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묵자의 「천지(天志)」, 「명귀(明鬼)」 및 「비명(非命)」편 분석을 통한 천인(天人)관계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이 글은 묵자가 기술한 「천지(天志)」, 「명귀(明鬼)」 그리고 「비명(非命)」세 편에 내재된 주안점이나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묵자의 `천(天)`과 `인(人)`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천지」와 「명귀」는 `천`이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묵가 학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진된 것이며, 묵자의 유신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비명」편은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인식 방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묵자의 무신론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글이 보기에, 「천지」편은 통치자나 일반 백성이 어떤 점에 입각해서 통치하며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원리적 성격의 행위 준칙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부응하거나 위배되었을 때 직접 나서서 상을 주거나 응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바로 귀신이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뜻`에 입각하여 현실 사회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에 의해 나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나의 명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을 하는 인간에 대해 하늘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 「비명」편의 주된 논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지」, 「명귀」와 「비명」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며, 유신에서 무신으로의 전회도 아닌 것이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이 하는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명확히 구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천지」, 「명귀」 그리고 「비명」에서 명확히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thesis is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zi`s `Heaven and Man` through the inspection of meaning and emphasis in his three books,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Heaven`s Will and Verification of Ghost are justify Mozi`s theory of theistic stance with the Heaven`s authority. And in case of the `Indeterminism`, there seems to be positive and rational way of awareness and it`s thought to be atheistic stanc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rule of action which is about the personality principle, and it suggest that how the government rule the country, and how the people lead a life. And it is the ghost that give prize or punishment when they did something according to this principle or not. So, men should do their best in actual life to meet the heaven`s will. Because my fate is not decided by heaven`s order but my own act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 main point of `the indeterminism` is about Heaven helps those who do independent and active efforts. In short, `the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are neither contradiction nor conversion form theism to atheism. Mozi is thought to divide clearly about ghost`s works and people`s works, and it is expressed explicitly in his works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 KCI등재

        묵자의 반전 평화에 관한 이론과 실천 재조명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중국 사상가 중 전쟁의 참혹함에 대해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을 제시한 실천가, 또 자신의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이론가는 바로 묵자이다.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반전 평화 이론이 제시된 묵자의 「비공」편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묵자 반전론(反戰論)의 특징을 이론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 대해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첫째 묵자의 반전 평화 이론의 윤리적 기초는 서로 사랑하고 서로 이로움을 나누는 ‘겸애’이다. 둘째, 묵자는 응보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다른 사람의 권익을 해친 것과 같이 전쟁을 일으킨 자도 동일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셋째 묵자는 전쟁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아무런 이익이 되지 못함을 예증하고 있다. 위의 세 가지 측면이 묵자 반전 평화이론의 축을 이룬다. 다음으로 실천적인 측면에서 묵자가 현실에서 약소국을 보호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사례를 살펴보았다. 먼저 ‘지초공송’을 통해 약소국 보호를 위해 그가 보인 반전 평화의 실천적 사례를 되짚어 보고, 다음으로 고대방어 전술의 백미로 일컬어지는 묵자의 방어 전술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 몇 가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묵자가 이론과 실천 간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반전 평화를 염원하며 이론을 정립하고 또 이를 현실에서 실천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묵자의 반전 평화 이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현실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Mozi was a practitioner who suggested the most persuasive theory about the cruelty of war among Chinese thinkers, and was a theorist who applied his theories into reality. In order to d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Mozi’s book,‘Non-aggression’in which he suggested anti-war and peace theory, we tried to review his theor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We examined the theoretical aspects in three different parts. First, the moral basis of Mozi's anti-war peace theory is "Mutual love" in which they love each other and share their mutual benefits. Second, according to Mozi it is clear that those who caused the war as well as those who steal other people's goods should be punish based on the retribution point of view. Third, Mozi demonstrates that war is not profitable from the economic aspects as well. These three aspects are at the core of anti-war peace theory of Mozi. Next, we looked at the case of Mozi’s effort to protect the weak countries in reality. His theory of ‘Anti-war and Peace’ is presented to protect the weaker countries. Finally, we have looked at some of the Mozi’s defensive tactics, which is called the best of all in ancient.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it can be guessed how much he tri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Mozi’s theory of Anti-war and Peace, which has been struggle to establish a peace in reality, still has realistic significance today

      • KCI등재

        『육조단경(六祖壇經)』의 심성론(心性論)에 내재한 자아 존중 사상 연구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육조단경(六祖壇經)』은 인간이란 보편적으로 불성(佛性)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신분, 남녀, 노소 등의 이유로 차별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인간은 자율적 노력에 의해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자기 마음속에 지혜가 있어서 스스로 깨닫기 때문에 자기 밖에서 깨달음을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간은 올곧고 거짓 없는 마음[直心]으로써 자신의 삶에 충실히 임하는 것, 항상 직심에서 어긋나지 않고 직심을 발휘해 나가는 것이 자기의 본래의 성을 보는 방법이고 해탈의 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각자 자신의 마음을 살펴보고, 스스로의 본성을 보아 자기가 타고난 본성은 본래 청정한 것임을 문득 깨닫는 것이 해탈의 유일한 근거라고 강조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 곧 최고의 존엄이라는 사실을 일러주는 것이며, 사실상 『육조단경』이 추구한 최종 귀착점이라고 볼 수 있다. 『육조단경』은 자신의 고유한 가치를 망각한 채 부유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자기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It is emphasized that human beings have universal ‘Buddha Nature’, and that they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for reasons such as status, gender, and age at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In addition, human beings are emphasized that they can realize their values through autonomous efforts. In other words, humans have wisdom in their minds and they do not need to seek enlightenment outside of themselves because they can be realized for themselves. Therefore, human beings should have the right mind, be faithful to their reality, and not always be against the right mind. That is how you see your original ‘Human Nature’ and the way lead to ‘Moksha’. Looking over one’s own mind or nature, realizing that our natural nature is pure, and emphasizing that human beings are the only basis of ‘Moksha’ is to tell them that they are the best dignity. In fact, this is the final point pursued by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In order word,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suggests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o modern people who forgetting one’s own unique values and wandered in vain.

      • KCI등재

        도가 인성론(人性論)의 본질과 교육적 함의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이 글은 도가의 인성론이 지닌 본질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노자는 선진시대 사상가들의 입장과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인간 본성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지닌 성(性)에 대해 선(善)하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악(惡)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노자가 보기에 여기서 말하는 선과 악은 상대적인 개념에 불과하며, 도덕 윤리적 측면에서 내려진 정의들이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지닌 본연의 성(性)은 이러한 시각으로는 온전히 규명될 수 없으며, 선과 악을 초월한 도(道)의 경지에서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그는 영아(嬰兒)에 견주어 인성의 참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자의 사상을 계승한 장자 역시 도로부터 비롯된 인간 본연의 성은 순박하고 자연스러운 속성을 지니며 그것을 통해 외물에 구애됨이 없는 삶을 영위해 나갈 것을 강조하였다. 도가의 인성론에 대한 관점을 토대로 그것에 내재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두 번째 목표이다. 도가의 인성론에 대한 입장은 수양론에도 여실히 반영되었으며, 기존 사상가들이 강조한 것과는 사뭇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도가는 인성론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인간이 추구하는 것들이 진정한 가치를 지닌 것인지를 되돌아보게 하였다. 이러한 노장의 인성론은 맹목적인 삶, 감각적 쾌락을 일삼는 청소년들에게도 깊은 성찰을 불러오는 계기를 시사하고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is primarily aimed at examin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Taoist’s Theory of Human Nature. Laozi wanted to define the human nature problem from an angle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inkers in the Advanced era. In general, it is often claimed that Human Nature is good or evil. In the view of Laozi, good and evil are merely relative concepts and moral ethical definitions. According to him, human nature cannot be fully identified by these perspectives, but is recognizable only in terms of the degree that transcending good and evil. In particular, he wanted to present the true nature of humanity as compared to the infant. Zhuangzi, who succeeded the ideology of the Laozi, also believed that the human nature which derived from the Heaven’ will was considered to have a simple and natural instinct. The second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teaching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Taoist’s Theory of Human Nature. Taoist's position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has been reflected in training and education,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s emphasized by existing thinkers. Through the theory of personality, Taoist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a human being to live as a human being, he must regain his original form and reflect on whether the values sought by man are truly valuable. It is believed that the Human Nature Theory of Laozi and Zhuangzi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deeply on the blind life of today as well.

      • KCI등재

        관중 학파의 정치사상에 내재한 묵가적 요소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묵가는 묵자의 겸애사상을 토대로 백성들의 이로움을 제고하기 위한 독창적인 정치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 이론과 사상을 관중 학파의 『관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관중 학파는 제나라 사람들이 관중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형성된 학파이다. 그들은 개방적이고 개혁적인 학문적 성향과 태도를 견지하며 다른 학파의 견해를 폭넓게 수용하고 융합하여 특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였다. 묵가와 관중 학파 모두 국가 성립 이전에는 혼란의 상태였음을 전제한 뒤, 국가는 상호 투쟁으로 인한 혼란을 종식하고 약자들의 이로움을 보장하기 위해 수립된 제도라고 주장한다. 또한 관중 학파는 묵가 학파와 다름없이 하늘[天]을 정치 입론의 중요한 존재로 부각하고 있다. 즉 하늘을 통치 행위의 최고 기준으로 삼아 하늘을 따르면 복을 받을 수 있으나 하늘을 거역하면 벌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관중 학파가 말하는 하늘을 따르는 행위란 다름 아닌 겸애교리(兼愛交利)를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묵가와 관중 학파는 국가의 통치 행위는 유능하고 도덕적인 현자(賢者)를 존숭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함을 강변하였으며, 백성들의 생업 보장을 위해 방어 위주의 병법(兵法)을 제시하고 있다. 요컨대『관자』의 경세 이론은 백성들의 이로움을 극대화하기 위한 묵가의 정치 이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시킨 것이다. 묵가 학파는 묵자의 주장을 토대로 고유한 정치 이론을 정립하였으나 관중 학파는 선진시대 여러 학파의 입장을 다양한 측면에서 수용함으로써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선진시대 제자백가들 사이의 상호관계에 관한 고찰은 각기 학파들이 지닌 본유의 특성은 물론이고 당시 사회적 영향과 학계의 사상 교류와 소통을 밝히는 데도 의의가 있다. Mo-Jia(墨家) presented an original political theory to enhance the benefits of the people based on the idea of Mo-zi(墨子)’s humility thought, and the main theory and ideas can also be found in 『Guan-Zi(管子)』 of the school of Guan-Zhong(管仲). The School of Guan-Zhong(管仲) is formed by the people of the Qi Dynasty who inherited and developed the ideas of the Guan-Zhong(管仲). They maintained an open and reformative academic orientation and attitude, and established their own governing theory by broadly accepting and converging the views of other schools. First of all, both the schools of Mo-Jia(墨家) and Guan-Zhong(管仲) presuppose that it was a confusio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And the state was recognized to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benefit of the weak by ending the internecine feud situation. Second, the School of Guan-Zhong(管仲), like the School of Mo-Jia(墨家), emphasizes Heaven[天] as an important figure in political discourse. In other words, they used the Heaven[天] as the highest standard of governance, and if you follow the it, you can be blessed, but if you disobey, you will be punished. The act of following the Heaven[天] emphasized by the School of Guan-Zhong(管仲) is to realize the core argument of Mo-Jia (墨家), humility. Third, they have called for the governance of the state to begin with the respect of the sage, and emphasizes defense-oriented military methods to ensure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In short, 『Guan-Zi(管子)』’s governing theory was developed by positively accepting the political theory of Mo-Jia(墨家) to maximize the benefits of the people. Of course while the school of Mo-Jia(墨家) established a political theory based on the unique arguments of Mo-zi(墨子),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school of Guan-Zhong(管仲), such as accepting the positions and perspectives of many schools of advanced era. This examination of the interred relationship between the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of the advanced era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social impacts of each schools, as well as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academic thoughts at the time.

      • 묵자의 비판적 사고가 초등학생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 주는 시사점(Ⅰ)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비판적 사고란 기존의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 등에 대하여 무의식적,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보편타당한 근거를 토대로 최선의 판단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이다. 묵자는 개인과 공동체의 진보와 성장을 위하여 기존의 현상과 제도, 가치관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삼표(三表)`와 같이 분명하고 일관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비판적 사유의 전형을 보여 주었다. 또한 묵자는 현상이나 제도, 가치관에 대해 항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태도와 성향, 즉 정의적 요소를 중시하며 실천하였다.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은 오늘날 초등학교 비판적 사고력 증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특히 암기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사고 능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에게 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다양한 형식으로 제시하면서 비판적 사고가 지녀야 할 기본적인 조건과 방법을 일러주는 등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교육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e Critical Thinking is an analytic and comprehensive thought that suggest the best solution or judgement with justifying grounds of a certain concept, evidence, criteria, method and context. It is not just blindly accept an existing system or values. The Mozi was a theorist who enlightened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achieve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development, he applied critical thinking to reconstruct the existing order, criteria and institution. And using the Three Standards(ground, basis, pragmatics), h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y introduced Mozi`s claim about critical thinking and attitude to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 harmoniously at this study. There are full of suggestions in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days. The students are lack of self-regulating, active thinking ability because of the present rote education, so they say that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lacking critical thought ability it`s time to develop multilateral and three-dimensional teaching methods using the Mozi`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KCI등재

        묵자 절용(節用) 이론이 지구촌 빈곤 문제 해결에 주는 시사점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묵자의 「절용」, 「절장」, 「비악」편 등에 내재한 묵자의 절용 이론이 오늘날 지구촌의 빈곤 문제 해결에 어떤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물질적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지만, 이와 더불어 나타난 국가 간 불평등은 지구촌의 질서와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가 되었다. 빈곤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상대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사회 과학적 분석과 정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것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이 글은 묵자가 제시한 절용 이론 중의 의의를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로 인륜이 구현된 사회를 완성하고자 하는 윤리적인 측면이다. 묵자는 당시 부유층을 대상으로 실용적이고 윤리적인 소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절대 빈곤에 시달리는 백성의 삶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가질 것을 주장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불평등에서 오는 위화감을 없애고, 사회 질서 유지와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풍요로운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물질적인 측면이다. 묵자가 보기에 인간이란 자신의 힘에 의지하여 삶을 영위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부유층은 백성이 자신들의 생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동을 보장하고, 백성이 감내하고 있는 빈곤 문제를 그들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 간 이로움을 공유할 것을 주장하였다. 묵자의 절용 이론은 사치와 낭비 그리고 향락에 젖어 타국의 궁핍함에 대해 무관심한 오늘날 인류에게 바람직한 소비 태도와 빈곤 문제에 대한 도덕적 실천을 강조하고, 또한 빈곤국을 위해 부유국이 지녀야 할 책무 의식과 원조 방안에 관해서도 좋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Mozi’s Economical(節用) theory inherent in his writings about「Frugal Funerals(節葬)」,「Useless of Music(非樂)」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poverty problem in the world today. Since World War Ⅱ, mankind has enjoyed material affluen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with this, inequality between countri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threatening global order and peace. poverty is a relative and diverse meaning according to time and space. however, the ongoing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definition of thi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This articl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Mozi’s Economical(節用) theory by dividing it into two main aspects. The first is the ethical aspect of making a society in which humanity is embodied. Mozi presented th importance of practical and ethical consumption to the wealthy at the time and insisted on the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the lives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absolute poverty.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eliminate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caused by social inequality and to maintain social order and stability. The second is the material aspect of building a rich society. In the eyes of Mozi, humans are beings who lead their lives by relying on their own power. Therefore, the wealthy emphasized to ensure labor for the people to maintain their survival and to share the benefits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by allowing them to solve their own poverty problems on their own. Mozi’s Economical(節用) theory emphasizes the moral practice of poverty and consumption desirable for mankind today, who is different to the poverty of other countries due to luxury, waste, and pleasure, and also provides good implications for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id that rich countries should have for poor countries. Mozi pursued a society where humanity was embodied and materially rich, and a community where everyone shared each other’s benefits.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ideal of the global village that our humanity should pursu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