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각회피 훈련을 통한 의도적 망각에서 항목 강도와 연합 강도의 효과

        홍유림,이도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3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1) that the forgetting effects would be greater for targets with strong item memory strength because the item to be forgotten is clear and easily accessed by cognitive control process, 2) the forgetting effects would be lesser for the cue-target pairs with strong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cause the effect of interference from other competitive stimuli associated with the cue is relatively smaller using think/no-think (TNT) paradigm demonstrated the facts that unwanted memory can be forgotten intentionally. In Experiment 1, target stimuli had either emotional or neutral content to adjust item memory strength of the target while cue-target pairs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tween cue and target words during a training phase. Results indicated an enhancing effect on the think condition and suppressing effect on the no-think condition following repeated practice given the target contained negative valence rather than neutral valence. In addition, greater suppression was observed when cue-target pairs contained weak associative memory strength. In Experiment 2, instead of targets, the valence of cues was changed to adjust the item memory strength of cue stimuli while maintaining the level of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tween cue-target pairs.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effect depending on the training level in the learning phase was almost the same as in Experiment 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lences of cues. The finding indicates that the item memory strength and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have opposite effects on intentional forgetting by the inhibition and interference mechanism respectively. 본 연구는 원하지 않는 기억의 인출을 인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생각/생각회피 패러다임(think/no-think paradigm)을 사용하여 1)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억제가 촉진되어 망각이 잘 발생하고 2) 반면에 단서와 표적의 연합 강도가 높으면 간섭이 약화되어 망각이 덜 발생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를 조작하기 위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정서가를 가진 단어들을 사용하고, 사전 연합 학습 단계의 훈련 수준에 따라 단서와 표적 간 연합 강도의 세기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중성적인 표적에 비해 부정적인 표적에 대한 망각이 회피 조건에서 더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표적이 사전 학습 단계에서 학습이 잘 되었을수록 망각이 덜 발생하였다. 실험 2에서는 표적 대신 단서의 정서가를 조작함으로써 단어쌍의 연합 강도를 실험 1과 같게 유지한 채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는 조건별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전 학습의 효과는 재현되었지만 단서의 정서가는 표적의 망각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항목 자체가 가지는 기억 강도와 항목들 간의 연합 강도가 각각 억제와 간섭을 통해 독립적으로 의도적 망각에 상반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 Othello 등장인물 대사에 나타난 감성 분석

        홍유림 미래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 Vol.25 No.3

        In this paper, I describe how to perform computer algorithm-based emotional analysis on Othello among Shakespeare's works using R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ds with an occurrence frequency of more than 20 times were extracted from Othell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everal word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words. Second, there are more words in Othello that have negative emotions than positive emotions.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overall character (i.e., tragedy) of this work. Third, this tendency becomes stronger as it goes to the second half of the play. These days, call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rapidly introducing the global network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flecting this trend, the cultivation of industrial-type convergence talent is becoming a hot topic in universities, which seek to remove new barriers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and create new knowled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mbodies the practical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engineering on the basis of rea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Mixture에서 봉우리 면적을 활용한 유전자 증거의 해석

        홍유림,이효정,이재원,Hong, Yu-Lim,Lee, Hyo-Jung,Lee, Jae-Won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1

        형사사건에서 STR(short tandem repeat)을 이용한 개인 식별은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유전자 증거와 용의자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하게 된다. 특히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유전자 증거 표본에 기여자가 두 명 이상인 경우를 Mixture라고 하며, 이는 강간 등과 같은 사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의학적 추론을 위해 유전자 증거 표본을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계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Mixture에서 발생한 대립유전자의 봉우리 면적을 활용하여 유전자 증거를 해석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봉우리 변적을 이용하여 유전자 증거 표본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 방법들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또한 유전자 증거 표본에 기여한 사람의 수가 세 명 이상안 표본으로 확장시킨 연구를 실시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례틀 통해 유전자 증거를 해석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Mixture is that DNA profiles of samples contain material from more than one contributor, especially common in rape cases. In this situation, first, the method based on enumerating a complete set of possible genotype that may have generated the mixed DNA profile have been studied for interpreting DNA mixtures. More recently, the methods utilizing peak area information to calculate likelihood ratios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ixed forensic stains using quantitative peak area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forensic inference for extension of material from more than or equal to three contributors. Finally, the numerical example will be outlined.

      • KCI등재

        온라인 교양영어 학습환경에서 학생 만족도와 지각된 학습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홍유림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연구 Vol.6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namely self-efficacy in online learning, learner-content interacti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The study consisted of 145 students. The survey employed six different measures: (1) OLSE, (2) LCI, (3) LI, (4) LI, (5) Student Satisfaction, and (6) Perceived Learning. The regression results of the model with perceived learning as a dependent variable confirmed that the entire model with three independent interaction variables (LCI, LII, and LLI) predi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erceived learning.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tudent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 model with OLSE added to the original model of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the three interactions was significant. A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perceived learning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a model added OLSE to the original model of the three interaction-related independ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LSE, LII, and LLI in online classes are important factors in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 KCI등재

        소셜 미디어상 공중의 기업 공격·방어 커뮤니케이션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집합적 효능감 지각, 여론 지각, 인상 관리를 중심으로

        홍유림,윤영민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public opinion perce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on public’s offensive and defensive communication behavior toward corporations whose certain behaviors are publicly concerned, particularly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of 317 adult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communicate both offensive and defensive information about corporate when they perceived higher levels of collective efficacy on social media. Second, respondents more actively involved in offensive communication behavior against corporation, when they performed either higher self-oriented or lower other-oriented impression management. Lastly, public’s self-oriented impression management was turned out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perceived public opinion on public’s offensive communication behavior against corporation. In addition, respondents were less likely to communicate defensive information about corporation on social media when they perceived more opinion discrepancy between others and themselves, while such tendency was also moderated by respondents’ other-oriented impression management.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행동에 대한 비난이 제기된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상의 집합적 효능감지각과 여론 지각, 인상 관리가 공중의 기업 공격·방어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59세 성인 남녀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집합적 효능감 지각이 높을수록 공중의 기업 공격 및 방어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가 높았다. 둘째, 자기 지향 인상 관리와 타인 지향 인상 관리는 공중의 기업 공격 커뮤니케이션 의도에 대해 각각 정적인, 그리고 부적인 주 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기 지향 인상 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쟁점에 관한 자신과 타인 간 의견 차이의 지각이 공중의 기업 공격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감소했다. 또한 타인 지향 인상 관리는 여론 지각이 공중의 기업 방어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나타났다.

      • 천연샴푸가 반려견 피부의 유・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선화,강용훈,김민정,김예은,김유진,김지혜,윤영서,유림,김옥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17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Vol.6 No.1

        As the population age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Companion animal industry has recently been diversified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industries such as beauty, rest, and insurance, and the share of this industry in the economy is gradually increasing. Dandruid keratoses, ticks, and various pathogenic bacteria are parasitized on the skin and hair of a dog to damage the hair and cause skin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ingredients on the oil and moisture content of dog skin when using natural shampoos and using these shampoo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water content of four poodles of 1 year and 4 years old. The natural shampoo used in 4 rats was prepared and used direc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in the forelimb of the experimental dog was almost unchanged when using the ordinary shampoo, but it increased with the use of the natural shampoo. Especially, when using natural shampoo for 3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content of ordinary shampoo increased about 55.71% over 3 weeks.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general shampoo, the water content of the neck of the experimental dog was almost unchanged, and even when using the natural shampoo, the moisture content was almost un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ural shampoos will have a better effect on maintaining the moisture content of companion animals compared to ordinary shampoos.

      • 2018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및 시사점

        안중기,홍유림 현대경제연구원 2018 VIP Report Vol.718 No.-

        ■개 요 2017년 국내 경제는 반등에 성공했다. 새 정부 출범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었고, 하반기에 집행된 추경 예산은 경기 회복에 기여하였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경기가 견조한 흐름을 나타냈고, 내수도 점차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 우리 경제는 2018년에도 전년도에 이어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국내 가계부채 문제 등 적지 않은 불안요인들이 상존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현실화된다면 경기 회복은 제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주요 기업이 2018년 국내외 경제 상황 및 기업 경영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2018년 국내외 경제 및 기업 경영환경 전망 (2018년 국내외 경제 전망) 2018년 세계 경제는 2017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절반 이상(52.5%)의 기업들이 올해 세계 경제는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그리고 전년도보다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도 39.4%에 이르렀다. 반면 2017년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기업은 8.1%에 불과했다. 다만 많은 기업들이 미국발 불안요인이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46.9%) 혹은 금리 정상화(22.4%)가 세계 경제의 주요 불안요인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이 과반수를 상회했다. 국내 경제는 일시적으로 주춤하며 성장률은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회복세가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38.4%)은 침체국면에 재진입할 것이라는 기업(9.1%)보다는 많았지만, 회복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할 것이라는 기업(52.5%)보다는 적었다. 경제성장률도 전년보다 소폭 하락할 전망이다. 작년보다 낮은 2%대 후반의 성장률을 예상하는 기업 비중이 절반을 상회하는 54.5%였다. 한편 국내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주요 불안요인으로 금리인상(28.3%), 가계부채(27.3%), 투자 위축(25.3%)이 지적되었다. 원화 강세, 유가 상승, 고용 부진 등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경영환경 전망) 환율은 전년도보다 하락하고 유가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원/달러 환율은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기업들(46.4%)이 1,050원~1,100원에서 형성될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작년과 비슷한 1,100원~1,150원 사이일 것이라는 응답 비중은 32.0%였다.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손익분기점 환율에 대해서는 1,050원(33.3%) 혹은 1,100원(25.9%)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현재 환율 수준은 손익분기점 환율에 근접한 상태이고, 지금보다 환율이 더 떨어지면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대부분의 기업들(74.0%)이 유가는 50달러~60달러에서 결정될 것으로 기대한다. 작년 평균보다 높은 60달러 이상에서 형성될 것이라는 의견은 17.8%에 머물렀다. 통화정책과 관련해 대다수의 기업들은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횟수로 1~2회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2회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50%이고, 1회라는 의견은 41.8%였다. 그러나 한 번도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이 기업보다는 노조에 친화적이냐는 질문에 대해 거의 대부분의 기업들이 동의했다. 다소 동의한다를 선택한 기업이 73.5%이고,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응답한 기업이 16.3%였다. 친노조적인 정책은 기업 경영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최저임금 상승과 노동시간 단축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소 부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이 각각 64.9%, 61.9%였다. 이처럼 경제정책이 시장보다는 노조에 친화적이고 기업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도, 새정부에 대한 평가는 나쁘지 않았다. B학점을 준 기업들이 62.9%로 가장 많았고, A학점을 준 기업들도 8.2%였다. 이는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 못지않게 기대도 존재함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과반수의 기업들이 신성장동력 발굴 미흡(52.6%)이 한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주력산업 정체(19.6%),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대응 미흡(11.3%)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경영실적 평가 및 경영계획) 2017년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거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았다. 예상 성과를 상회한 기업들은 내수 호조가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이라고 응답했다. 2018년 경영계획은 전년도에 비해 소폭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목표가 투자와 고용 목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설정될 것으로 보인다. 매출과 영업이익에 대해 적어도 1% 이상 증가를 목표로 세운 기업이 각각 77.2%, 75.9%였다. 반면 투자와 고용은 54.7%, 49.5%에 머물렀다. 또한 비용 절감을 통한 내실경영(19.6%)에 우선순위를 두기보다는 매출 증대 및 수익성 향상 (54.6%)에 집중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제품/신기술 개발(10.3%)이나 해외시장 진출 확대(15.5%)와 같은 적극적인 전략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기업투자지수) 2017년 하반기 조사 당시보다 거의 모든 부문이 개선되어 투자지수는 123.6에서 135.6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다른 부문에 비해서 투자여건 개선이 미흡했다. 전년도 하반기 조사 때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다른 부문과 비교하면 저조한 편이다. 현재의 투자여건에 대해 만족하는 기업이 40.9%에 불과했으며, 향후 투자여건의 개선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의 만족 비중보다 높은 62.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전기전자·정보통신(ICT)·금융 등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최근 업황 부진을 겪고 있는 운송/물류·건설 등은 산업 평균을 하회했다. 평균을 하회한 업종들은 상회한 업종들에 비해서 투자여건에 대한 평가가 특히 부진했다. ■시사점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기대 효과를 극대화하고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정부는 시장과의 소통을 확대해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 등 경제정책이 경영활동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장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경제심리 위축 및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투자를 제약하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여 혁신성장을 촉진해야 한다. 소득주도성장 못지않게 혁신성장도 중요하다. 규제 샌드박스, 네거티브 규제 제도를 도입 및 확대하여 성장가능성이 높지만 그동안 규제로 인해 사업활동이 제한됐던 분야에 대한 자발적인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국내외 위험요인에 대해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비하여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외환보유고 등 건전성 지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가계부채와 관련해 취약계층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창출, 가계소득 증대 등 부채상환능력 제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일하는` 노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67세부터 노인, 3명 중 2명 `일하는` 노인에 대해 긍정적

        고승연,홍유림 현대경제연구원 2017 VIP Report Vol.690 No.-

        □ `일하는` 노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서 론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고 있다. 3년 이내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등 2065년에는 인구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는 경제활동인구 중 고령인구의 비중도 증가시키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소득절벽`과 `노인빈곤`으로 노후 근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으며, 일자리 질 문제는 후선이 되고 있다. 본 고는 고령화 대책의 일환으로 노인을 위한 일자리의 양과 질 확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일하는` 노인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향상을 위한 `일하는`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일하는` 노인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1) `노인`에 대한 인식 ① `노인`의 적정 연령 - 평균 67.2세부터 노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009년 조사에 비해 0.8세 증가하였다. 연령별 노인 기준연령은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20대는 65.7세로 가장 낮고 60세 이상은 69세로 가장 높았다. ② `노인` 이미지 - 2009년에 비해 다소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응답자 3명 중1명(34.3%)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20대가 평균 3.43점(`긍정적` 40.2%)으로 가장 긍정적이며, 60대 이상은 평균 3.18점(`긍정적` 27.3%)으로 상대적으로 부정적이다. 40대 역시 평균 3.34점(5점만점)(`긍정적` 35%)으로 부정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2) `일하는` 노인에 대한 인식 ① `일하는` 노인 이미지 - 응답자 3명 중 2명(67.1%)은 `일하는` 노인에 대해 긍정적이며, `노인` 이미지에 비해 좀더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다. 50대가 가장 긍정적이며, 60대 이상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응답자 3명 중 1명(28.6%)은 노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일하는` 노인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② `일하는` 노인의 주된 모습 - 응답자의 절반(47.8%) 가량이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일하는 모습`이 `일하는` 노인의 가장 일반적인 모습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24.5%는 `일하면서 활기차고 건강한 모습`을, 20.3%는 `일하면서 즐거워하고 만족하는 모습`을 선택하였다. 특히 `일하는` 노인을 `활기차고 건강한 모습`으로 인식할 경우 이미지가 가장 긍정적이며, `즐겁고 만족하는 모습`일 경우 노인 고용의 향이 최대로 나타났다. ③ `일하는` 노인의 역량 - `일하는` 노인의 역량으로 주로 `업무 성실`, `조직 헌신`등 전통적 업무 역량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동기부여`, `학습의지`등은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40~50대는 `조직헌신`, `업무성실` 등의 역량을 높게 인식한 반면, 20대는 `고객관리`, `동기부여`, 30대는 `창의성`, `사고유연성` 등을 긍정적으로 인식해 고연령층의 인식과 대비되었다. 이미지가 가장 좋았던 `활기차고 건강`하게 일하는 노인의 모습에서는 `동기부여`, `학습의지` 등 평균적으로 `일하는`노인에게 부족한 역량을 높게 인식하였다. (※ 고학력일수록, 노인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노후에 근로를 희망하는 경우, 그리고 `일하는` 노인을 즐겁고 만족스러우며, 활기치고 건강한 모습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하는` 노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확률이 높았다. 특히 노인이 `즐겁고 만족스럽게 일한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하는` 노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9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3) 노후 근로 및 노인 고용의향 ① 노후 근로의향 - 대부분의 응답자(82.0%)가 노후에 근로를 희망하고 있으며 2009년에 비해 크게 상승(10.8%p)하였다. 근로희망 이유는 마찬가지로 `경제적 수단`이 가장 많았으며, 젊은 층은 상대적으로 `사회참여`의 동기도 많았다. ② 노인 고용의향 - 응답자의 대다수(92.8%)가 노인 고용의향이 있으며, 특히 4명중 1명(26.7%) 이상은 `능력/경험이 우수하면 직무에 상관없이 노인을 고용하겠다`는 의견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전기가스공급`, `예술/여가관련` 업종이 노인 고용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이었다. ③ 노인 고용의향 vs. 노후 근로의향 - 20~50대 응답자의 72.4%는 노후에 근로할 의향과 노인을 고용할 의향이 모두 있었으며, 20~30대가 노후 근로 및 노인 고용에 좀더 적극적이었다. (4) 노인 근로의 정책적 의미 ① 고령화 대책으로 노인 근로 - 응답자의 61.3%가 고령화 대책으로 노인 근로가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며,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다. ② 비노인층(청장년층) 취업과 노인 근로 - `별 상관없다`(74.5%), `비노인층의 취업기회를 감소시킨다`(18.5%)는 모두 2009년(15.5%)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으며,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연령 증가에 따라 부정적 의견도 증가하였다. ■ 시사점 -`일하는` 노인의 인식 개선을 위해 노인이 `활기차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3가지 요건 첫째,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인` 이미지가 가장 취약한데, 부정적인 셀프 이미지는 결국 부정적 노인 이미지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노인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를 갖고 사회와 조직의 일원으로 함께 가려는 적극적인 배려의 자세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조직에서는 노인이 가진 개별적인 기술과 능력을 객관적으로 인정하여 활용하려는 오픈 마인드가 필요하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조직 구성원 역시 고령화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고령 근로자에 대한 선도적인 투자(교육 훈련, 적합근무 환경 조성 등)로 경쟁력 제고를 지향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좀더 다양한 노인 적합직종의 개발에 힘쓰고, 노인이 `즐겁고 만족스럽게` 일할 수 있도록 일자리 질과 내용에 대한 고려와 함께 `일하는` 노인의 바람직한 모습을 적극적으로 발굴, 사회에 전파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