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직자의 IT 역량강화 교육에서 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원준,이영태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5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the type of employees’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 efficacy, and learning flow. For this study, 40 employees from local small-sized software-related businesses participated in a drone shooting and video editing training program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mall busines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7, and they consisted of 29 males and 11 females. After the training,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level of learning flow.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Baron and Kenny's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as follows. First, all types of particip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Second,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learning flow. Last,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level of learning f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 training program,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rapid changes in the industry due to COVID-19 and advancements in AI.

      • KCI등재

        NFT 기부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홍원준,안동근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1

        This study examined non-fungible token(NFT) donation cases to develop a communication strategy for NFT giving. It also explored influential factors of and difficulties in NFT donation. The authors carried out one on one in-depth interview with a panel of 16 people from April 12 to October 7, 2022. The panel included giving planners, developers, creators, fundraisers, donors, news reporters, and philanthropy researchers. Based on the evidence theory, the study developed a communication model of NFT donation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FT donors’ motivation was curiosity in NFT giving and building a network for social gatherings with NFT donors. Speediness and convenience of NFT giving such as Ukrainian frag NFT giving were attractive factors to donors. A NFT giving event was a good opportunity for fundraisers to inform donation projects and meet new donors to increase donations. Second, the biggest problems with participation in NFT donation were low awareness of NFT, difficulties in paying cryptocurrency for NFT purchases, and the hassle of exchanging money. To use cryptocurrency, the donors needed to make an electronic wallet and pay through the NFT market. There were few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could directly receive cryptocurrencies sold. Therefore, the donors had to exchange them into Korean currency, “won.” There have often been cases in which donations have been reduced due to changes in the market price during the time before cryptocurrency donations were decided and exchang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mmunication strategy and payment service to revitalize NFT donation. There is a need for a plan that provides donors with differentiated content, benefits, and communities, and a service that allows them to pay and receive NFTs immediately with cryptocurrenc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promote sympathetic content, and help them participate easily and conveniently through NFT network. It is also important to create a community with participating donors to keep communicating progress and achievement with them. These days, there are many negative issues such as bubbles and hacking against NFT. But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troducing NFT. The younger generation’s interest in new digital content such as NFT is growing. In the United States, cryptocurrency donations for tax benefits continue to increase by taxing virtual assets. In Korea, tax imposition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2024, and as NFT gradually spreads, interest and utilization in various donations will increase. In this context, the current paper will help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NFT donations academically and continue various research and practices to revitalize NFT donations. 본 연구는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기부에 활용한 NFT 기 부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획한 이들과 참여한 기부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NFT 기 부의 참여요인과 제약요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지난 2022년 4월 12일부터 10월 7일까지 기획자, 개발자, 창작자, 모금담당자, 기부자, 기자,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 16명을 개별적으로 만나 1:1 심층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근거이 론 방법을 토대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NFT 기부 커뮤니케이션에 대 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에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FT 기 부에 참여한 이유는 새로운 호기심과 기부자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부자들에게 는 NFT와 기부에 대한 호기심과 우크라이나 국기NFT처럼 신속하고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고, 모금 담당자들에게는 기부프로젝트를 알리고 새로운 기부자들 을 만나 기부금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NFT 기부 참여의 가장 큰 제약 요소는 NFT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NFT 구매하는 암호화폐 결제의 어려움과 환전의 번거로움이었다. 암호화폐 사용을 위해 전자지갑을 만들고, NFT 마켓을 통해 결제해야 한다. 판매된 암호화폐는 비영리단체가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곳이 거의 없어 원화 로 환전해야 한다. NFT 기부를 결정하고 받은 암호화폐를 원화로 환전하기까지의 시 간동안 암호화폐 시세가 바뀌어 기부금이 줄어드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NFT 기부 활성화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결제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 기부자들에게 차별화된 콘텐츠와 혜택, 커뮤니티를 할 수 있는 기획과 암호화폐로 NFT를 바로 결제하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공감할 만한 콘텐츠를 만들어 알리고, NFT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참여하고, 참여한 기부자들과 커뮤니티를 만들어 지속적으로 진행사항과 성과에 대해 소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FT에 대한 거품과 해킹 등 여러 부정적인 이슈가 있지만, 기업들의 NFT도입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젊은 세대들은 NFT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가상자산에 세금을 부과하여 세제혜택을 위한 암호화 폐 기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세금부과가 2024년에는 적용되리라 예상하고 있고, NFT가 점차 확산되면서 다양한 기부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점점 많아 질 것이다. 이에 학술적으로 NFT 기부를 이해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NFT 기 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계속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 대상 메이커 교육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태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컴퓨팅 사고에 미치는 영향

        홍원준,최재성,이현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메이커 교육을 실시하고 소 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태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컴퓨팅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mBlock과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로봇을 만들 수 있는 교육을 설계하여 학교 외부의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20명의 학생 중 1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모든 부분에 있 어 향상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태도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메이커 교육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태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컴퓨팅 사고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 한점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maker education for high-school students on attitude toward software edu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program was designed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using mBlock and Arduino and implemented at a maker space. We analyzed 19 students among 20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result of paired t-test indicat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variables. Also, we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perceive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e finding demonstrated an initial attitude toward software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perceive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we confirmed maker education enhances attitude toward software edu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학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습자 유형화 탐색: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홍원준,이선희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4

        The study explored learners’ factors and categorizes them to facilitate effective personalized teaching and learning with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identified meta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resource management, analysis and use of information, computational thinking, empathy, and collaboration as pivotal factors in the domains of self-directed learning, social interaction, and digital literacy. To gauge the levels of these learners’ factor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assing data from 8,422 students across 320 middle schools nationwide. Employing latent profile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revealed three distinct groups (high-level, moderate-level, and low-level). Subsequent examination of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in terms of each factor and their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unveiled significant variations. The findings offer foundational insights for tailoring personalized instruction in forthcoming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학교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방안 연구 -개념 모형, 설계 원리 및 지침, 절차를 중심으로-

        홍원준,조보경,박주현,동효관,이인태,김선영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iddle school teachers with specific guidelines in order to design and develop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Since they encountered unprecedente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in 2020, they strongly demanded detailed information on method of how to construct the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his study investigated an ideal model for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With this theoretical model, it furthered 21 principles, 62 guidelines, and specific procedures.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and principles, educational experts examined these products. The result of usabilit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se products can be employed appropriately in middle school. The output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teachers with detailed information and useful guideline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in middle school, and innovate educational systems in the future.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홍원준,김영식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1 학교체육연구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this study, on-off 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250 teachers including 3rd, 4t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 성별을 중심으로

        홍원준 ( Wonjoon H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3

        스마트폰이 현대인의 필수품이 됨에 따라, 최근에는 대부분의 청소년들 또한 스마트폰을 보유하게 되었고 그 활용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관련연구들은 스마트폰의 개별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변수중심접근(Variable-centered approach)방법을 기반으로 다른 주변의 변수들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고, 이러한 접근은 학생 개인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고려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접근(Person-centered approach)를 사용해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학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성별에 따라 사용 패턴이 다른 점을 고려해 남학생 여학생을 구분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1차년도(2018년)로부터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375명과 여학생 116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기능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가족 관계적 사용, 친구 관계적 사용, SNS 사용, 오락적 사용, 도구적 사용, 정보추구 사용으로 구분하였다. 그룹별 평균 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오락적 사용을 제외하고 모든 목적에 있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이 더 많았다. 또한 잠재프로파일분석결과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전반적 저사용 집단, SNS 저사용 집단, SNS 집중사용 집단이 확인되었고,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SNS 저사용집단, 전반적 평균사용 집단, SNS 집중 사용 집단이 확인되었다. 잠재집단과 학업태도와의 관계는 SNS저사용 집단이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게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업태도를 보여주었고,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전반적 저사용 집단이,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SNS 집중사용 집단이 가장 낮은 수준의 학업태도를 보여주었다. 그 밖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등이 논의되었다. As a smartphone has become common among people in these days, adolescent students also have possessed their smartphone and an interest in and research on use of them has highly increased. However, a majority of previously relevant studies has employed a variable-centered approach focused on individual functions of a smpartphone to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to other variables, which missed a pattern of individual‘s smartphone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latent classes based on the purpose of smartphone use and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to learning attitud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In additio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in which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smartphone use, how differently the latent classes emerged by gender was investigated. For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1375 male and 1166 female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In the study, the purpose of smartphone use was categorized into family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SNS, entertainment, tool, and information-seeking.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ost purposes except for entertainment, female students used smartphones more frequently than males. Also, the result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overall infrequent use, SNS infrequent use, and SNS oriented use groups among male students and SNS infrequent use, overall moderate use, and SNS oriented use among females. Lastly, the SNS infrequent use group demonstrated the greatest learning attitude among males as well as females, and male students in the overall infrequent us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NS oriented use group lower learning attitude than other group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 정서 · 행동문제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홍원준(Hong, Wonj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서 · 행동문제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부모의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1차년도 자료에서 정서 · 행동문제, 부모의 양육방식, 삶의 만족도에 응답한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3단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정서 · 행동문제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정서 · 행동문제의 하위요인들의 점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잡단을 “중간수준 정서문제(45.7%)”, “건강한 정서 · 행동(27.6%)”, “주의집중문제(14.8%)”, “우울중심 심각 정서 · 행동문제(11.9%)”로 명명하였다. 이어서 R3STEP을 통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자율성지지를 제외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이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가 더 많은 따스함, 구조제공과 보일 경우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정서집단 속할 확률이 높았고, 반대로 부모의 거부, 강요, 비일관성이 증가할 경우 부정적인 정서문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정서문제의 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BCH방법에 의한 가중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한 정서 · 행동 정서문제 집단과 주의집중문제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어서 중간수준 정서문제 집단, 우울중심 심각 정서 · 행동문제 집단 순으로 본인들의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대한 사람중심접근의 연구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optimal latent profiles of adolescent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590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rvested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e results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indicated that a four-profile model was the best model, based on multiple model fit indices: middle-level emotional/behavioral problems(45.7%), n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27.6%), Attention problems(14.8%), and depression-focused high-level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11.9%). A subsequen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3STEP procedure, showed that all variables of parenting attitudes, except for autonomy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al problem profiles. Additionally, the weighted multiple group analysis, based on a BCH approach reveale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 profil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in analyzing adolescent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홍원준 ( Won Jun Hong ),김영식 ( Young Si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체육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이고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3-6학년 담임교사 250명을 단순무선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24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부적격한 8부를 제외한 최종 232부를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는 체육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는 열린 교과서관 즉, 구성주의적 교과서관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현장에서 대부분의 교사는 체육 교과서를 교과서 외의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활용하거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내용을 재구성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현장 경험이 많은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편찬을 하여 동영상, 사진 등을 담을 수 있는 형태(CD, 전자북)로 교과서를 제작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체육 교과서가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 활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물론 한편으로는 일반 학생들을 위한 기본적인 내용을 제공하고 체육 지식만을 담아 작고 휴대하기 편하게 제작하여 단위 학교별 교사에 의해 채택되는 닫힌 교과서관 즉, 객관주의적 교과서관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이는 객관주의적 교과서관이라기 보다는 현재의 체육 교과서와 초등학교 현실상황의 차이에 의한 인식이라 사료된다. 둘째,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는 체육 교과서를 수업 외적으로는 수업 준비나 지도안 작성 시, 수업 내적으로는 인터넷이나 교사용 지도서와 함께 활용하여 수업의 도입 단계, 건강 활동 영역에서 체육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활용하였으나 그 활용 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this study, on-off lin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250 teachers including 3th-6th grade homeroom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232 questionnaires were qualified for this study and 8 were disqualified among the 240 returned. Range analysis(x²)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A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physical textbooks, most subjects had innovative perspective using the textbooks with constructivism. On the questionnaires asking the perception on the physical textbooks,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 textbooks should teach the way of getting physical knowledge, and it should be made for students to study by themselves by many experienced teachers. Moreover, the subjects thought that teachers should reconstruct th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purposes with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Although some subjects showed the conservative perspective using the textbook with objectivism, the result showed that most elementary teachers had constructive perspective, which means that teachers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by themselves and facilit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Next, looking on the resul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tilization of the physical textbooks, most teachers use the textbook in classes, but the degree of the usage was quite low. On the questionnaires of asking the stage, frequency, reason, and the area of utilization of the physical textbooks, the subjects`s answers were concentrated in some examples which means the low degree of utilization resultingly. Moreover, most subjects used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the internet and teacher`s manuals or they reconstructed the textbooks when they used them. In conclusion,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constructive perspective on the physical textbooks, but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m is quite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ways to utilize the physical textbooks in the future.

      • KCI등재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교육에서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원준(Wonjoon Hong),최재성(Jae-Sung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교육에서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재직자 소프트웨어 역량강화 교육에 참여한 18명의 재직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상관관계 분석결과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만족도 간에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어서 Baron와 Kenny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는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is the mediator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in software education for employees. To do this, data from 18 employees who completed a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chievement goals,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the findings of a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demonstrated that achievement goals predicted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s a an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Lastl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