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긴축의 시대, 지방의 새로운 복지전략

        황보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추계학술대회 Vol.2023 No.0

        이 글의 목적은 최근 한국 지방복지와 관련된 담론 지평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복지의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선 담론 지평을 고찰한 결과 최근 한국 지방복지 현안 담론은 지역내 거버넌스 담론과 정부간 거버넌스 담론, 그리고 지방정부 자율성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담론들은 공통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의 대리자인 정부 행위자에 치중되어 있고 궁극적 주인인 시민에 대한 언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정책의 궁극적 지향성인 인간의 자유에 대한 언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정책 정당성의 핵심인 시민의 자율적 지배과 인간 자율성 존중에 대하여 최근의 담론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성장의 정체기간중 지방복지의 축소에 대앙할 저항 담론의 부족을 의미이기도 하다. 한편, 지방복지 축소에 대한 저항담론 또는 새로운 전략으로서의 잠재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민과 민주주의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존 듀이의 이론과 사회적 자유에 대한 악셀 호네트의 이론을 살펴본 결과, 부문화되고 정형화된 욕구의 수동적 담지자로서의 지방복지 ‘소비자’에서 벗어나, ‘건강한 나르시스트’이자 ‘성찰적 비평가’로서의 시민에 대한 인식을 사회적으로 공유하고 지방복지 축소에 저항하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한나 아렌트의 이론은 잠재력이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민주주의 주체로서의 시민의 습관, 충동, 지성에 대한 존 듀이의 이론은 시민의 조직화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시민들간의 상호보완적 상호완성적 관계에 대한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기 실현으로서의 사회적 자유 개념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협동 모델. 즉 실험주의와 의사소통에 기반한 사회적 협력 모델에 관한 호네트의 이론은, 지방복지 거버넌스의 주체와 형식에 관한 준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학교규범 비준수가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보람,남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eacher relationship as protectiv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norm nonobservance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rst and second grades in regular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s a result, only the factor of teacher support produc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ly, teacher relationship turned out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norm nonobservance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In other words, school norm nonobservance exerted a different influence on school dropout in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 support. The teens who have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were at a lower risk of school dropout though they didn't abide by school norm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규범 비준수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사관계가 보호요인으로써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일반 및 특성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학교규범을 준수하지 않는 것이 이들의 학업중단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인들 중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교사관계는 학업중단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규범 비준수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관계 요인만이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규범 비준수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사관계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경도인지장애 및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의 신경정신증상

        황보람,김현,이강준,HwangBo, Ram,Kim, Hyun,Lee, Kang J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와 알쯔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s type, 이하 AD)의 신경정신증상 빈도와 점수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한 뒤, 인지기능과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MCI 또는 AD를 진단받은 163명의 환자들을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K-NPI를 이용하여 MCI 환자 55명, 경도의 AD 환자 56명, 중등도 이상의 AD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증상을 조사하였고, 세 군간의 K-NPI의 부척도별 빈도와 composite score를 비교하였다. 결 과 : MCI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불쾌감, 수면/야간행동, 불안, 과민/불안정 순이었다. 경도 AD군에서의 증상은 초조/공격, 우울/불쾌감, 불안, 무감동/무관심, 수면/야간행동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AD 군에서는 무감동/무관심, 우울/불쾌감, 초조/공격, 망상 순이었다. 이 중 망상, 환각, 초조/공격, 무감동/무관심, 이상행동증상,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빈도는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NPI 점수는 MMSE-KC 점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GDS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 신경정신증상은 MCI, AD에서 흔히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MCI와 경도의 AD에서 이들 증상들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정신증은 중등도 이상 AD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났고, 이로 인해 더욱 빠른 인지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MCI와 AD의 각 진행 단계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omposite score of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A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and cognitive function. Methods : A total of 163 patients diagnosed with MCI or A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55 MCI patients, 56 dementia patients with mild stage, and 52 dementia patients with moderate, severe stage). We examined neuro-psychiatric symptoms by K-NPI and compared the prevalence and composite score of each subdomain in K-NPI among three groups. Results : The most common symptoms in the MCI group were depression/dysphoria, sleep/night-time behavior, anxiety, and irritability/lability. In mild AD group, the most frequent disturbance was agitation/aggression, depression/dysphoria, anxiety, apathy/indifference, and sleep/night-time behavior. In moderate to severe AD group, the most frequent disturbance was apathy/indifference, depression/dysphoria, agitation/aggression, and delusion. The frequencies of delusion, hallucination, agitation/aggression, apathy/indifference, aberrant motor behavior, appetite/eating chan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otal NPI sco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MSE-KC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DS. Conclusions : Neuropsychiatric symptoms are common features of MCI and AD. These symptoms observed in MCI are similar to those of mild AD. Psychosis is most common in moderate to severe AD, leading to a faster rate of cognitive declin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MCI and three stages of dementia is needed.

      • KCI등재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공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건강과 일터영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황보람,조향숙,오설미,김정자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pathy of care service(Elderly, Disabled, Mother & Newborn, Patient, Cancer Patient) workers and health and workplace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1,051 care service workers in Busan were surveyed and among them, 861 participant answered and finally without 49 insufficient answers, 814 answers got chosen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health and work place spirituality, the higher the level of empathy of care service workers. Second, work place spirituality has more influence on the empathy of care service workers than physical health. Finally,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mpathy by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 environment risk of the care service workers.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empathy of care service work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and workplace spirituality of care service workers.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공감수준이 건강 및 일터영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돌봄서비스(노인, 장애인, 산모신생아, 환자, 암환자) 노동자에게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1,051부 배부, 863부 회수(회수율 82.1%)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9개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81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건강수준과 일터영성이 높을수록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공감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건강에 비해 일터영성이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공감에 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돌봄의 노동환경의 특성, 근로환경 위험도의 특성은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공감을 높이기 위해서 돌봄서비스 노동자의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일터영성의 고양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거절 경험 이후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여대생의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미치는 영향

        황보람,이승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curity priming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process of social rejection leading to the desire to reconnect. A sample of 9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8 to 25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analysis used a 2 (security priming writing/control) × 2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igh/low) ANOVA test. Before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tested by an online survey that categorized them as the low or hi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social rejection procedure and security priming writing task were used to manipulate social rejection and felt-security, respectively. The desire to reconnect was measured by a scored task in which the subjects selected their extents of preference for future collaborative tasks. The results foun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security priming writing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curity priming and the exten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desire to reconn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aper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security priming for establishing new social ties after social rejection. 본 연구는 사회적 거절 경험이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거절로 인한 고통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18-25세 여대생 9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애착 안정성 점화 유/무) × 2(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높음/낮음) 피험자 간 설계로, 실험 전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실험 참여자 모두에게 사회적 거절 유발 절차를 실시하였고, 이후 애착 안정성 점화 글쓰기 과제를 통해 애착 안정감을 조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추후 협동과제에 대한 참여 선호도로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을 측정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에 대한 애착 안정성 점화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애착 안정성 점화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애착 안정성 점화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은 통제 글쓰기를 수행한 집단에 비해 새로운 타인과의 연결성 회복 의향을 더 많이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요 발견의 시사점과 사회적 거절을 경험한 개인들이 새로운 유대관계를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혐오 공간 생성을 위한 다중과 공생의 지역복지실천이론에 관한 시론적 연구

        황보람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spatial social work theory that helps to alleviate the hate against various groups of social minority. Most existing social work theories have failed to respond to multi-dimensional and multi-level hate phenomena which continue to occur since the early 2000s in South Korea toward social minority groups, including women, the handicapped, immigrants, asylum-seekers, people of various gender identities and sexual orientations. This failure is due to the fixed and binary approaches toward hate victims by focusing only o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or one dimension of their identities. The study assumes that hate against social minority groups is generated by the ideology of homogeneity, naturalness, purity and that non-hate social work model should be built based on the theories of which presumptions are the multitude and conviviality. The study provides the spatial social work practice theory of the multitude and conviviality and its action strategies. The theory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ultitude developed by Negri and Hardt, the concept of the conviviality developed by Gilroy, and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space developed by Heidegger, Merleau-Ponty, Maffesoli, and theorists of topology and actor-network theory. The theory can help to create the non-hate network-spaces in which every citizens never stop becoming the multitude and producing the process of the convivial common. Action strategies include meeting and empathy between the multitudes, capabilities of sensitive understanding and judgment toward actor-networks, open and flexible association and self-transformation and fluid and equal power implementation, no-barrier practice of various scales, the usage of various non-human actors. The theory can also provide in the age of digital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hint at the importance of the usage of various types of non-human mediators, including texts and technological artifacts. 본 연구는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혐오에 대하여 지역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복지실천을 포함한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이론은 대부분 혐오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 개인의 속성에 초점을 기울임으로써, 혐오의 발생과 작동 메커니즘을 간과하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대부분의 지역복지실천 담론들은 관리주의, 즉 포섭과 배제의 이중성을 유지함으로써 또 다른 혐오를 야기한다. 이러한 한계들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이론은 아직까지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혐오의 개념과 유형 및 실태를 살펴본 후, 혐오의 발생과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탈마르크스주의 계열의 다중 개념을 고찰한다. 그리고 탈식민지주의 계열의 공생 개념과 이를 공간론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탈구조주의 계열의 공간 개념을 고찰한다. 다중 개념은 동질성, 순수성, 본원성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특이성 간에 소통과 협력을 통하여 삶의 공통되기 과정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공생 개념은 차이가 소통의 단절을 낳지 않고 위계화되지 않는, 특이성 간의 역동적 상호관계의 상태를 가리킨다. 위상학 및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한 공생 또는 공생 공간의 다섯 가지 구성요건 및 실천전략은 접촉과 공감, 유무형의 제도에 대한 민감한 이해력과 판단력, 열린 유대와 유연한 자기변형 및 유동적이며 동등한 권력행사, 스케일에 국한되지 않는 유동적이고 열린 실천, 텍스트, 기술적 인공물, 체화된 숙련(지식), 화폐 등의 동원과 활용이다. 다중과 공생의 지역복지실천이론은 전문가 주도의 처방적 경직적 실천과 달리, 다중 주도적이고 텍스트, 기술적 인공물, 체화된 숙련, 화폐 등의 유연하고 개방적 활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