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오염토양부지 정보관리체계 구축방안: 2. 미래지향적 체계구조

        황상일,김훈미,이양희,Hwang, Sang-Il,Kim, Hun-Mi,Lee, Yang-He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6

        2편의 연계논문중 첫 번째 논문(황상일외, 2006)에서는 국내.외 정보관리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인 본 논문은 국내 적용 가능한 정보체계 구축(안)을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정보관리시스템의 필수구성요소로 정보수집입력체계, DB시스템, 정보공개체계 등으로 정하였다. 미래지향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1) 토양환경보전법에 정보관리 및 정보공개에 대한 선언적 조항 추가, 2) 정화관련자료의 세분화 및 자료 작성에 대한 세부 규정 정립, 3) 정보관리주체의 일원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whole objective of two papers in series w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for soil-contaminated sites. In the previous first paper (Hwang et al., 2006),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our country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as investigated and four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work (the second paper), the future-orient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 of soil contamination site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 KCI등재

        후빙기 후기의 「 가와지 」 곡의 환경변화

        황상일,조화룡,윤순옥 한국지형학회 1994 한국지형학회지 Vol.1 No.1

        一山地城 「가와지」곡을 대상으로 沖積層 層相構造, 규조 및 화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後氷期 後期에 있어서 海水準외 微變動과 관련된 이 계곡의 환경변화를 검토하였다. 後氷期 海進은 약 6,000 B. P.경에 「가와지」곡에 도달했으며, 해진의 極相期는 대략 5,000년 B. P.전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5,000-3,000년 B. P.까지 海面은 같은 높이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어, 內灣에는 土炭이 형성되고, 오리나무屬의 삼림이 무성하였다. 3,200-2,400년 B. P.까지 일시적 해면저하 현상이 있어 분해된 토탄지가 형성되었으며 쑥, 벼과, 포자식물들이 무성하였다. 그 뒤 소규모의 海進期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漢江의 주기적인 범람에 의하여 범람 퇴적물이 1m 이상 퇴적되었다. The study area is a small valley named 「Gawaji」, which located on the right bank of the Han-River. The analytic methods, such as alluvium stratigraphy, diatom, and pollen, are employed for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ostglacial transgression was reached to the Gawaji valley at about 6,000years before present (B.P.). It is inferred that the climax of the transgression occurred about 5,000 years B.P.. From this time to 3,200 years B.P., the sea level was stabilized and peat layers and Alnus forests were formed in the bay mouth.

      • 토양의 이동에 대한 합리적 관리제도 마련 연구

        황상일,윤성지,정영철 한국환경연구원 2015 수시연구보고서 Vol.2015 No.-

        This is a policy-focused study of the management system on soil moving. In this report, we analyzed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and suggested three alternatives for management of soil moving in 1) self-regulation, 2) obligatory regulation, 3) phase-in according to types of regulation. 1) Self-regulation We suggested self-regulating system by the volition of owners of receiving site. This system is that they carry out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for receiving site and soil before receiving it and identify that it was uncontaminated. If they performed the investigation process, they may be exempted from obligation for soil remediation when soil contamination in the site identified at a later date. The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must be conducted by authorized investigation institute and prepared guideline for it. We proposed that the acceptable standards for substances in receiving soil are (1) lower than 70 % and 40 % of soil remediation standards for heavy metals/fluoride and the others, respectively, (2) lower than 80 % of soil remediation standards for all substances, (3) values which suitably developed for free use of soil in Korea. 2) Obligatory regulation We also suggested obligatory regulating system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en residual soil is moved from a site to another site, the project operators have to be permitted for soil moving by accredited soil management organization if destination is accurate. If not, they have to be issued a soil moving permit by Soil Management Complex and residual soil is moved to the complex temporarily. This is a measure expanding the function of Soil Management Complex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 made suggestions for regulation targets, acceptable standards and remediation responsibility. The regulation targets for soil moving are the large scale projects subjected to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in case of regulating soil moving by the project scale. If the soil moving is regulated by transport load, the targets are (1) actions applied to notification duty for change of land shape and quality by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2) soils more than 1000 by standard of small scale private corporation for registration in TOCYCLE, (3) soils more than 250 by standard of object of permission in Belgium. Also, we proposed that the acceptable standards for substances in receiving soil are the same as that for self-regulation except one of alternatives. The supplement is that the soils may be accepted to the receiving site if contamination level of the site is lower than the receiving soil through comparison. In this regulation system, when soil contamination in the site identified at a later date, the obligation for soil remediation is preferentially imposed on the accredited soil management organization or the Soil Management Complex. However, an executive must be make a close investigation in the site whether it is certain or not. 3) Phase-in We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self-regulation and obligatory regulation and suggested phase regulation in over several years as a compromise proposal. First of all, the self-regulation system is enforced for a certain period, and then the obligatory regulation system is imposed when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prepar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포해안충적평야의 Holocene 퇴적환경변화

        황상일,조화룡 한국지형학회 1995 한국지형학회지 Vol.2 No.1

        사포 충적평야는 동해로 유입하는 소하천인 여남천 하류에 형성된 濕地性 충적저지이다. Boring주상도 단면에 대한 堆積相分析과 규조분석을 통하여 이 지역의 完新世 중기 이후의 지형발달을 고찰했다. 1. 동해안의 일반적 경향과 달리 사포충적저지에는 8m 이상의 유기질 Silt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것은 여남천의 퇴적물 공급능력이 낮기 때문에 溺谷이 해진 시에 효과적으로 埋積되지 못했기 때문에 결과된 것으로 해석된다. 2. 규조군집의 생태환경의 변화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은 후빙기 해진으로 익곡되어 약 6,000년 B.P까지는 內灣의 환경을 이루었고, 그 뒤에 만구에 Beach ridge가 형성되면서 석호환경이 되었으며, 나중에는 담수성습지로 바뀌었다. 3. 이 지역의 완신세 중기 이후 규조생태환경의 변화과정이 蔚山지역의 그것과 잘 대비되었으며, 이 변화과정으로 미루어 보아 6,000년 B.P. 전후의 3,200년 B.P. 전후에 상대적인 微海進의 경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해양유류유출사고 방제종료기준 설정방안

        황상일,신용승 한국환경연구원 2008 수시연구보고서 Vol.2008 No.-

        본 연구의 주제는 해양유류유출사고 시 방제종료기준을 어떠한 방법으로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특히 방제종료기준 설정방법론(절차 포함)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생태계에 대한 중장기적인 영향을 기초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제종료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론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진외국(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방제종료기준 설정 절차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있고, 주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정성적인 방제종료기준을 설정하고 있었다. 2.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외국과 다르게 연안 이용빈도가 매우 높아 방제종료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사회경제적 대립이 첨예화될 수 있어, 어떠한 유형의 방제종료기준을 설정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는 절차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대안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성을 고려한 방제종료관련 의사결정체계로써 방제종료기준 설정단계와 방제종료 판단단계 등 이원화된 체계가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방제종료기준 설정단계에서는 사고지역 해안 관련 지자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방제종료 판단단계에서는 방제대책본부가 중심이 되는 체계가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방제종료기준을 초기방제종료기준과 생태복원판단기준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4. 생태복원판단기준의 경우 아직까지 국내에 적용된 바 없어, 여러 방법 중 생태위해성 평가방법론을 이용하여 가상조건하에서의 생태복원판단기준 설정방법론을 제시하였고 그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향후 정부차원에서 수립 · 시행할 필요가 있는 정책은 1) 방제종료기준 관련 제도 및 지침 수립, 2) 방제종료기준 관련 상세매뉴얼 작성, 3) 해안평가팀 제도 도입, 4) 방제기술지원단 구성 및 기능의 확대, 5) 해안평가팀 및 방제작업관련자를 대상으로 한 상시적인 교육시스템 도입, 6) 초기방제종료 후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7) 생태복원판단기준 설정방법론 개발 및 운용 등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how treatment endpoints can be established for shorelines affected by oil spill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decision-making framework within which endpoints could be established and to propose a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endpoints; taking into account the long-term effects on the ecosystem. To do so, we analyzed the oil spill response system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ocusing on the decision making frameworks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we proposed a methodology on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order to establish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ffected ecosystem has recovered. Our main findings in this work are as follows: 1) Qualitative endpoints have been generally sele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urthermore, they have implemented efficient decision making systems to select endpoints. 2) Decision making systems for treatment endpoints need to be split into two sequential steps, i.e., the first step is to select the endpoints and 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if the endpoints are met. Local or regional governments play a key role in selecting the endpoints for the shorelines affected by oil, while the response command headquarters under the Korean Coast Guard determines if the endpoints have been met. 3) Treatment endpoints need to be divided into two types, i.e., initial and ecosystem recovery related endpoints. 4) Establishing a shoreline (cleanup) assessment team (SCAT) is required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reatment endpoints. Moreover, the existing technical advisory board needs to be strengthened. 5) The methodology to establish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ffected ecosystem has completely recovered was developed using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d needs to be revised further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ecosystems recovering from existing and future oil spill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