용공연 지원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한다는 것은 준공공재적 성격을 지닌 가치재인 무용공연의 사회적 최적공급을 달성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무용공연 지원사례를 중심으로 지역 무용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원실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비영리 민간 무용공연단체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재정적 취약성을 감안할 때, 공연작품 편당 지원금을 지금보다 증가시켜, 실제적인 창작 무용작품을 제작·공연할 수 있도록 공연작품 편당 지원금액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이를 위한 예산증액이 어려울 경우, 지금과 같이 일률적으로 편당 지원금액을 책정, 지급하는 방식보다는 질적인 작품 위주로 공연작품을 선정하고 이에 대해 실질적 제작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무용고객층의 충분한 확충으로 제작비용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 공연수입이 확보되거나, 아니면 민간부문으로부터의 기부금 제도가 활성화되어 적절한 외부지원이 확보되기 전까지는 민간 무용공연단체가 창작적인 무용제작을 주도하기에는 많은 재원확보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앙/지자체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는 무용공연단체를 보다 확대시켜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무용공연단체에 대한 공연장 대관료를 실비 차원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앙/지자체 예산의 한계성, 그리고 경제적 여건에 따른 예산금액의 가변성 등을 고려할 때, 안정적인 무용공연의 공급을 위해서는 지역 문예진흥기금을 지금보다 더욱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이 갖는 외부효과를 지역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주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기금증액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부산시라는 특정 지역의 무용공연 지원제도 및 실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광역지자체의 경우 유사한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는 다른 지역의 무용기반 및 무용촉진 방안 모색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cause of several externalities dance performances possess, the private supply of dance performance is smaller than the social supply. To optimally supply dance performance as a goods of value, public support for dance supply is justified for correcting market failures, expanding the potential dance audience, and resolving income and cultural consumption imbalances.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ways to develop the dance performance supporting system.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performance supporting system in order to activate dance performances. Based on a case study of Busan's supporting system,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re suggested: First, considering the financial difficulties non-profit dance companies fac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verage subsidy to support dance performances. Specifically, instead of equally distributing subsides to dance companies,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more subsidies on quality dance performance pieces. Secondly, until the dance audience base is expanded enough to provide admission revenues, or the private donation system is fully established to support dance companies' production costs, the public dance company system needs to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Thirdly, to establish a stable supporting system, it is necessary for regional governments to increase their cultural funds.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have a consensus within the community. Even though study results are based on Busan's case, the policy proposals may be applied to other districts to expand regional dance bases and promote dance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