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열 합성 및 박리에 의한 Mg/Al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종횡비 제어

        황성환,김동현,김예원,정현성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2

        Mg/Al layered double hydroxide with two-dimensional (2D) nanostructures was synthesized by a hydrothermaltechnique. The morphology and aspect ratio of Mg4Al2(OH)143H2O were controlled by the concentration and kinds of thehydrolysis agent, and temperature. The aspect ratio of Mg4Al2(OH)143H2O layered double hydroxides with the 2D hexagonalcrystal structure was tailored from about 12.6 to about 45.7. The intercalated CO32- anions of the synthesized 2DMg4Al2(OH)143H2O layered double hydroxides were exchanged to NO3- anions. The bulk 2D Mg4Al2(OH)143H2O layereddouble hydroxides with the increased space between two layers due to the anion exchange were exfoliated in a formamidesolution. The aspect ratio of the exfoliated 2D Mg4Al2(OH)143H2O layered double hydroxides increased to 570.3. 2 차원 나노 구조를 갖는 Mg / Al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수열합성 기술로 제작하였다. Mg4Al2(OH)143H2O의 형태 및 종횡비는 가수 분해제의 농도와 종류(Urea 및 Hexamethylenetetramine (HMTA)) 및 온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수열합성된 박리 전/후 Mg4Al2(OH)143H2O의 형상 및 결정질 분석을 위해서 SEM, XRD 장비를 사용하였고 AFM 장비를 사용하여 표면상태 및 두께를 분석하였다. Urea 및 HMTA를 통해 합성된 2차원 육방 결정 구조를 갖는 Mg4Al2(OH)143H2O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종횡비는 각각 약 12.6 및 45.7로 확인되었다. 합성된 2차원 Mg4Al2(OH)143H2O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층간에 존재하는 CO32- 이온을 NO3- 이온으로 교환하였다. 음이온 교환으로 인한 두 층 사이의 증가 된 공간을 갖는 벌크 2차원 Mg4Al2(OH)143H2O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포름아미드 용액에서 박리시켰다. 박리 된 2차원 Mg4Al2(OH)143H2O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종횡비는 570.3으로 증가 하였다.

      • KCI등재

        도시유역 개발상태에 따른 불투수면적 분포특성 및토지용도별 평균불투수면적률 산정

        황성환,김영란 대한상하수도학회 2022 상하수도학회지 Vol.36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pervious area in urban watersheds and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impervious area ratio that occu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struction of land surface condition data. The average impervious area ratio by land us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urban impervious area ratio was derived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mpervious area ratio by land use according to the urban watershed conditions. In urban watersheds, the change in impervious area ratio over the past 20 years has continuously increased in watersheds with an impervious area ratio of less than 60%, and decreased in watersheds with a high impervious area ratio of 60% or more. The average impervious area ratio by land use applicable to the land use technique is “Residential area” 84.0%, “Residential and commercial mix” 93.6%,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89.8%, “Industrial land” 84.8%, “Public land” 47.3%, “Transportation facility” 93.3%, “Urban revitalization facility” 61.1%, “Bare land” 17.6%, “Special area” 11.4%, “Forest and open space” 3.5%, “Rivers and lakes” 9.2%.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dequacy of the average impervious area ratio by land 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value of the impervious area ratio using land use techniques and the actual impervious area ratio of the biotope map ranged from -3.0%p to 2.6%p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95%. In addition, when the watershed condition is applied, the difference ranged from -2.3%p to 1.7%p. By applying the average impervious area ratio by land use deriv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ervious area ratio of the target urban watershed could be calculated within a deviation of ±3%p.

      • KCI등재

        단일요인과 다요인 가격결정모형의 실증성과 분석

        황성환,김태혁,변영태,김수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6

        This study compares the empirical fit of the single factor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and the multi-factor models using a broad cross-section and long time series stock portfolios and controlling for size, book to market, and momentum factors.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pre-diagnosis of models and Hansen and Jagannathan(HJ) distance, which is widely used for diagnosis of asset pricing model, is employed to compare the empirical results among three models. JT statistics for model fit indicates that four-factor model(Carhart, Robert, Robert, and Kelly, 1996; Carhart, 1997) shows better fit than CAPM and three-factor model(Fama and French, 1993; Fama and French, 1996). The findings from HJ distance indicate that four-factor model does not yield better fit than CAPM and three-factor model when size and book to market factors are controlled, whereas four-factor model shows better fit than others when momentum factor is controlled. In sum, the findings for this study suggest that four-factor model improves the empirical fit when size, book to market, and momentum factors are controlled. 본 논문은 확장된 횡단면분석과 주식의 장기시계열을 사용하고 규모, 장부가치/시장가치 비율과 모멘텀을 통제하면서 CAPM과 다요인모형인 Fama·French(1993, 1995)의 3요인 모형, Charhart et al.(1996) 및 Carhart(1997)의 4요인 모형의 실증적인 적합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모형의 사전진단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방법을, 본 검정을 위하여 Hansen·Jagannathan(1997)의 최소거리검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모형의 적합성에 대한 검정 통계량인 JT 값의 비교에서 4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CAPM, 3요인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정 모형이 제공하는 가격결정함수가 진정한 가격결정함수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HJ 최소거리검정에서는 규모와 장부가치/시장가치를 통제한 경우 CAPM, 3요인 모형, 4요인 모형 모두 진정한 가격결정함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멘텀을 통제한 경우 4요인 모형이 유일하게 진정한 가격결정함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규모, 장부가치/시장가치 비율, 모멘텀을 통제한 경우에 4요인 모형이 제공하는 가격결정함수가 가장 강건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황성환,손태권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is study explored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related influential factors at personal, class, and home level using TIMSS 2019 data. Moreover,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profile and educational aspir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were identified four profiles, including 'very low-level learning motivation', 'low-level learning motivation, 'average-level learning motivation', and 'high-level learning motivation. Second, student gender, periods of external lessons and tutoring,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eachers' instructional clarity influenced the latent group membership. Third, students in the higher-profile we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to enhances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s with educational supports. 본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9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교실, 가정환경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유형에 따라 미래 교육 포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잠재프로파일은 ‘학습동기 매우미흡집단’, ‘학습동기 미흡집단’, ‘학습동기 보통집단’, ‘학습동기 우수집단’과 같이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수학 학습동기 유형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사교육기간, 수학성취도, 수업의 명료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학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교육 포부 수준을 살펴본 결과,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더 높은 수준의 교육기관을 졸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그라인딩 작업시 손목자세에 따른 진동성 백지증의 유병율 예측

        황성환,이동춘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경전동 그라인더(4”)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성 백지증(VWF)의 유병율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는 8 가지 유형의 손목자세(중립, 척골편향, 요골편향, 굴곡, 신전 및 이들의 조합 등)와 3 가지 유형의 미는힘(20, 50, 70[N])이 고려되었으며, 근골격계질환의 징후가 없는 10 명의 남성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진동가속도 데이터는 2048[㎐]로 샘플링되었으며, KS B ISO 5349-1(2004)에 의거하여 주파수-가중 RMS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유병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손목자세와 미는힘이 진동성 백지증의 유병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 Use of Technology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황성환,Eunhye Flavin,Ji-Eun Lee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학연구 Vol.33 No.3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eachers’ instructional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mmunity has conducted various studies to addres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technolo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dentifying research topics in Korean domestic researc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identifies and compares the research topics studi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domestic literature was collected from the KCI database. We employed a topic modeling technique to analyze overall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Additionally, we compared these findings with our previous studies where we examine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This study reveale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search trend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