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 테이블 폼 전용 가변형 보 브라켓 개발 - 개념 디자인 제시 및 구조적 안정성 분석 -

        홍유나,염동준,유현석,김영석,Hong, Yu-Na,Yeom, Dong-Jun,Yoo, Hyun-Seok,Kim, Young S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9 No.5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거푸집 공사의 작업 생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 폼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보 테이블 폼이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보 테이블 폼은 층별로 보 규격이 일정한 건축물 시공에만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층별 용도에 따라 보 규격이 상이하게 설계된 건축물에서도 보 테이블 폼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 테이블 폼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보 브라켓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보 거푸집의 규격을 유연하게 조절시킬 수 있어야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보 거푸집의 규격 조절이 가능하며 현장 적용성 또한 우수한 보 테이블 폼 전용 가변형 보 브라켓의 개념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보 테이블 폼 전용 가변형 보 브라켓 개념 디자인이 실물로 제작될 경우 층별 용도에 따라 보 규격이 상이하게 설계된 건축물에서도 보 테이블 폼의 적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는 거푸집 공사의 작업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lively utilized system forms to improve the work productivity and safety of form work, and the beam table form is one of them. However, the beam table form is used limitedly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here the same beam size is applied to every floor. To make it possible to apply the beam table form to a building where different beam siz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uses of floors, it was analyzed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beam table form, the beam bracket, should be able to flexible adjust the size of the beam form only with simple op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ual design of "an adjustable beam bracket for beam table form" that allows the adjustment of beam form size with simple operation and has excellent applicability to construction sites as well. In case this study's conceptual design of adjustable beam bracket for beam table form is fabricated into a real thing, it is expected that the beam table form will be applicable to even buildings where different beam siz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uses of floor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work productivity and safety of form work.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 중심으로

        홍유나(Hong, Yu-Na),임유진(Lim, Euge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 시대에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중심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을 수강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63명이며, 본 연구에서 상정한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까지 사전 자료 수집,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30일까지 사후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였고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은 예비 유아교사의 기술준비도(혁신성, 낙관주의, 불안정성, 불편감)와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에 있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전-사후 검증에서 가장 큰 평균차를 나타낸 변인은 AI 활용의도(1.32)였고, 기술준비도의 하위변인인 낙관주의(1.30), 혁신성(1.24)도 높은 평균 차를 나타냈으며 불안정성과 불편감은 다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에서 AI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및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I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ra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cusing on technology readiness,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63 first-year students of the college 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took courses i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6 to March 20 in 2020, and po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9 to July 30 in 2020. For data analysis, SPSS 20.0 was used, and pre-pos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paired t-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y readiness (innovativeness, optimism, insecurity, discomfort),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e-post verification, the variable that showed the largest average difference was the intention to use AI (1.32), and optimism (1.30) and innovativeness (1.24), which are sub-variables of technology readiness. Also, It was confirmed that insecurity and discomfort were slightly low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침목 간격에 따른 자기부상 시험선로 가이드웨이의 동적응답분석 및 충격계수산정

        홍유나(Hong Yu-Na),정원석(Chung Won-Seok),여인호(Yeo In-Ho) 한국철도학회 2008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Maglev System is expected to be a new public transportation for future because of its special characteristics. Sleepers of railway role on transferring the lateral load to guideway for Maglev and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rails. Variation of distance of sleepers can affect dynamic responses for maglev guideway. In this paper, Daejon maglev guideway is analyzed to find proper tie spacing of a maglev system. The analysis included using a maglev trainload and also the dead load as the primary forces on bridges. Not only the dynamic behavior of bridges is investigated under sleeper conditions, but also impact factor about vertical displacement on the guideway is produced. This guideway is analyzed in four cases followed by changing spacing of sleeper and then obtained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displacements, acceleration and impact factor by Finite Element Analysis.

      • KCI등재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홍유나(Yuna Hong),맹민재(Min-Jae Maeng),정애경(Ae Kyung Chung),이상회(Sang-Hoi Yi),김능연(Neung-Yeun Kim)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향상을 위하여 성찰저널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찰저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도구로서 (1) 5점 Likert 척도로 된 자기평가, (2) 수업에세이, (3) 동료와의 대화, (4) 교수님과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화된 성찰저널'이다. 이러한 성찰저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8월 24일부터 10월 16일까지 총 8주 동안 공학계열 1학년 94명(이론반 42명, 실험실습반 52명)을 연구반(성찰저널 적용 수업)과 비교반(성찰저널을 적용하지 않는 반)으로 구분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이러한 수업 유형에 따라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 습전략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찰저널이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reflective journal and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study, 'a structured reflective journal' was designed through the steps of systems approach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The reflective journal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the constructive elements of (1) self-evaluation with 5 likert scale, (2) learning essay, (3) dialogue with peers, and (4) dialogue with professor. A total of 94 freshmen enrolled in one of two sections of the engineering courses(theory-based class and experiment and practice-based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8 weeks.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journal on student's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result,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ny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c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differenc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ents were taking advantages of the reflective journal,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 and practice-based cla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both classes.

      • KCI등재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애경,홍유나,강정진,Chung, Ae-Kyung,Hong, Yu-Na,Kang, Jeong-Ji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 전이동기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 A사에서 실시한 모바일러닝 학습자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지각된유용성, 상사 및 동료의 지원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만족도가 전이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고, 상사 및 동료의 지원과 전이동기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 모바일러닝에서 전이동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조직 내 상사 및 동료의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한 조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모바일 정보수용기술에 대한 유용성을 높게 지각하도록 전략을 수립하여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supervisor and peer support, satisfaction, and transfer intentions in the corporate mobile learning. For this study, the web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2 mobile learning learners of the A domestic corporation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supervisor and peer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Second,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ransfer intentions. Third,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while it di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transfe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y proposes organizational environment with cooperative supervisor and peer support should be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ers' transfer intentions. In addition, learning strategies that facilitate learners' self-efficacy and mobile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are needed to develop for enhanc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 KCI등재

        A대학 교수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연구

        임유진(Lim, Eugene),홍유나(Hong, Yu-Na),김세영(Kim, Se-Young),김보경(Kim, Bo-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1

        Recently, as the quality of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itable teaching competency of A university in Korea and develop a scale to measure such competency.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first, A university’s vision, educational goal and related research were reviewed and 24 initial items were formulated. Second, after conducting two Delphi surveys, 35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ir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university professors on two occasion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33 items consisting of five factors: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management, communication, self-diagnosis and reflec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using the scale by discuss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y in a university environment.

      • KCI등재

        글로벌 역량에 대한 중요도 - 실행도 분석(IPA): H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신소영(Shin, Soyoung),홍유나(Hong, Y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구성 요소들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지방소재 4년제 대학인 H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2,085명)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에 포함된 글로벌 역량에는 영어능력과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 및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분석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나 글로벌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특히,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IPA)에서 학생들의 교육 요구가 높은 요인은 영어능력의 하위요인인 읽기, 듣기, 말하기 능력이 도출되어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해 학생들은 영어능력을 우선적 해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학에서 다양한 영어능력 제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는 것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에 대한 개선이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밖에 지속유지가 필요한 영역에는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이 포함되었다.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에는 영어능력 중 쓰기와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과잉노력 지양영역에 포함된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increasing social demand and interest in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ence. As a result, universities are working on a variety of efforts to enhance the students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glob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in sett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se global competence, this study measur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ith 2,085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Global competence consisted of 8 factors including English proficiency(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cultural flexibility, and global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which means an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erformance in the whole global competence education. Especially, the factor of high demand for students education was the ability of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English ability. In order to improve global competence, students confirmed that English ability is a priority issue. Despite the efforts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in the university, these result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PA also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ultural flexibility should keep up their good work and writing and global activities marked low in priority. There were no possible overkil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