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imple and Rough Screening Method of Phosphorus Deficient Tolerance Rice

        황운하,김대욱,정재혁(Jae-Heok Jeong),정한영,이현석,최경진,이건휘,이인중,오성환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4

        Even though phosphorus (P) is essential element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t is not enough for crop production in soil. To breed more P deficient tolerance rice, screening and selection in rice population is needed. We tried to develop more simple and rough screening method for breeding of P deficient tolerance rice. In P deficient condition, tiller number was dramatically decreased among yield components in rice. Though this result, we confirmed tiller number could be the best marker in screening of P deficient tolerance rice. 480 rice genetic resources were cultivated in rice bed tray filled with P deficient soil for four weeks and each dry weight was measured. Among them, the 55 kinds of genetic resource were selected then cultivated in paddy field with 3 fertilizer conditions. Plant dry weight and tiller number in ripening stage wer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 condition. Plant dry weight and tiller number in ripening stage was highly correlated especially in P deficient condition. Furthermore, the tiller number in ripening stage and plant dry weight in rough screening were shown high degree correlation. Though these results, we might expect measuring of plant dry weight after cultivation in rice bed tray filled with P deficient soil could be a simple and effective screening method in selection of P deficient tolerance rice.

      • KCI등재

        Ripening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Ilmi under Heat Stress Condition

        황운하,정재혁,이현석,최인배,안승현,정한영,윤종택,최경진 한국작물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3 No.2

        Heat stress during the ripening stage reduces the yield and quality of rice. Considering the adverse effects of global warming, it is necessary to breed heat stress tolerant rice cultivars and analyze their stress tolerance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ripening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Ilmi under heat stress condition during the ripening stage. Ripening rate, 1000 brown grain weight, and rice quality of Ilm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heat stress during the ripening stage. Leaf chlorophyll, chlorophyll a/b ratio, and malondialdehyde (MDA) contents of Ilmi leaves were also less changed than those of Ilpum.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Ilmi has heat tolerance characteristics during the ripening stage. Analysis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Ilmi revealed that peroxidase (POX)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lpum, an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ange in chlorophyll a/b ratio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 of flag leaves of Ilmi. These data suggest that the high POX enzyme activity of Ilmi could be considered one of its major heat tolerance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하부 벼 재배 시 재식밀도별 생육 및 수량변화

        황운하,이민지,정재혁,정회정,상완규,장성율,권동원,임우진,박혁진,이지현 한국작물학회 2024 한국작물학회지 Vol.69 No.2

        적 요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벼를 재배하고 생육 및 수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농형 태양광 하부 벼 재배 시 차광에 의해 포기당 이삭수가 감소하였으며 재식밀도가 감소하면서 감소폭은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현미완전립 분석결과 일반재배에서는 재식밀도에 따른큰 차이는 없었으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 재식밀도가 낮아짐에 따라 현미완전립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일반 노지에서 벼 80주 이앙에 비해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 60주 및 80주로 이앙 시 완전미수량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100주 이앙시 추적형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4.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 60주로 벼 이앙 시 줄기단위 길이별 무게가 80주 및 100주 이앙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경향이었다. ABSTRACT Recently,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to promote carbon-neutral policies. Agrivoltaic is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with the potential to aid in meeting carbon-neutral policies. It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electricity while farming takes place, but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reducing crop yield and cultivation safety. We analyzed the rice yield, quality, and stem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transplanting densities under agrivoltaics. Under agrivoltaics, the number of rice panicles was reduced by the shading effect, but the reduction was lower under 60 hills than under 80 and 100 hills. Brown rice perfect ratio was increased under 60 hills under agrivoltaics. Brown rice yiel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60 and 80 hills under agrivoltaics. However, stem dry weight by unit(mg/cm) in each internode showed highest under 60 hills compared to 80 and 100 hills under agrivoltaics. Therefore, 60 hill density was considered appropriate to ensure cultivation safety and yield when cultivated rice under agrivoltaics.

      • 벼 키다리병 경감 재배 기술

        황운하,동용,오성환,김상열,김상민,최경진,오병근,강항원,안진곤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최근 평균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농가의 키다리병 발병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키다리병 육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년도에 감염률이 높았던 주남벼를 자가 채종하여 시험재료로 사용하여 종자소독방법 및 파종량에 따른 키다리병 발병정도 및 키다리병 감염주 이앙 시 육묘일수에 따른 발병정도와 약제처리에 따른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소독방법에 따른 키다리병 발병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제 처리 및 온탕침지법의 온도 및 시간을 달리하였을 시, 프로크로라즈유제(스포탁)31℃에서48시간 처리+파종전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 수화제(사파이어)습분처리와,6 0℃온탕 10분처리+프로크로라즈유제(스포탁 ) 31℃에서 48시간침지처리 및 60℃온탕+냉수10분이상 처리에서 발병률이 상자당 0%로 가장 낮게 나왔다. 육묘상자당 파종량에 따른 발병률은 100kg에 비하여 150kg에서는 74.6~84.7%, 200kg에서는 82.6~93.8%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키다리병 감염주 육묘일수 별 이앙 시 본답 발병율은 15~20일묘에서 가장 낮게 발생되면서 고사주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키다리병이 발생된 육묘상자에 플루디옥소닐 종자처리액상 수화제(사파이어)를 처리시, 육묘일수가 15, 20일 및 15, 25일에 각각 2회 관주처리 후 본답에 이앙을 하는 것이 키다리병 발생률이 적으면서 고사주도 경감되는 경향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재식밀도변화에 따른 주요 벼 품종의 수량구성요소 변화분석

        황운하,이현석,양서영,이충근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1

        We studied the changes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cultivated rice in low- density transplanting. The culm and spikelet length did not change in low density transplanting conditions. As the distance between hills increased by 10 cm,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increased by an average of 4.4 and the number of grains per spikelet increased by 7.5. The cultivar that had more tillers and higher grain number in 80 hills per 3.3 m2 tended to have more tillers and grain in low-density transplanting conditions. However, the increase rate of tillers and grain in low-density transplanting was not significanty different from the tiller and grain number in 80 hills per 3.3 m2 . The total branch number and branch length in spikelets increased in low-density transplanting conditions. The grain number per spikelet was also increased by the in low-density transplanting method.

      • KCI등재

        국내 수집 잡초성벼의 출아특성 분석

        황운하,백정선,안승현,정재혁,정한용,이현석,윤종탁,박태선,이건휘,최경진,Hwang, Woon-Ha,Baek, Jung-Sun,Ahn, Seung-Hyeon,Jeong, Jae-Hyeok,Jeong, Han-Yong,Lee, Hyeon-Seok,Yoon, Jong-Tak,Park, Tae-Sun,Lee, Geon-Hwi,Choi, Kyung-Ji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3

        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잡초성벼 유전자원 5,300점을 수집 지역별로 구분 후 그 중 100점을 시험재료로 선정하여 증식 후 휴면성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생육온도 및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재료 중 적미의 비율은 80%로, 휴면성이 일반품종보다 높은 20% 이상인 유전자원이 60%이였다. 휴면성이 일반품종 수준인 시험재료 40점을 대상으로 생육온도 및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출아율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는 $12^{\circ}C$, $14^{\circ}C$였으며, 파종심도가 1 cm 및 3 cm일 시 평균 $10^{\circ}C$ 초과 적산온도 $1^{\circ}C$ 상승에 따라 출아율은 각각 0.6%, 0.5% 증가하였으나 파종심도 5 cm에서는 적산온도 증가에 따른 출아율 증가가 0.28%로 감소하였다. 휴면성이 일반품종에 비해 높은 유전자원 60점을 수확 후 파종 심도 별로 매몰 후 동계 야외처리를 하고 이듬해 봄 출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적미는 파종심도 1 cm, 3 cm, 5 cm에서 출아율이 55%, 46%, 41%로 다소 높았으나 백미의 경우 각 깊이에서 출아율이 10%, 8%, 5.7%로 감소되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파종 심도 별 최종 출아율을 100%로 가정하여 계산된 상대 출아율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상대 출아율이 80%, 90%, 100%에 도달하기 위한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83-112^{\circ}C$, $100-123^{\circ}C$, $148-160^{\circ}C$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지역인 전주지역에서 잡초성벼의 출아율이 90% 이상을 나타내는 시기는 5월 8일 이후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비선택성 제초제를 시용하여 잡초성벼를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기대된다.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control of weedy rice, we analyzed emergence rate of 100 weedy rice genetic resources collect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growth temperature and soil burial depth. Analyzing of emergence rate using low dormancy weedy rice genetic resources, emergence was increased at 12 and $14^{\circ}C$ of mean temperature condition. When calculating the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above $10^{\circ}C$, emergence rate increased 0.6% and 0.5% in 1 cm and 3 cm of soil depth, respectively according to increase of $1^{\circ}C$. However it reduced as 0.28% in 5 cm of soil depth condition. Analyzing of emergence rate using high dormancy weedy rice, red rice showed 55%, 46%, 41% of emergence rate in 1 cm, 3 cm and 5 cm of soil depth condition, respectively. However those of white rice decreased as 10%, 8% and 5.7% in 1 cm, 3 cm and 5 cm of soil depth condition, respectively. Relative emergence, assuming the final emergence rate as 100%, reached 80%, 90% and 100% when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was $83-112^{\circ}C$, $100-123^{\circ}C$, $148-160^{\circ}C$ respectively.

      • KCI등재

        잡초성벼 경종적 방제 후 남부지역 벼 무논점파재배 파종적기

        황운하,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조승현,민현경,김상국,한은희,최경진 한국작물학회 2018 한국작물학회지 Vol.63 No.4

        Wet hill seeding (WHS) is one of the more famous labor and money saving methods technology used for rice cultivation. In WHS, rice standing percentage and weedy rice occurren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to secure a rice yield. We investigated the optimum seeding date of WHS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South Korea. Weedy rice needed two weeks at 15°C to show over 80% emergence. Germinated rice seed grown at 20°C needed over for 10 days to achieve a shoot length over 3 cm. In field cultivation, the mean temperature for ten days after seeding show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ice standing rate,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and yield index that favorably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With these data, we suggest that the optimum seeding date of WHS that can secure over 98% of yield index of machine transplanting in Southern part of Korea is May. 21~Jun. 5 in Honam and May. 16~Jun. 5 in Yeongnam area. 무논점파재배는 벼 직파재배 중 재배안정성이 가장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잡초성벼의 발생량이 많은 단점이있다. 잡초성벼를 효율적으로 방제하면서 수량을 확보하기위해서는 잡초성벼가 출현되고 나서 경종적 또는 화학적방제를 하고 볍씨를 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지역별로 잡초성벼를 방제하고 무논점파 재배 시 벼 수량확보가 가능한 지역별 적합 파종기를 설정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잡초성벼 유전자원 8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잡초성벼의 출현율이 80%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평균온도14°C 및 15°C 가 각 21일 및 14일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볍씨 발아 후 온도에 따른 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 파종 후 10일간 평균기온이 20°C 정도 되어야 3 cm 내외의 초기생육이 확보되어 조기 활착과 입모안정화에유리하였다. 3. 벼 무논직파 파종시기에 따른 수량 요소간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5월에 무논점파할 경우 볍씨 파종 후 10 일간 평균기온은 입모율, 단위면적당 벼알수 및 이앙대비 수량에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남부지역에서 잡초성벼 방제 후 이앙대비 98%이상의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볍씨 파종 후 10일간 평균기온이 20°C 이상이 되어야 하며, 벼의 안전출수기를고려할 경우 파종적기는 지대에 따라 호남지역은 5월21일~6월 5일, 영남지역은 5월 16일~6월 5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