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alth aid for states with dissimilar foreign policy preferences, a tool for peace?

        황원재,Hwang Jeeseo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3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26 No.1

        Due to its exigency and humanitarian nature, health aid is less political and thus less vulnerable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ticism than other types of foreign aid. Ironically, this makes health aid an effective policy tool for donors to cultivate or improve relations with recipients that have divergent foreign policy preferences from donors. This implies that health problems caused by pandemics/epidemics and associated health aid can create an opportunity to ameliorate historically troubled relationships between states. By examining the link between bilateral health aid flows and differences in foreign policy preferences between 24 donors and their recipients from 1990 to 2017, this paper presents findings that support this claim. The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offer novel insights into the politics of health aid.

      • KCI등재

        기사형 광고와 언론매체의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18.1.25. 선고 2015다210231 판결 -

        황원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91

        The Supream Court in Korea has clearly affirmed in this judgment whether the nature of the advertorial is an article or an advertisement. In this judgment, the court also considered that when a newspaper publishes an advertorial, it must explicitly indicate that the advertorial is an advertisement. Furthermore, the court saw that the newspaper should clearly separate the advertorial from the article so that the reader would not be mistaken. Finally, newspapers should not use verbal or non-verbal expressions similar to the articles in the advertorial so that readers do not mistake the advertorial as an article. Recently, advertising techniques have been diversified. Therefore,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stipulates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order to prevent the trust of articles from being transferred to advertisements and causing harm to readers.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court acknowledged the joint tort liability of the newspap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reader if the newspaper has inadvertently posted illegal and untrue advertisements. It is a characteristic of this judgment that newspapers published advertorial differ in the degree of duty of care according to whether they comply with the “duty to clearly distinguish articles from advertisements”. In this judgment, however, the court did not regard the violation of Article 6 (3)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as a direct 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This is because the victim’s damage was not caused simply because he mistook the advertisement for an article. Rather, the damage is caused by illegal or false content contained in the advertisement. 이 판결은 기사형 광고의 본질이 기사인지, 아니면 광고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으며, 기사형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 이 기사형 광고가 광고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기사와 분명하게 구분하여 편집함으로써 독자의 오인을 예방해야 하며, 기사로 오인할 수 있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을 지양해야 할 광고매체의 주의의무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다. 특히, 최근 광고의 기법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기사의 신뢰가 광고로 전이되어 독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신문법 제6조 제3항에서 정하는 “기사와 광고의 명백한 구분편집의무”가 강조되고 있으며, 더불어 독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법하고 진실하지 않은 광고를 부주의하게 게재한 언론매체에게 과실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이 판결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사형 광고를 게재한 언론매체가 기사와 광고의 구분편집의무를 지켰는지에 따라서 과실을 판단하는 직무상 주의의무의 정도를 달리하였다는 점과 광고내용을 예외적으로 조사하고 확인할 의무를 신문사 등이 부담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판결에서 법원은 신문법 제6조 제3항의 위반만을 바로 손해배상책임의 근거로 삼지 않았다. 피해자인 원고의 손해가 단순히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여 발생한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배상의 책임이 있는 손해는 위법하거나 허위의 광고를 피해자가 기사로 오인하였고, 따라서 그 내용이 일반 보도기사 작성의 경우와 같은 직무상 주의의무로 작성되었다고 신뢰하였기 때문에, 그 내용을 사실로 믿어 발생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신문법 제6조 제3항이 정하고 있는 구분편집의무 위반으로 피해자가 광고를 기사로 오인하였고, 더불어 그 광고의 내용이 위법하거나 허위인지를 언론매체가 확인하거나 조사하지 않고 게시하여 자신의 주의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 내용을 진실로 믿었기 때문에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Do Diversionary Incentives Affect Korea-Japan Historical Disputes?

        황원재,Misa Nishikawa 한국학술연구원 2017 Korea Observer Vol.48 No.4

        Do diversionary incentives affect Korea-Japan historical disputes? We argue that Japanese political leaders use diversionary foreign policy, when public approval ratings are low and the government at the legislative level is weak. However, when the government is strong, approval ratings do not necessarily drive such diversionary behavior. We support our claims by testing the hypothesis using the data on Korea-Japan historical disputes and hostile actions between 1998 and 2016. The findings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onary use of foreign policy in general and the effects of Japanese domestic politics on the historical disputes, specifically.

      • KCI등재

        약관 및 계약의 중요사항에 대한 설명의무위반과 그 효과 - 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7다229536 판결을 중심으로 -

        황원재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43 No.3

        When entering into an insurance contract, the insurance company must clearly explain to the policyholder the important details of the contract so that the policyholder can understand it. The policyholder may cancel the insurance contract if the insurance company does not comply with the accounting duties, and therefore a mistake has occurred in the policyholder. In addition, the return of unjust profits gained by the infringer and its scope was a problem, and tort was also addressed in this ruling. The plaintiffs wanted to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if the insurer's malice was recognized, the defendant would have to return legal interest in the total amount of premium payments and reimburse for any extra damages. But our court saw the insurer's malice as unproven. Nevertheless, for the specific validity of the case,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the noneconomic damages. But rather than simply admitting noneconomic damages, it is reasonable to admit malice to the beneficiaries who actively caused the mistake of the policyholder. Another option is to use our court position that the return of a bona fide beneficiary includes the benefits that would normally be gained. And the court should have tried to identify the scope of the damages more accurately. Thus, the court's claim that the damages cannot be calculated because there is no way to find out the financial status that would have existed in the absence of a breach of explanation duties is not convincing. If not proved, the person responsible for proof must bear the disadvantage on his own. Artificial distribution of the damages can cause more confusion. 대상판결은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자에게 계약의 중요내용을 보험계약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 이러한 설명의무를 보험회사가 준수하지 않아 보험계약자에게 착오가 발생하였고 보험계약자가 원하지 않았을 계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면 보험계약자가 보험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고 판단한 사건이다. 더불어 부당이득의 반환과 그 반환범위도 문제 되었으며, 불법행위책임도 문제 되었다. 원고들은 보험자의 악의가 인정되면 부당이득 반환청구로 문제를 해결할 때 보험료 납입금 총액의 법정이자를 반환받을 수 있고, 별도의 손해에 대해서도 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 법원은 수익자인 보험자의 악의가 증명되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구체적 타당성을 위하여 대법원은 위자료의 증액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위자료의 증액을 인정하기보다 동기의 착오를 적극적으로 유발한 수익자에게 악의를 인정하거나, 선의의 수익자의 반환범위에 사회통념상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었을 이익이 포함된다는 우리 법원의 입장을 활용하거나, 손해배상의 범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려는 노력이 필요했다. 따라서 ‘설명의무 위반이 없었을 경우에 존재하였을 재산상태를 산정할 방법이 없어 손해의 산정이 불가능하다’는 대상판결의 원심법원의 주장은 공허하게 들린다. 증명되지 못하는 것은 증명책임을 지는 자가 스스로 불이익을 감내해야 한다. 인위적인 손해의 분배는 자칫 더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계약자유 원칙과 법적용상의 문제점

        황원재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1

        The contract presupposes a free human being with reasonable judgment and purpose. Artificial intelligence(hereinafter “AI”) is changing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this contract. As the technology of AI advances rapidly, these changes will be faster. To cope with the change, we must first look at the changes in contracting methods that can result from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Specifically, the emergence of AI revises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n addition, the power to make a contract, which was recognized by the principle of contract freedom, is reduced. Finally, the grounds for contract binding are weakened. Also, the rapid change of the digital world and the autonomous and rational judgment of AI will shake the basic premise of the current law. However, if the legal issue is identified in the decision of the user using AI, not the evaluation of the AI technology itself, the legal problem caused by the AI can be solved relatively easily. The decision to use AI makes AI users legally responsible. In spite of these solutions, it is necessary to finally amend the law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I. In this case, principles and exceptions should not be reversed. In addition, only the minimum necessary modifications should be made.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사물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목적적 의사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인간을 전제로 하는 계약의 근본 틀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거세질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야기될 수 있는 거래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 민법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사적자치의 원칙이라는 민법의 기본원칙이 수정되고, 계약자유의 원칙에 따라 인정되던 계약형성력이 축소되어, 계약구속의 중요한 근거가 약화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세상이 내재하고 있는 변화의 신속성과 인공지능의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판단력은 개별법률의 기본전제를 근본부터 흔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인공지능에 관한 법률문제의 해결방안을 인공지능 자체에 대한 기술적 평가가 아닌, 인공지능을 거래나 생활에 개입시킨 이용자의 결정에서 찾는다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법률체계 내로 수용하여 문제를 한결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이용결정을 통해 이용자는 그 계약 자체에 대해서도 최종 결정권자의 지위를 점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지게 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인공지능의 특성을 고려한 법개정이 필요해 보인다. 이때 원칙과 예외가 뒤바뀌어서는 안 될 것이며, 필요 최소한의 수정만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 공급계약에 대한 철회권 - 독일 및 유럽법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

        황원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외법논집 Vol.44 No.1

        Concerning digital content, the “right of withdrawal, etc.” from E-Commerce Act in Korea may be compared with the right to withdraw from the Consumer Rights Directive in EU or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from the Digital Content Directive in EU. This is because the E-Commerce Act in Korea includes the right to withdraw and terminate through the expression “right of withdrawal, etc.”. In particular, the latter right is adventageous to the consumer in the matter of the period of right and the cost burden. This legislative approach, however, is likely to confuse concept. On the other hand, the E-Commerce Act needs a uniform discipline for digital content.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laws according to the type of digital contents can lead to differentiation of legal approach and impair legal stability in the end. In particular, there seems to be a need for uniform discipline regarding the requirement to exclude withdrawal rights in digital content supply contracts. Specifically, the right to withdraw should be excluded if the seal of digital content is damaged or if the user agrees to exclude the withdrawal right in order to use the digital content. Before this, however, notice should be made clear and not misleading about the exclusion of the right to withdraw. Also, if digital content is not provided through tangible media such as streaming,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withdrawal right can be exercised when the consumer is offered the possibility to try the digital content online. Only in this case can the consumer agree to fulfill the contract through trial use, and accept the exclusion of the right to withdraw. Besides, in the case of digital contents, consumers who have excercised the right to withdraw can continue to use the digital contents free of charge without deleting them. Therefore, in addition to consumer protection, contents provider protection needs to be considered. 디지털콘텐츠와 관련하여 우리 전자상거래법상의 “철회권등”은 유럽연합의 소비자권리지침상의 철회권이나 디지털콘텐츠지침상의 계약종료에 관한 권리와 비견될 수 있다. 우리 전자상거래법은 “철회권등”이라는 표현을 통해 일반적인 철회권과 해제권에 가까운 철회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후자의 철회권은 권리의 행사기간이나 비용부담의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유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방식은 개념상 또는 담보책임법과의 관계에서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있어 보인다. 또한, 우리 전자상거래법에도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통일적인 규율이 필요해 보인다. 디지털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법규를 적용하는 것은 법적용의 분화를 가져와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공급계약에서 철회권 배제요건과 관련하여 통일적인 규율이 필요해 보인다. 구체적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철회권의 행사기간이 개시된 후에 디지털콘텐츠의 봉인을 훼손하거나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철회권 배제에 동의하면 철회권이 배제된다고 규정하면서, 이러한 소비자의 행동에 앞서 철회권의 배제 가능성에 대하여 명확하고 오해하지 않도록 안내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디지털콘텐츠가 스트리밍과 같이 유형의 매체를 통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소비자가 해당 디지털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시험해 볼 가능성이 제공된 때부터 철회권 행사기간이 개시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 경우에만 소비자는 시험사용을 통해 계약의 이행에 동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철회권을 배제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디지털콘텐츠의 경우, 사업자는 소비자가 철회권을 행사한 후에 디지털콘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무상으로 계속하여 이용할 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한도에서 소비자의 보호 외에도 사업자의 보호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전국 논 토양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을 위한 DNDC 모형의 국내 적용성 평가

        황원재,김용성,민현기,김정규,조기종,현승훈 한국환경생물학회 2017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5 No.1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agricultural land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limatic change. In this study, the national CO2 emission was estimated for paddy soils, using soil GHG emission model (DNDC) with 1 km2 scale.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n Korea,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field measurement data using a closed chamber. The total national CO2 emission in 2015 was estimated at 5,314 kt CO2-eq, with the emission per unit area ranging from 2.2~10.0 t CO2-eq ha-1. Geographically, the emission of Jeju province was particularly high, and the emission from the southern region was generally high. The result of the model verification analysis with the field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n=16) indicate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field measurement and the model prediction was statistically similar (RMSE=22.2, ME=0.28, and r2=0.53). More field measurements under various climate conditions, and subsequent model verification with extended data sets, are further required.

      • 점탄성 또는 점탄성 감쇠처리된 구조물의 진동 감쇠 해석

        황원재,박진무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 소음 진동 Vol.10 No.1

        We present finite element equations in the Laplace-domain for linear viscoelastic and viscoelstically damped structures governed by a constitutive equation involving factional order derivative opeartors. These equations yield a nonstandard eigenproblem consisted of frequency dependent stiffness matrix. To solve this nonstandard eigenproblem we suggest an eigenvalue iteration procedure in the Laplace-domain. Improved Zenor and GHM material function type constitutive equations in the Laplace-domain are also available for this procedure. From above equations, complex eigenvalues and complex eigenvectors are obtained. Using obtained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time domain analysis is performed by means of mode superposition. Finally, finite element solutions of viscoelastic and viscoeleastically damped sandwich beam are presented as an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