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서계(西溪)의 『중용』 분장절(分章節)체계에 관한 연구

        황인옥 ( Hwang In-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3 No.-

        본 연구는 서계의 『중용』 20장 분장(分章)체계를 바탕으로 『중용』 대지(大旨)의 분절(分節)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의 『중용』 분장절체계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주요텍스트는 『사변록 중용(思辨錄 中庸)』과 『중용장구』이다. 서계는 『중용』을 중용의 도를 설명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과 실현했을 때의 공효를 설명한 책으로 이해하고 20장으로 분장하였다. 본 연구는 서계가 『중용』을 5대절로 분절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사변록 중용(思辨錄 中庸)』의 장하주를 근거로 한것이다. 1대절은 1장(『장구』 1장)으로 『중용』 총론이며, 2대절은 2~4장(『장구』 2~11장)으로 중용의 뜻을 설명하였다. 3대절은 5~9장(『장구』 12~16장)으로 신독을 강조하여 실천의 중요성을 말하였고, 4대절은 10~12장(『장구』 17~20장)으로 여러 성인이 중용을 실천하여 중용의 덕이 지극함을 말하였다. 5대절은 13~19장(『장구』 21~32장)으로 중화위육의 공효를 설명한 부분이다. 서계의 『중용』 분장절체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중용』의 편차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주자학과의 차별화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독창적인 체계이다. 또한 『중용』을 형이상학적 성리설로 해석하지 않고, 형이하학적 중용 실천론으로 해석하여 분장절체계에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맥락간의 의미의 연결을 중시하여 분장(分章)하고 장과 장 사이의 맥락을 중시하여 『중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서계는 『중용』의 분장과 분대절에 심혈을 기울였는데, 그의 분장절체계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첫째, 『중용』 전체를 해체하여 일관된 논리로 재정리하고 문맥이 연결되는 일관성 있는 분장과 분절체계를 보여줌으로써, 『중용』을 공부하는 학자들에게 구체적인 『중용』학습법의 예시를 제공하였다. 둘째, 실천에 중점을 두는 주석으로 장을 구성하고 대절을 구분함으로써 『중용』을 형이상학적인 이론서가 아니라, 중용지도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천서로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주자학이 고무되어 있던 당시의 분위기에서 장을 새롭게 구성하고, 그에 맞는 주석을 가함으로써 한국 유학 사상사에 새로운 학문의 발전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how Seogye (西溪) divided (分節) the main ideas (大旨) of Zhongyong based on Seogye's 20-chapter Zhongyong division system,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eogye's system to divide the chapters and sections of Zhongyong. The main texts are Sabyeonrok Zhongyong (『思辨錄中庸』) and Zhongyong Zhangju. Seogye understood Zhongyong as a book explaining the ways of moderation, how to realize it, and the benefits of practicing it.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chapter footnotes of Sabyeonrok Zhongyong, Seogye's Sabyeonrok Zhongyong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Chapter 1 (Chapter 1 of Zhangju) and the introduction of Zhongyong, and the second section is from Chapter 2 to Chapter 4 (Chapter 2 to Chapter 11 of Zhangju) explaining the meaning of moderation. The third section is from Chapter 5 to Chapter 9 (Chapter 12 to Chapter 16 of Zhangju) emphasizing self-regulation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 and the fourth section is from Chapter 10 to Chapter 12 (Chapter 17 to Chapter 20 of Zhangju) talking about the fact that many saints had practiced moderation so the virtue of moderation became extreme. The fifth section is from Chapter 13 to Chapter 19 (Chapter 21 to Chapter 32 of Zhangju) explaining the benefits of ‘Junghwawiyuk (everything in harmony)’. Seogye's Zhongyong chapter division system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scholars. First,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deviations of Zhongyong, its differentiation from Neo-Confucianism was clear so it can be said to have an original system. In addition, it interpreted Zhongyong not as metaphysical Neo-Confucianism but as a physical moderation practice theory, and reflected this feature in the chapter and section division system. Last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s of different contexts was regarded as important, and Zhongyong was restructured completely by dividing and connecting chapters. Seogye devoted himself to dividing the chapters and sections of Zhongyong, and the following meanings can be attached to his chapter division system. First, by dismantling the whole Zhongyong and then reorganizing it with coherent logic and showing a consistent chapter and section division system with connection to the contexts, he offered the scholars studying Zhongyong specific methods to study it. Second, by organizing footnotes focusing on practice and dividing sections, he helped recognize Zhongyong as a practical book to put the virtue of moderation into action in daily life rather than as a metaphysical and theoretical book. Third, he structured the chapters in a new way in the atmosphere of those times being inspired by Neo-Confucianism, added proper footnotes, and therefore opened new potential of academic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 KCI등재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경로계수의 검정 방법들에 대한 비교 연구

        황인옥(Inok Hwang),강현철(Hyuncheol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때 주요 관심이 되는 것은 경로계수들에 대한 추정과 검정이다. 경로계수들에 대한 검정 방법으로는 -값을 이용하는 방법, Satorra-Bentler의 척도화 검정통계량을 이용하는 방법, Bollen-Stine의 붓스트랩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근사적인 검정 방법으로서 주어진 데이터 및 모형의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검정결과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검정 방법들에 대해 모의실험(simulation)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하에서 제1종 오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요 검정 방법들의 성능이 어떤지를 평가하였다. ML 방법은 추정과 검정의 관점에서 ML 방법이 정규분포로부터의 이탈에 로버스트(robust)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WLS 방법의 경우에는 표본크기가 작을 때 수렴하지 않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제1종 오류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WLS 방법은 표본크기가 상당히 클 때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붓스트랩 방법의 경우에는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제1종 오류가 오히려 커지는 경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붓스트랩 방법을 적용할 때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When performing data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e of the main concerns is the estimation and testing of path coefficients. As a test method for path coefficients, a method using t-value, a method using a scaling test statistic of Satorra-Bentler, and a bootstrap method of Bollen-Stine are used. All of these methods are approximate testing methods, and in some cases provide different test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 of data and model given. In this paper, the type I error was calculated under special circumstances by using bootstrap simulation for the main test methods, and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of these testing methods was evaluated. In terms of estimation and testing, the ML method was found to have a robust property in deviating from the normal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LS method, the non-convergence rate was relatively high when the sample size was small, and the type I error was also relatively larg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LS method is useful when the sample size is quite large. In the case of the bootstrap methods,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I error tends to increase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upplement to improve this phenomenon is necessary when applying the bootstrap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성호의 경(經)⋅전(傳) 체제 『중용』 해석 연구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중심으로-

        황인옥 ( Hwang¸ In-ok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본 연구는 『중용』을 경(經)·전(傳) 체제로 해석한 성호의 『중용질서(中庸疾書)』의 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경·전 체제 『중용』 해석의 의의와 한계점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성호는『중용』 2~11장을 ‘공자 중용’인 경(經)으로 보아 핵심내용이라고 하였고, 12~32장을 ‘자사 중용’인 전(傳)으로 보아 경을 설명하는 내용이라고 하였다. 그는 『중용』을 공자가 중용의 도를 세상에 실현하기 위하여 경세적인 입장을 밝힌 경전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에 주목하여 『중용』을 해석하였다. 성호의 『중용』 해석은 독창적인 경전 이해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중용』을 시작하는 말, 공자 중용, 자사 중용, 맺음말 체제로 나누었고, 1장을 공자 중용의 원리를 설명한 내용이라고 하여 『중용』 해석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용의 도가 인간관계의 기본인 오륜의 실천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설정하여 주체자의 실심(實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공자 중용의 내용을 중용의 지극함과 중용이 현실에서 행해지지 않는 것에 대한 공자의 안타까움, 중용의 도가 행해지던 과거의 증명, 중용지도의 미래 전망 등이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사 중용은 공자 중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실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그가 『중용』을 개인의 도덕 실천은 물론이고, 경세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경전으로 해석하여 『중용』의 효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성호의 『중용』 해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나타난다. 첫째, 경과 전으로 나누었으나 주자의 33장 구조를 그대로 따름으로써 주자의 분장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둘째, 2~11장을 공자 중용으로 보는 이유를 2~11장 안에 다른 사람이 말이 없고 문장이 ‘중니왈’, 또는 ‘자왈’로 시작되며 문장의 체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자사 중용 부분에서도 ‘자왈’로 시작되는 장이 6개나 되며, 문장의 체제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 셋째, 수장을 공자의 말이 간략하고 어려운 것을 염려하여 그 근원을 추구하여 자사가 썼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의 정확한 근거나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넷째, 『중용』을 성(誠)을 위주로 하는 책이라고 하였고, 『중용질서』의 후반부에서 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성(誠)을 공자 중용의 지·인·용을 부연 설명하는 보조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경전해석은 성리학적 풍토에서 실학으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Seongho’s 『Jungyongjilseo (中庸疾書)』 that is divided and interpreted as 『Jungyong』 into the system of Saint writing (經) and a wise man's writing (傳),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in the system of Gyeong and Jeon. Seongho interpreted 『Jungyong』 considering Chapter 2 to Chapter 11 of 『Jungyong』 as Saint writing (經) of ‘Confucian Jungyong’, and from Chapter 12 to Chapter 32 as a wise man's writing (傳) of ‘Zisi Jungyong’. Confucian Jungyong is the core content, and Zisi Jungyoung is a part giving additional explanation of Confucian Jungyong. He understood 『Jungyong』 as the scripture making Confucius’s administrative position clear in order to realize Confucius’s Jungyongjido, and interpreted 『Jungyong』 as focusing on this stance.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with the Gyeong and Jeon system is Seongho’s original method, and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he divided 『Jungyong』 into preface, Confucian Jungyong, Zisi Jungyoung, and postface. He gave his own ingenious opin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e.g. understanding the first chapter as that which explained the principle of Confucian Jungyong. Second, he set the morality of Jungyong as beginning from the practice of Ohryun (the five moral disciplines), the basis of human relationships, and emphasized a principal agent’s sincere heart (實心, sincerity). Third, he thought that Confucian Jungyong as Gyeong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trueness of Jungyong, Confucius’s pity for that Jungyong was not in practice in the reality, the verification of the past when Jungyongjido was performed, and the prospect of the future of Jungyongjido, and he understood Zisi Jungyong as the structure to explain it. Therefore, he stressed the usefulness of 『Jungyong』 by interpreting 『Jungyong』 as the scripture covering not only personal practice of ethics but also administrative meanings. Yet, Seongho’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he divided it into Gyeong and Jeon, but he followed Zhuxi’s 33-chapter structure as it was, so fail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Zhuxi’s chapter division structure. Second, he explained that he thought Confucian Jungyong wa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because there were no writings from others, the sentences began with ‘Zhongni says’ or ‘Zi says’, and the sentences had different system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Yet, Zisi Jungyong also has as many as six chapters beginning with ‘Zi says’, and he didn’t explain how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ere different. Third, he inferred that regarding the first chapter, Zisi pursued the origin worrying that Confucius’s words were brief and difficult. However, he couldn’t offer the accurate grounds or explanations for this. Fourth, he said that 『Jungyong』 was a book focusing on diligence (誠), and dealt with Seong importantly in the latter part of 『Jungyongjilseo』. But, in his interpretation, Seong remains as a supplementary concept additionally explaining Confucius’s Jungyong Ji(knowledge), In(benevolence), and Yong(courage).

      • KCI등재

        박세당의 『대학 사변록』 편차고정(編次考訂)에 관한 연구

        황인옥 ( Hwang In-ok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 연구는 박세당의 『대학 사변록(大學 思辨錄)』 편차고정(編次考訂)에 관한 것이다. 박세당이 『대학장구』의 분장체계에 대해 비판한 내용을 알아보고, 『대학 사변록』의 편차고정 기준과 편차에 대해 자세히 살피겠다. 그리고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자 한다. 박세당은 『대학장구』의 분장체계는 앞뒤 문장의 내용이 통하지 않으며, 전(傳)3장의 경전 인용 형식이 전1, 2장과 다르다고 하였다. 또한 전7~10장은 장의 요지가 2개로 설정되어 불분명하며, 치국과 평천하는 같은 도로써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내용으로 보아야 하나 그렇지 않다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기준을 세워 편차를 고정하였는데, 문맥이 통하지 않는 부분은 문의(文義)를 고려하여 연결성을 중시하였고, 체계가 일률적이지 않는 부분은 통일성의 원칙을 적용하였다. 또한 장의 요지는 명확성을 중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편차를 고정하여 초학자들의 실천을 용이하게 하였다. 박세당은 『대학 사변록』 전2, 3, 8, 9, 10장에서 자신이 정한 기준에 따라 편차를 고 정하였는데, 그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의 경문과 전문을 치밀하게 분석하여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 『대학장구』의 편차를 과감하게 개정함으로써, 독자적인 『대학』 해석의 길을 열어주었다. 둘째, 편차고정의 기준을 정하고 『대학』의 내용, 체계, 장의 특성에 따라 강조하는 기준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전문 각 장의 특성을 한층 더 부각시켰다. 셋째, 장과 차서를 명확히 하여 초학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함으로써 하학중시의 경전해석 태도를 보여주었다. 넷째, 경전은 여러 각도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경전해석의 다양성을 긍정하였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한계점도 있다. 하나의 장은 하나의 요지로 구성해야 한다고 하였으나, 치국과 평천하를 같은 장에 배열함으로써 이러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또한 기본텍스트를 『대학장구』로 하여 장과 차서를 배열함으로써 주자의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으며, 체계적인 고증을 통해 새로운 『대학』의 체계를 완전하게 수립하지는 못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Park Se-dang's restructuring(編次考訂) of 『Daehak Sabyeonron(大學 思辨錄)』. We will look into ‘Park Se-dang’s criticism of the makeup system of 『Daehakjanggu』 and examine the criteria and deviations of the deviation process of 『Daehak Sabyeonron』. And I would like to discus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s for the structure of 『Daehakjanggu』, Park Se-dang criticized that its sentences were not coherent; the system of quoting scriptures in Jeon(傳) Chapter 3 was different from that of Jeon Chapter 1 and 2. The main points from Jeon Chapter 7 to 10 were split into two, which made them unclear, and that ruling a nation and ruling the world were not considered as the same even though they c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same Tao. Accordingly, he restructured it based on clear criteria, and put emphasis on coherence by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writing in the parts where the context was not comprehensible. Regarding the parts where the system was not standardized, he added unity by applying the same principle. In addition, he regarded clarity as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 main point of a chapter, and therefore restructured it and helped beginning learners practice it more easily. Park Se-dang restructured Jeon Chapters 2, 3, 8, 9, and 10 of 『Daehak Sabyeonron』 following the standards he had set, and the result has some significance. First, by carefully analyzing 『Daehak』, the deviation was boldly fixed, and by revising 『Daehakjanggu』, which has absolute authority, it opened the way for its own interpretation of 『Daehak』. He showed the attitude of interpreting scriptures, focusing on beginning learners to help them understand it by restructuring it while taking the context into consideration, opening the way to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Daehak』.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alized chapter were further highlighted by setting the criteria for the deviation curriculum and applying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nts, system, and chapter characteristics of the 『Daehak』. Third, by clarifying the chapters and books, it was easy for first-time scholars to understand, showing the attitude of the scripture stone of the late school Jungsi. Fourth, he acknowledged the diversity in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that scriptures could be interpreted from various angles. In spite of these results, there were limits, too. It is regrettable that he argued that one chapter should consist of only one main point, but he himself didn't always abide by this principle, and he put ruling a nation and governing the world in the same chapter. In addition, the zhu-xi’s problems could not be overcome by arranging chapters and books using the basic text as 『Daehakjanggu』, and the new 『Daehak』 system could not be fully established through systematic historical evidence.

      • KCI등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에 대한 연구동향

        황인옥 ( In Ok Hw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석박사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총 95편을 대상으로 출처 및 발표연도, 연구대상, 조사설계 유형, 프로그램, 종속변수, 연구유형 및 자료분석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 대상 원예치료 논문은 2004년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2010년까지 크게 증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 아동, 초등학생, 1~10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설계 유형은 실험군설계와 대조군설계 혼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총 시행 횟수는 평균 20.68회였고, 11-20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용은 공예활동, 재배활동, 학습활동, 요리활동, 야외활동 순으로 많이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는 사회성, 정서,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통합연구 순으로 나타났고, 자료분석방법은 모수검증, 비모수검증, 질적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se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resented between 1999 and 2013 in our country in an effort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on horticultural therapy applied to children. 95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were analyzed to grasp the sources of data, years of presentation, subjects, research designs, programs,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types and methods of data analysis. As a result, it’s found that lots of studies of horticultural therapy geared toward children had started to be conducted since 2004, and that there was a grea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is kind of studies until 2010.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children without any particular disabilities or problems and primary students, and the most dominant number of the subjects ranged from one person to 10 persons. Concerning research design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most prevailing. As to the frequency of programs, programs were conducted 20.68 times on average. As for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handicraft activities were most prevailing, followed by farming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and outdoor activitie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was sociality, followed by emotion and self-esteem. The most dominant research type was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and the most common method of data analysis was parametric test, followed by non-parametric test and qualitative research.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horticultural therapy geared toward children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 기반 LDA 모형을 이용한 이미지 주석 군집화에 대한 연구

        황인옥(Inok Hwang),김향경(HyangKyung Kim),이지원(Ji Won Lee),김성용(Seongyong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2

        LDA 모형은 문서집합의 문서 및 단어를 분석하여 잠재 토픽을 파악하고자 이용되는 잠재토픽모형의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Blei, Ng, Jordan(2003)이 처음 제안한 LDA 모형은 전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배치학습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메모리 및 계산속도 등의 문제로 분석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학습 기반의 LDA 모형이 제안되었는데, 이 방법은 온라인 학습에 기반하며 메모리의 소모가 적고 배치학습보다 분석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Visual Genome에서 제공하는 10,000개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주석으로 이루어진 문서에 온라인 학습 기반의 LDA 모형을 적용하여 각 이미지의 주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이미지 주석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최적의 모형을 찾기 위해 잠재집단의 수 및 여러 초모수의 다양한 조합을 설정하고, 테스트 데이터로부터 혼잡도 및 동질성 척도를 구하여 다양한 모형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10개의 잠재집단을 가진 모형이 최적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집단의 상위단어를 통해 ‘사람’, ‘동물’, ‘도심’, ‘바다’, ‘화장실’, ‘부엌’ 등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LDA model is one of the latent topic models used to investigate latent topics by analyzing documents and words in corpu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However, LDA model proposed by Blei, Ng, Jordan (2003) is based on batch learning, which estimates parameters using whole data at once, which has limitations such as large memory requirement and computation time for large data. To resolve this problems, an online learning-based LDA model has been proposed. This method has been known to consume less memory and have a faster analysis speed than batch learning.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topic of each image by applying an online learning-based LDA model to corpus composed of annotations for more than 10,000 images provided by Visual Genome. For analysis, preprocessing was performed on image annotations. Various combinations of the number of latent topic and several hyper-parameters were set, and measures of perplexity and coherence are compared to find optimal model. As a result of comparison, a model with 10 latent groups was selected, and topics such as ‘human’, ‘animal’, ‘downtown’, ‘sea’, ‘bathroom’, and ‘kitchen’ were derived through the top words of each group.

      • KCI등재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인옥 ( In Ok Hw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김해지역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신고의도의 경우, 심각한 아동학대 사례가 경미한 사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학대 유형별 신고의도는 신체학대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성학대, 방임, 정서학대 순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고의도는 30-39세가 50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고, 4년제 대졸이 고졸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경력이 낮을수록 신고의도가 낮고, 경력이 높을수록 신고의도가 높았다. 또한 어린이집 유형과 교육받은 경험에 따라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아동학대 관련지식, 아동학대 사례지식, 신고에 관한 태도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관련 지식과 사례지식, 신고에 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관련 교육시간을 대폭 증가시켜 다양한 접근방식의 교육·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on child abuse among nursery teachers`` 318 at Gimha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nursery teachers` report intention, very serious cases of child abuse were higher than less serious cases of child abuse. The nursery teachers` reporting intention of physical abuse was the highest among the types of child abuse, and it was followed by sexual abuse, neglect, and emotional abuse. Second, in cases of nursery teachers` reporting intention, under the age of 40 years was higher than over the age of 40 years, and university graduates was higher than ot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nursery teachers who had high career had a higher reporting intention than who did not. Also,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nd the types of nurse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orting intention on child abuse. Third, related knowledge, case knowledge,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of child abuse gave positive impacts on nursery teachers` reporting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nurser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