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제도, 사업과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 구성요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홍태의 ( Hong Taeeui ),이현성 ( Lee Hyungseu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Background and Purpose) Our country, which has achieved a rapid developmen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is believed to have many social problems of its own to overcome. As the country made technology-centered advance, not man-centered advance which should have led to n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industrial development, our people had to seek development going through many inconveniences in community life. However, change of society and values at last made people not want such things any more and diverse alternatives needed accordingly. To meet them diverse policies and schemes were established, while professional policy, institution and project for social problem solving came into being.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esent the relationship available for public design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social problem solutions attempted in our country. (Method) Consider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public design made it clear that public design is not a concept of universal beauty but it means procedural design in a problem solving area. The current of the times has embossed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and the ripening civic society has drawn citizens’ attention to design, making the role of public design important. Through contents analysis, particular subjects or the contents repeatedly described or mentioned were drawn into keywords. These keywords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role of public design through contextu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 solutions and public design. This study first, through contents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on public design, drew keywords repeatedly mentioned in public design to categorize.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component of public design was sorted into five kinds via contextual analysis which can integrate diverse key words into the same meaning. Second, three schemes of policy, ordinance and project which directly refer to social problem solving at home were analyzed with the index of relationship to public design via contents analysis and contextu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ed the relationship of elements public design drawn via contents and contextual analysis to specific elements in social problem solutions. In social problem solving, public design should be grafted from the perspective of planning. (Conclusions) Public design has nothing to do with a traditional concept of design, an aesthetic element to support industries in the Industrial Age. Instead, this field embraces diversity and has procedural propensity. Public design seeks to solve social problem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each problem. Public design embraces diversity and these diverse items need to be combined with public design in a pre-planned way that encompasses each of spheres. This study has an aim to propose relationship usable for public design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social problem solutions attempted in our country.

      • KCI등재

        강화 교동도 진오기굿의 구성과 특징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이 글은 강화도의 부속 섬인 교동도에 전승되는 진오기굿의 구성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교동도에는 독자적인 구성을 가진 진오기굿이 전승되고 있어 관심을 가질 만하다. 교동도 진오기굿은 사자와 함께 망자가 들어오고, 망자가 여러 죽음의 정황을 상세하게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의 굿과 다르다. 임종 시의 모습, 입관 하관시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이것이 마을 주민들에게 인정받음으로써야 굿이 완성된다. 또한 교동 진오기굿에는 서사무가로 연행되는 〈바리공주〉가 없다. 김포 강화 등지에 바리공주가 연행되고 있음에서 이 부분은 교동굿의 독특함이라 할 만하다. 아울러 장단의 짜임이나 굿상차림, 무복의 활용도 독자성이 있고, 자리전과 시왕시루를 통해 죽음 이후의 결과를 알아보는 것도 독자적이다. 무엇보다도 교동도 진오기굿은 한국의 무당굿이 지역적으로 대단히 다양했음을 보여주는 증좌이다. 앞으로 지역별로 전승되는 독자적인 무속 양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looked into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Jinogi Gut, which has been inherited in Gyodong-do, which is an ancillary island of Ganghwa-do. It is noteworthy because Jinogi Gut, which has a unique composition, has been inherited in Gyodong-do. Jinogi Gut in Gyodong-do is featured with certain scene in which the angel of death enters the field of Gut along with the dead, and the dead explain the situations of various deaths in detail. The Gut is completed when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dying and the appearance of a casket and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are explained to and approved by the villagers. Also there is no “Barigongju” (Princess Bari), which is performed as a narrative shamanistic song in the Jinogi Gut of Gyodong. From the fact that Barigongju is performed in Gimpo and Ganghwa, it becomes a feature of the Gyodong Gut.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the beats or table settings of the Gut and the utilization of a shamanistic harment have unique features. Also it is unique that the result after death is sought through Jarijeon and Siwangsiru. Above all Jinogi Gut of Gyoding-do is proof in showing that the shamanistic Gut of Korea has received great local influence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much more attention to unique shamanistic patterns that have been inherited by region.

      • KCI등재

        서울굿 가망청배거리에서 ‘가망’의 의미 연구

        홍태한(Hong Tea-han)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이글은 서울굿의 한 신격인 가망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사항이 논의되었다. 가망은 근원신의 이름이면서 조상신과 관련되어 있다. 굿판에 불려진 신들을 굿판에 들어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망이다. 서울굿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가망이 존재한다. 호남지방, 평안도, 황해도 지역에도 가망이 있는데 이를 통해 한국 무속이 같은 계통임이 확인된다. 한국의 굿이 초반부에서는 항상 신격을 불러 모시는 의미를 강조하는데 가망은 이러한 불러 모신다는 의미를 강조한다. 서울굿에 등장하는 가망이 전국적인 굿에서 모두 발견된다는 것은 한국굿의 하나의 원리로 가망의 원리를 들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가망의 의미가 밝혀졌고 가망이 한국 굿의 중요한 원리임이 규명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굿의 내적 원리를 도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article is considered about the meaning of Kamang as a god of seoul-gut.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Kamang is a name of original god and related with an ancestor god. It is a Kamang that lets gods, who were summoned to gut place, come into a gut place. There is not only in seoul gut, but also in other areas. For example, Ho-nam province, Pyeong-an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rough this, it makes sure that korean shamanism has the same root. It is the meaning that a divinity is always worshiped and summoned in an opening part of the korean gut. In the respect of Kamang, it is emphasized on the same meaning. Kamang of seoul gut is founded in all guts of the country. It means that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korean gut is a Kamang. On this, the meaning of is founded and it is examined colsely Kamang as the important principle of the korean gut.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seek an internal principle of the korean gut based on discussions like this.

      • KCI등재
      • 민속의 토대 변화와 민속 연구의 방향성 모색 -서울 민속을 중심으로-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22 서울민속학 Vol.- No.9

        이 글은 민속 기반의 변화를 살펴본 후 민속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 글이다. 민속학개론에 수록된 여러 항목들의 설명은 실제 생활과 차이가 크다. 1인 가족이 주류가 된 현실에서, 아직도 일생의례, 가족생활 항목에서는 과거의 대가족 중심의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마을의 위기와 함께 마을 공동체 신화에서 벗어나기, 민속의 본질 또는 원형의 폐기와 새로운 관점 도입, 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서 벗어나기 등을 민속학에서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다. 먼저 마을의 위기를 살폈다. 급속한 인구 감소와 수도권으로 집중은 전통 마을의 붕괴를 가져와 마을이라는 물리적 환경 자체가 존속하지 않게 되었다. 마을이라는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공동체의식이 집결될 수 있는 일상은 존속하지 않고, 마을을 명분으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민속 현상의 기저에 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서 마을을 민속의 주요한 전승체로 보고, 마을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찾는 것이 아주 무의미한 것은 아니겠지만, 민속학과 일상의 괴리감은 더욱 크게 할 기능성이 높다. 원형을 주장하는 무당굿의 관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재가집(신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굿에 대한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민속학개론에 기록된. 또는 한국무속연구에 기록된 굿의 개념이 아니라 일상화된 굿의 개념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론서에 기록된 굿과 양상이 다른 굿이 연행된다면 그것 역시 무속, 민속의 범주에 수용해야 한다. 보편적인 민속의 주체로 사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계층화된 개인, 지역 격차의 차이를 가진 개인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중요해진다. 전통에 대한 인식의 차이까지 바탕으로 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민속의 인식 및 수용 태도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민속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냉정해야 한다. 민속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에는 주목하되 그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 어쩌면 우리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민속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과거가 아닌 현재에 주목하기. 민속 담당층의 다양한 계층 분화, 민속 기반인 마을의 변화와 민속 양상의 변화를 인식하자는 것이다. This article asserts that Korean folklore needs to accept changes in folklore, have an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restore dailiness. Explanations of various items inclu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greatly differ from everyday life. While single-member households are now mainstream, contents of lifetime rituals and family living are still described with focus placed on large families of the past. Thus, this article presents directions for folklore so that it may break away from village crises and village community myths, discard the essence or original form of folklore and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break away from the values of tradition. First, observations were made of village crises. Rapid population decreases and focus placed on metropolitan areas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raditional villages, cau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villages to be pushed out of existence. Even in cases that are within the category of villages, everyday life in which community spirit can be assembled has been discontinued and villages no longer exist upon the foundation of diverse folklore phenomena that can occur upon the pretext of villages. In such conditions, while it is not meaningless to view villages as major agents of folklore transmission and to search for the values that villages posses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will simply expand the gaps that exist between folklore and everyday life. There must also b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shaman rites that assert original form. Therefore, reflections must be made of perspectives on rituals from positions of jaegajibs (believers). This signifies that concepts of routinized rituals must be reflected and not simply concepts of rituals recor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or studies on Korean shamanism. If rituals with aspects that differ from those recorded in introduction texts are to be performed, they must be accepted into the categories of shamanism and folklore. Then, people will not be viewed as subjects of universal folklore but rather, importance will be placed on how stratified individuals with pers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should be view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radition should also be used as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accept active folklore perspectives and acceptance attitudes that are possessed by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s. Views of folklore must become slightly objectiv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folklore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y are not fixed and that they can become at odds with reality. Conclusively, the important thing is to face reality and find the meaning of folklore. The author of this article views this to be dailiness.

      • 마을의 변화와 도시 민속 연구의 방향 전환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21 서울민속학 Vol.- No.8

        이 글은 민속 기반의 변화를 살펴본 후 민속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한 글이다. 민속학개론에 수록된 여러 항목들의 설명은 실제 생활과 차이가 크다. 1인 가족이 주류가 된 현실에서, 아직도 일생의례, 가족생활 항목에서는 과거의 대가족 중심의 내용이 기술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마을의 위기와 함께 마을 공동체 신화에서 벗어나기, 민속의 본질 또는 원형의 폐기와 새로운 관점 도입, 전통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서 벗어나기 등을 민속학에서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한다. 먼저 마을의 위기를 살폈다. 급속한 인구 감소와 수도권으로 집중은 전통 마을의 붕괴를 가져와 마을이라는 물리적 환경 자체가 존속하지 않게 되었다. 마을이라는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공동체의식이 집결될 수 있는 일상은 존속하지 않고, 마을을 명분으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민속 현상의 기저에 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에서 마을을 민속의 주요한 전승체로 보고, 마을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찾는 것이 아주 무의미한 것은 아니겠지만, 민속학과 일상의 괴리감은 더욱 크게 할 가능성이 높다. 원형을 주장하는 무당굿의 관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재가집(신도)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굿에 대한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단순하게 만속학개론에 기록된, 또는 한국무속연구에 기록된 굿의 개념이 아니라 일상환된 굿의 개념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개론서에 기록된 굿과 양상이 다른 굿이 연행된다면 그것 역시 무속, 민속의 범주에 수용해야 한다. 보편적인 민속의 주체로 사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계층화된 개인, 지역 격차의 차이를 가진 개인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중요해진다. 전통에 대힌 인식의 차이까지 바탕으로 해야 한다. 무형문화재 제도가 가지고 있는 적극적인 민속의 인식 및 수용 태도는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민속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냉정해야 한다. 민속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미에는 주목하되 그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 어쩌면 우리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현실을 직시하면서 민속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과거가 아닌 현재에 주목하기, 민속 담당층의 다양한 계층 분화, 민속 기반인 마을의 변화와 만속 양상의 변화를 인식하자는 것이다. This article asserts that Korean folklore needs to accept changes in folklore, have an interest in everyday life, and restore dailiness. Explanations of various items inclu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greatly differ from everyday life. While single-member households are now mainstream, contents of lifetime rituals and family living are still described with focus placed on large families of the past. Thus, this article presents directions for folklore so that it may break away from village crises and village community myths, discard the essence or original form of folklore and introduce new perspectives, and break away from the values of tradition. First, observations were made of village crises. Rapid population decreases and focus placed on metropolitan areas brought about the collapse of traditional villages, cau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villages to be pushed out of existence. Even in cases that are within the category of villages, everyday life in which community spirit can be assembled has been discontinued and villages no longer exist upon the foundation of diverse folklore phenomena that can occur upon the pretext of villages. In such conditions, while it is not meaningless to view villages as major agents of folklore transmission and to search for the values that villages possess,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will simply expand the gaps that exist between folklore and everyday life. There must also b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of shaman rites that assert original form. Therefore, reflections must be made of perspectives on rituals from positions of jaegajibs (believers). This signifies that concepts of routinized rituals must be reflected and not simply concepts of rituals recorded in introductions to folklore or studies on Korean shamanism. If rituals with aspects that differ from those recorded in introduction texts are to be performed, they must be accepted into the categories of shamanism and folklore. Then, people will not be viewed as subjects of universal folklore but rather, importance will be placed on how stratified individuals with personal and regional differences should be view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radition should also be used as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accept active folklore perspectives and acceptance attitudes that are possessed by intangible cultural asset systems. View of folklore must become slightly objectiv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folklore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y are not fixed and that they can become at odds with reality. Conclusively, the important thing is to face reality and find the meaning of folklore. The author of this article views this to be dailiness.

      • KCI등재

        무속 대중화의 방향과 무속 연구의 방향 찾기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3

        이 글은 무속 대중화의 방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무속을 어떻게 연구해야 할 것인가를 살펴본 글이다. 먼저 글쓴이는 무속 대중화를 논하기 전에 ‘무속 대중화’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살폈다. 이미 무속의 대중화가 상당히 이루어져 있음을 고려하면, 무속 대중화를 논하기 위해서는 대중화를 논하는 목적과 방향성이 분명히 정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재가집(신도), 인터넷 홈페이지 활용, 대중 매체의 활용, 무당굿의 무대 공연 양상 등을 중심으로 대중화가 이미 이루어져 있음을 제시했다. 굿판에 오는 재가집의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특정한 사람들만이 찾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찾는 굿판이 되었다. 여기에 인터넷 홈페이지나 대중 매체를 통해 무속이 이미 널리 퍼져있음을 제시했다. 아울러 무당굿이 여러 차례 무대 위에서 공연예술로 올려지면서 무당굿에 대한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무당굿의 대중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속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대중화 연구의 방향을 미리 정하지 말고, 무속 현실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방향을 정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무속 연구의 관점을 전환할 때가 되었다. 현재 굿판에서 중심이 되는 이들은 무당이 아니라 재가집이다. 따라서 재가집의 욕구와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야 한다. 그래야 무속이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고, 이것이 대중화 연구의 방향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direction of popularizing shamanism and examined how shamanism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Before discussing popularization of shamanism, the author reviewed the perspectives of viewing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Considering that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has already proceeded significantly, in order to discuss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there should be clear goal and direction of discussing popularization. Focusing on jaegajip (shindo, the people who request a gut ceremony), the use of internet homepage, the use of mass media, and the aspect of stage performance of gut(exorcism) of shamans, this paper presented that popularization has already been achieved.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jaegajip who come to a gut ceremony, they are not limited to certain type of people but they can be anybody.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shamanism is already widespread through internet homepages or the mass media. Also as gut of shamans is performed on stage many times, the ground for gut of shamans is expanding. So to examine the popularization of gut of shamans, the reality of shamanism should be viewed as it is. Then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its popularization should not be decided in advance, but should be decided based on the reality of shamanism. More than anything, it is time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shamanism research. Currently the focus of gut performance is not shamans but jaegajip. So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be the desire and intention of jaegajip. Then it would be possible to see with what kind of significance shamanism can be accepted in our society and this will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 KCI등재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구조와 의미

        홍태한 ( Hong Tea-han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이 글은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 구조와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은 현재 서울, 인천, 경기에서 주로 연행되는데 특히 망자를 천도하는 진오기굿이 자주 열린다. 진오기굿은 망자가 죽은 이후 언제 열리는지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이 글에서 대상으로 삼은 것은 망자의 죽음 이후 49일 전에 주로 열리는 진진오기굿이다. 망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가져온 슬픔과 충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굿이 진진오기굿이다. 이 글에서는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굿거리 구성을 살펴보고, <안등신 좌정하기>와 <영실감흥거리>가 진진오기굿을 바라보는 만신의 서로 다른 관점의 반영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진진오기굿을 구성하는 개별 굿거리의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시왕과 사자가 중심이 되다가 마침내 망자를 출연하게 하여 죽음이 가져온 이별의 고통을 치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망자와 산자의 갑작스러운 단절이 진진오기굿을 통해 소통으로 이루어지고, 굿이 진행되면서 자연스러운 분리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제시했다. 결국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죽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죽음을 수용하게 하는 유용한 장치임을 규명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its implication of Jinjinogi-gut of Hwanghaedo. The Hwanghaedo-gut is mainly perform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oday, and in particular, the Jinogi-gut that leads the deceased to heaven is frequently held. The Jinogi-gut has different named depending on when it is held after passing of the deceased, and the subject in this article is the Jinjinogi-gut that is mainly held 49 days prior to the passing of the deceased. The gut that helps to break away from sorrow and shock from the sudden passing of the deceased is the Jinjinogi-gut. In this article, the gutgeori (performance of shamanism) composition of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sought, and it presents that < Andeunsin Gwajeonghagi > and < Youngsilgamheunggeori > are reflecting the mutually different point of view of the mansin (10 thousand gods or sometimes, female shaman) that looks at the Jinjinogi-gut. And the implication of individual gutgeori that composes the Jinjinogi-gut is formulated, and through this endeavor,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come the center of Siwang (ten underworld kings) and saja (the angel of death), and with the deceased appearing at last, it is considered to be healing of pain from departure from the death. It has presented that the sudden isolation of the deceased and the live people is made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Jinjinogi-gut, and with the gut (shaman dance) in progress to make natural separation. Consequently,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clarified as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it is the useful device to accommodate death.

      • 서울 전농동부군당의 향방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16 서울민속학 Vol.- No.3

        이 글은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부군당의 현재 모습을 바탕으로 전농동부군당의 무신도봉안 양상 및 실존인물 조반의 부군신령화 등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현재 전농동부군당에는 11점의 무신도가 봉안되어 있는데 무신도의 도상과 이름을 바탕으로 하여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의미를 살폈다. 무신도의 한 유형은 전형적인 무속의 신령들을 봉안한 것으로 이는 전농동부군당이 마을당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 유형은 조선시대 국왕의 거둥 행차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행차의 앞과 뒤에 따르는 여러 행렬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처음에는 부군당의 배경 역할을 하다가 어느 순간 무신도로 받들어지게 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전농동부군당에는 조반(趙胖)이 부군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전농동에 전농시(典農寺)가 있어 국왕의 농사 행사를 감당했고, 이러한 성격이 조선시대 토지 개혁과 관련이 있는 조반을 부군신령으로 모셨다고 보았다. 현재 전농동부군당은 공원으로 꾸며져 있다. 부군당보존회가 있어서 모든 제의를 맡고 있어 새로운 마을신앙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a few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present appearance of Jeonnong-dong Bugundang in Dongdaemun-gu. Currently, Jeonnong-dong Bugundang has 11 pieces of Musindo enshrined and, on the basis of the drawing and name of Musindo, it is classified for two types to take a look at the implication. A type of Musindo is to enshrine the local gods of traditional shamanism as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Jeonnong-dong Bugundang is the village shrine. Another type was to paint the march of the king during the Joseon Era in painting. It is the drawing of appearance for several marches leading in the front and following in the back for the march that it was shown at first to support Musindo in certain moment after engaging in the role of background of Bugundang. In addition, Jeonnong-dong Bugundang has Joban enshrined as Bugunsinryeong. Jeonnong-dong has an administrative office of Jeonnongsi to engage in the agricultural events for the king and this type of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enshrined Joban as the Bugunsinryeong pertinent to the land reformation of the Joseon Era. The current Jeonnong-dong Bugundang is built for a park. The Bugundang Conservation Society undertakes all propositions to be considered as the model for new village faith.

      • KCI등재

        황해도굿의 무가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이 글은 황해도 무가의 가창방식인 만세받이 무가를 살펴본 글이다. 먼저 그동안 이루어진 황해도무가의 채록상황과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황해도 무가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황해도무가의 가창방식을 만세받이와 타령, 놀이무가로 나누어 살폈고, 특히 만세받이 무가를 만세받이, 긴만세받이, 자진 만세받이로 나누어 양상을 제시했다. 만세받이 무가는 서두→ 청신→ 기원의 3단 구성이다. 시간과 장소에 대한 언급을 서두 부분에 포함시킨다면 만세받이 무가는 전형적인 청신무가로 청신과 기원으로 구성된다. 만세받이 무가 구송 후 무당은 곧장 신을 몸에 실어 굿을 진행한다. 다양한 공수가 이어지고, 빠른 장단에 맞추어 연풍을 돌며 신을 놀린다. 여러 무복을 갈아입으며 다양한 신격을 불러 모시고 재가집에게 연이어 공수가 내린다. 타령이 이어지고 굿거리에 따라서는 다양한 굿놀이가 연행된다. 황해도 만세받이 무가는 오신과 공수를 주기 위한 사전 준비단계의 의미를 가진다. 황해도 굿음악 중 장단의 정형성을 가진 것이 만세받이 장단임을 고려하면, 만세받이 무가는 청신의 의미만을 가질 뿐 굿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하다. 따라서 황해도 지역에 서사무가가 발달하지 않은 근거는 만세받이 무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말로 된 무가는 청신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신의 여러 행동은 주로 춤과 놀이, 타령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신의 유래에 대한 긴 내용을 굳이 말로 나타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amanic-songs in Hwanghawgut. The following are the detailed problems and the finding of the study. I indicated the Shamanic-song in Hwanghawdo had not been studied well after examining the result of research and recording situation of the Shamanic-songs in Hwanghawgut that had done all the while. Next, I calssified the Shamanic-songs in Hwanghawgut into mansebagi, taryung and gut nori and suggested the aspects that mansebagi is divided as gin-masebagi, zazzin mansebagi. The mansebagi consists of calling god and the invocation as a the 3 stages typical shamanic song making up of the opening, calling the god and invocation. After singing the mansebagi shamanic song, a shaman goes forward with gut having her god instantly. The diverse gong-su were continued and a shaman makes the god move and play and turn around yeon-poong to fast piping. Changing shamanic costumes shaman calls, summons various divinity and gives gong-su to zaegazib continuously. Taryung is continued and the various gut nori comes along according to gut geori. The Shamanic-songs in Hwanghawgut means a preparatory stage in order to give the gong-su and giving play to god. It was a mansebagi why shaman epic didn't developed in Hawanghae province area. It is not necessary that explains the long details of origin about god, because many actions of god shows dance, play, tary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