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uctural SVM을 이용한 백과사전 문서 내 생략 문장성분 복원

        민국,김영태,나동열,수종,김현기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5 지능정보연구 Vol.21 No.2

        Omission of noun phrases for obligatory cases is a common phenomenon in sentences of Korean and Japanese, which is not observed in English. When an argument of a predicate can be filled with a noun phrase co-referential with the title, the argument is more easily omitted in Encyclopedia texts. The omitted noun phrase is called a zero anaphor or zero pronoun. Encyclopedias like Wikipedia are major source for information extraction by intelligent application systems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and question answering systems. However, omission of noun phrases makes the quality of information extraction poor.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developing a system that can restore omitted noun phrases in encyclopedia documents. The problem that our system deals with is almost similar to zero anaphora resolu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 noun phrase existing in the text that can be used for restoration is called an antecedent. An antecedent must be co-referential with the zero anaphor. While the candidates for the antecedent are only noun phrases in the same text in case of zero anaphora resolution, the title is also a candidate in our problem. In our system, the first stage is in charge of detecting the zero anaphor. In the second stage, antecedent search i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candidates. If antecedent search fails, an attempt made, in the third stage, to use the title as the antecedent. The main characteristic of our system is to make use of a structural SVM for finding the antecedent. The noun phrases in the text that appear before the position of zero anaphor comprise the search space. The main technique used in the methods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works is to perform binary classification for all the noun phrases in the search space. The noun phrase classified to be an antecedent with highest confidence is selected as the antecedent. However, we propose in this paper that antecedent search is viewed as the problem of assigning the antecedent indicator labels to a sequence of noun phrases. In other words, sequence labeling is employed in antecedent search in the text. We are the first to suggest this idea. To perform sequence labeling, we suggest to use a structural SVM which receives a sequence of noun phrases as input and returns the sequence of labels as output. An output label takes one of two values: on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noun phrase is the antecedent and the other indicating that it is not. The structural SVM we used is based on the modified Pegasos algorithm which exploits a subgradient descent methodology used for optimization problems. To train and test our system we selected a set of Wikipedia texts and constructed the annotated corpus in which gold-standard answers are provided such as zero anaphors and their possible antecedents. Training examples are prepared using the annotated corpus and used to train the SVMs and test the system. For zero anaphor detection, sentences are parsed by a syntactic analyzer and subject or object cases omitted are identified. Thus performance of our system is dependent on that of the syntactic analyzer, which is a limitation of our system. When an antecedent is not found in the text, our system tries to use the title to restore the zero anaphor. This is based on binary classification using the regular SVM. The experiment showed that our system’s performance is F1 = 68.58%. This means that state-of-the-art system can be developed with our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future work that enables the system to utilize semantic information can lead to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영어와 달리 한국어나 일본어 문장의 경우 용언의 필수격을 채우는 명사구가 생략되는 무형대용어 현상이 빈번하다. 특히 백과사전이나 위키피디아의 문서에서 표제어로 채울 수 있는 격의 경우 그 격이 문장에서 더 쉽게 생략된다. 정보검색, 질의응답 시스템 등 주요 지능형 응용시스템들은 백과사전류의 문서에서 주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사구 생략 현상으로 인해 양질의 정보추출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백과사전 종류 문서에서 생략된 명사구 즉 무형대용어를 복원하는 시스템의 개발을 다루었다. 우리 시스템이 다루는 문제는 자연어처리의 무형대용어 해결 문제와 거의 유사하나, 우리 문제의 경우 문서의 일부가 아닌 표제어도 복원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무형대용어 복원을 위해서는 먼저 무형대용어의 탐지 즉 문서 내에서 명사구 생략이 일어난 곳을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무형대용어의 선행어 탐색 즉 무형대용어의 복원에 사용될 명사구를 문서 내에서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문서 내에서 선행어를 발견하지 못하면 표제어를 이용한 복원을 시도해 본다. 우리 방법의 특징은 복원에 사용된 문장성분을 찾기 위해 Structural SVM을 사용하는 것이다. 문서 내에서 생략이 일어난 위치보다 앞에 나온 명사구들에 대해 Structural SVM에 의한 시퀀스 레이블링(sequence labeling) 작업을 시행하여 복원에 이용 가능한 명사구인 선행어를 찾아내어 이를 이용하여 복원 작업을 수행한다. 우리 시스템의 성능은 F1 = 68.58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의미정보의 이용 없이 달성한 점을 감안하면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공간복지를 위한 도시공원의 디자인 평가에 대한 연구 - 전주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최은영,현혜인,이인우,황수종,김병집,박율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4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공간복지를 위한 도시공원의 디자인 평가에 대한 연구로, 공간복지는 공간의 공간적 개념과 복지라는 시간적 개념을 포함하는 시공간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공간 중에서 장소성을 가지는 공원에, 모든 시민이 지속적인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적 개념을 도입하여,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전주시의 경우, 34% 이상이 노후된 공원으로서, 공원의 공공성 확보가 시급함을 확인했다. 일상생활 속에서 걸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시민의 휴식과 힐링 공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공간복지의 개념, 공간복지와 도시공원, 도시공원에 관한 내용을 분석 요약 후, 전문가를 선정해 델파이조사를 3차에 걸쳐 진행하여 공원디자인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된 공원을 개선하여, 다양한 일상 공간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 시설로 조성하여, 많은 시민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바란다. 그렇지만, 특정 지역의 근린공원으로 한정되고, 조사 방법과 조시 시점이 한정되어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관련 논의가 지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evaluation of urban parks for spatial welfare. Spatial welfare encompasses the spatiotemporal concept, incorporating the spatial dimension of space and the temporal dimension of well-being. In this research, we plan the design of parks with a sense of place by introducing a temporal concept that enables the continuous utilization by all citizens. The summarized process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Jeonju City, it is confirmed that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parks is urgently needed, as over 34% of the parks are aged and require renovation. The study focuses on neighborhood parks located within residential areas, which play a crucial role as easily accessible spaces for daily activities, as well as provide a restful and healing environment for citize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are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concept of spatial welfa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welfare and urban parks, and various aspects related to urban parks. Following this, we have selected experts and are conducting a Delphi survey in three stages to derive evaluation factors for park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improve the aged parks and transform them into public facilities that have organic relationships with various everyday spaces and can be safely utilized. We aim for these parks to become spaces that can be continuously enjoyed by many citizen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udy is limited to specific neighborhood parks in a particular area, and the research methods and observation periods are also limited. Therefore, further discussions and subsequent studies are necessary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se findings in real-life situations. We look forward to future research in this reg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