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메타인지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 ( Yoon 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메타인지 발달에 따른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에 위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아 1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메타인지 발달은 교사-유아관계의 하위영역 중 갈등에서만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메타인지 발달과 교사-유아관계성에서, 3세아 메타인지 능력이 교사-유아관계에 영향력과 설명력을 보였으며, 5세아의 메타인지 능력이 교사-유아관계 중 의존 영역에서만 그 설명력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아의 메타인지 발달과 교사-유아관계성에서, 남아와 여아 모두의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 영역에서만 그 설명력을 나타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relates to their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age and gender.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fifty eight 3, 4-, and 5-year-olds at two childcare centers in Kangwon Province. Data was obtained through three kinds of interviews with each chil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mputer program,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ta cogni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conflict) Second, children`smeta cognition related significantly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for 3-year-old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ta cogni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ependence area for 5-year-old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ta cogni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dependence area for boys and girl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young children`s meta cognition is 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age and gender.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놀이는 효과적인 교수ㆍ학습방법으로 주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놀이를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 도구로서 기능을 강조한다. 유아놀이의 맥락에서,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학습과 교육 경험으로 연결하고, 또래간의 놀이 경험을 공유하여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유능성과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 H읍 유아 150명을 대상으로 교사용 척도를 사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은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은 교사-유아관계인 하위요소 중 친밀감 및 갈등에 대해서만 설명력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hildren's playfulness levelsrelate to their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fifty 3-, 4-, and 5-year olds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buk Provinc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ree instruments were used: Barnett'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1990), Park & Rhee's Scale for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2001), and Pianta's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199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mputer program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layfulness leve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and intimacy. confli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pontaneity in sub-areas of children's playfulness. But physical spontane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onfli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negatively related to dependen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윤세(Yoon-se Hwang),신재한(Jae-han Shin),김언진(Eon-ji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40편의 논문으로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창의성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별 평균 효과 크기와 변인 간 평균효과 크기의 차이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효과모형에 의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1.32로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 별로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출간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출간시기, 활동 영역, 연구 대상 연령, 프로그램 적용 기간, 실험 집단 인원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유아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owards this,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papers that sought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creativity. Forty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were selected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acceptance as a master’s or doctoral thesis or for publication in a peer-reviewed journal. The moderating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creativity effect are dependent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o the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the average effect siz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was found between publication types. Secondly, the size of the effect on creativity was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region. Thirdly,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depend on the test tool used to measure creativity, so when choosing a measurement tool, researchers must take the nature of the target into consideration. Taken togethe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s a great impact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 KCI등재

        Lickona의 통합인격교육론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 인성교육 관련 활동 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김언진 ( Kim Eon-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Lickona의 통합인격교육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통합인격교육론의 인성교육의 구성요소별로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의 주요 구성 방향인 인성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에는 통합인격교육론에서 제시한 인성교육 요소 중 도덕적 느끼기와 도덕적 행동하기의 활동 수가 도덕적 알기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인격교육론의 구성요소에 따른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생활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초등학교에 가요(54개, 14.51%)`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봄과 동식물(14개, 3.76%)`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인격교육론의 구성요소에 따른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활동역영별로 분석해 본 결과 대·소집단활동에서는 `이야기 나누기(40개, 25.84%)`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견학(2개, 1.34%)`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역할(63개, 28.2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실외(2개, 1.79%)`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통합적인 관점에서 균형 있게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Nursing Process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moral feelings and moral actions in the character education elements presented in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than the moral knowledg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lement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showed that `go to elementary school(54, 14.51%)` was the largest, `spring, animals and plants(14, 3.76%)` was the lowest. Third, in analyzing th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story-sharing(40, 25.84%)` wa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large group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field trip(2, 1.34%)` occupied the lowest portion.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role(63, 28.25%)`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and `outdoor(2, 1.79%)` occupied the lowest portio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의 유아의 의사결정력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의사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도 깊은 연구의 결과를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양적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33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실험집단의 유아를 관찰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의사결정력 전체 및 그 하위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유아의 의사결정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 각각 다양한 양상으로의사결정력을 높여가는 양상을 보였다. 유아들은 놀이과정에서 놀이실패 경험, 선호와 재미, 문제상황 및 놀이 풍부화, 참조적 의사결정, 그리고 자율성과 같은 형태의 의사결정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To examine this, a mixed method design leading to a final conclusion through balanced way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was adopted. The effect of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decision making ability was analyzed in terms of a quantitative approach. The pattern of decision making was analysed in terms of qualitative approach. Thirty-three subjects of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decision making 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might need to help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with a fair judgement basis.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aid young children in accepting different opinions so that may reach to reasonable decision-making.

      • KCI등재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 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상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2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정서지능 및 그 하위요인들은 놀이성 및 놀이성의 하위요인과 대체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에 대해서는 또래와의 관계, 자기통제, 자기주장, 교사와의 관계, 감정의 조절 및 충동 억제, 그리고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이 첨가되므로 그 영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relation to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subjects were 286 3-to 5-year-old children in Keyo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lationship skill with peers”,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and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in sub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nd “self-assertion” in sub area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

        황윤세(Yoon Se Hwang),최미숙(Mi Sook Choi) 한국아동학회 2005 아동학회지 Vol.26 No.1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Sternberg`s(1997) definition of Thinking Style as interactive and reciprocal mental self-government and explored its relationship to creativity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hinking Style Inventory(Yoon, 1998) and the Creativity Test(You, 1996) were administered to 210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0.0 program. Thinking style profil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confirmed by a trilateral correlation among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functions an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monarchic, hierarchic, oligarchic, and anarchic forms. There was a negative bilateral correlation between liberal and conservative tendencies. All sub areas of thinking styles were related to the creativ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8곳에서 표집된 유아 30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측정도구는 자기정서의 불안정성, 타인정서의 침해성, 정서유연성, 정서우울성 혹은 활동성이라는 4개 하위요인(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하위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는 4개의 하위구성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구조임이 밝혀졌다. 또한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의 4개 하위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r=.40~r=.59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의 공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며 정서지능과 상관을 산출한 결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정서조 절력 측정도구의 전체 문항내적 합치 신뢰도는 .76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타당도 및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본 연구에서 타당화한 교사평정용 유아 정서조절력 측정도구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at teachers can measure. The subjects were 300 pre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Korea.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21 items in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e four factors were self-liability, intrusiveness for others, flexibility, and depression and activ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ur factors we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area scores of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r=.40~r=.58, p<.01).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indicated by correlations between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ale represented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was .92 for total factor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cale is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유치원 평가지표의 교육과정 영역 기준에 따른 교육계획안 평가 분석

        황윤세 ( Yoon Se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how kindergarten teachers planned daily lesson plans. To achieve the aim of this research, 99 daily lesson plans prepared by teachers in one kindergarten were analyzed in terms of educational themes and group activities. The evaluation`s criteria used a curriculum domain of kindergarten evaluation criteria. Specifically, the criteria of this research selected were two sub domains (adequacy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dequacy of managing daily routine) of curriculum doma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anning contents for different levels were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eachers. In the future, kindergarten teachers have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