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래동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예술교육의 기대효과

        홍애령 ( Hong Ae-ryung ),최영임 ( Choi Young-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래동화라는 특정 장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예술교육을 위해 이론중심의 예술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 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래동화라는 우리의 옛 이야기를 활용한 통합적 예술교육을 실행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옛 선조들의 지혜, 역사 등을 배우고 느낄 수 있으며, 과거를 알고 현재를 새롭게 보는 눈을 가지게 되며,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면서 통합예술교육으로서 창의력과 상상력을 극대화시키고, 올바른 가치관과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통합예술교육을 목적으로 둔 연구 사례들을 참고하여, 통합 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방향이 무엇인지 다뤄보고 그로인한 아동들의 창의력 신장과 정서함양의 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integrated arts education using a specific genre, traditional fairy t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side of arts education based on theories for creative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By executing integrated arts education using our old stories, traditional fairy tales, students can understand our traditional culture, learn and feel our ancestors` wisdom, history and others, and have a perspective which enables them to know the past and see the present afresh. Besides, integrated arts education can maximize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help foster proper values and emotion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With reference to various studies aimed at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the way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explore the consequential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development of emotions in children.

      • KCI등재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 탐색을 위한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분석

        홍애령 ( Ae Ryung H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본 연구는 수준 높은 발레교육을 펼치기 위해 발레교육자는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기초 단계로 기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에 나타난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동안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정립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발레를 전공하고 무용수로 활동하거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한 전문 발레인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협회 및 주요 교육기관에서의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이수를 통해 경력을 쌓아갔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발레를 전공한 학생들이 발레무용수로 기량을 갖추는 과정 역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사례선택의 방법으로 선정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은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국내 예술 중·고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자격과정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레교육자만을 위한 특화된 교육은 매우 부족했으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이나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자격을 수여하는 사례 또한 드물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양성과정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문성 요소는 발레지식, 발레교수지식, 발레소양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발레를 기능적, 예술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 발레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적 측면의 능력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레교육 및 발레교육자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 of pedagog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mponents that Korean ballet educators posses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curriculum of ballet school, ballet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Russia, France, England, United States, and Korea. Following the qualitative study paradigm, content analyze method were adop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Bereday(1964)`s comparative method. To validate the study, self reflection, and peer debriefing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ballet educators` pedagogical professionalism(BEPP) refers to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required to teach ballet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econdly,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on ballet, ballet teaching, and balle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ballet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exhibited international education for ballet educators. Knowledge on ballet refers to physic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Knowledge on ballet teaching relates to traditional ballet teaching method and pedagogical knowledge. Ballet literacy denotes personal knowledge and artistic sensibility. The study culminates by offering future directions for intertwining research and developing efficient practice in developing BEPP.

      • KCI등재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홍애령(AeRyung Hong),안지연(JiYoun Ah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IOC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 표준매뉴얼 분석을 통해 올림픽가치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 적합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OVEP의 국내외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OVEP의 실행 배경과 전개양상, 특징과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프랑스 외 12개국의 OVEP 교육현황과 이와 유사한 국내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OVEP은 교육목적 및 내용의 특성상 체육, 도덕, 사회 등의 교과와 성격이 매우 유사하여 일부 교과 단원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 또한 교육내용적 측면에서 융합교육, 인성교육,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강조하는 현 상황에 적합한 내용요소가 될 것이다. 교육제도적 측면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방과 후 돌봄교실, 사회복지실을 활용하여 초 중등교육의 교과 내와 교과 외 활동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사례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OVEP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현실적 조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Olympic value program by analyzing standard manuals of IOC Olympic Value Education Program(OVEP).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es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OVEP in order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ce that take account of education circumstances in Korea. Significances of OVEP as sports value educ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background, development, distinct features, and important concepts. Current education examples of OVEP from 13 different countries were also examined including Korea,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and France. For Korea, we could find some possibilities for OVEP to be included in certain subject chapter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OVEP were similar to those of moral, physical and social education. Contents of OVEP fit well with current status that emphasizes convergenc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ystem, OVEP can be variously applied to both a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utilizing creative field work, free learning semester, after-school program or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Practical measures and future studies for effective OVEP appli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적 관점과 향유적 관점 : 문화복지에서 문화공유로의 전환

        홍애령 ( Hong Ae-ryung ),박재홍 ( Park Jae-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지난 13년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에서 나타난 문화복지로서 수혜적 관점을 점검하고 공공재이자 가치재로서 문화예술교육이 지닌 공적 가치는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적 관점과 문화공유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화복지로서 행해진 문화예술교육과 수혜적 관점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짚어보고 문화예술교육의 공공재, 가치재적 특성과 공적 가치 등의 기초적 개념들을 우선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은 문화복지로서 행해지면서 대중성에는 크게 기여했지만 다수의 학습자에게 문화예술을 교육을 통해 널리 보급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공급자(교육자, 예술가)와 수요자(국민)를 구분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수혜적인 관점에서 행해지게 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초기 단계적 문화복지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의 태동기에는 충분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으나 도약기, 확장기를 거쳐 과도기에 이른 현 시점에서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제 문화예술교육의 수요자들은 단순히 수혜에 머무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을 위해 문화수요자들의 문화향유욕구를 지원하고 소통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은 경제적 효과성을 논하지 않고 모든 국민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공공재이자 가치재이며 정부나 지역자치단체 등의 개입과 지원을 통해 공고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공공재적 특성은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해야할 교육목표 및 교육가치를 재검토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모든 이들이 향유하는 공공재로서 문화예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는 그 참여자이자 주체자인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고 용인할만한 가치가 담겨 있어야 하며, 그것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공적 가치를 구체화, 명료화할 수 있는 현장연구와 실천, 공적 가치에 근거한 교육과정 설계와 교수학습지도안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양적 팽창과 더불어 질적 성숙을 이끌어갈 수 있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the expanding beneficial perspectiv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s public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beneficial perspectiv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s public value in Korea. For doing this, this paper has classified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beneficial perspective, characteristics as public goods, and public value into classical and modern concepts and re-conceptualized it throughout diverse concepts implemented in several areas. Thus, this paper has explored beneficial perspectiv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public valu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Lastly,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conceptual framework to extend the areas that can be applied the public valu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reflection about academic and practical activity. Also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realization of the public value were needed.

      • KCI등재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홍애령(Hong, Aeryung),조미혜(Cho, M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해 표현 영역에서 가르쳐야 할 역량의 내용과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으로 교과별 역량 함양이 중요한 교육목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수업 내용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방안은 다루어지지 않아 현장교사들이 교육과정 해석과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에서 체육교과 표현 영역 및 무용을 지도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와의 FGI 및 심층면담을 실시 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내용체계를 점검하고,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는 5가지 상위 요소와 각각의 3가지 하위요소, 총 15가지 요소로 구분되었다. 표현 영역의 5가지 역량은 수행역량, 창작역량, 감상역량, 인지역량, 인성역량이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의 대표적인 세 가지 활동(수행, 창작, 감상)과 그 과정에 관여되는 인지, 인성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수행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창작 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만드는 능력이다. 셋째, ‘감상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결과물을 관찰하고 공감하는 능력이다. 넷째, ‘인지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다섯째, ‘인성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과정에 요구되는 태도와 심성이다. 표현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표현 영역 역량 요소에 대한 구체화와 교육내용을 위한 제안을 통해 학교무용교육으로서 표현 영역 지도의 내실화와 체계화를 구축하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내용으로서 표현 영역의 의미를 되새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ystem of contents and elements to be educated in the expression area in school, bracing for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held meetings with field expe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ression activity and dance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s well as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n it suggested competency and element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the study largely divided the elements of competency in the expression area into five main factors and each three sub-factors so totally 15 sub-factors. Meanwhile, the five main factors included performance, creation, appreciation - three typical activities in dance education - cognition and personality involved therein. The study defined as follows. Firstly, performanc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n effective and active manner. Secondly, creation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roduc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 creative and artistic way. Thirdly, cognitiv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acquire and understand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knowledge related with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Fourthly, appreciation competency is the attitude and mentality required in th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This study suggested the structures and elements of capabilitie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of drawing opinions from the field experts. In doing so, the study believes it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substantial and systematic framework fo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area during school dance education and re-illumin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area as one of effective educational courses to cultivate creative and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영역의 재검토 : 교육무용 지향에서 큰 무용교육 지향으로

        홍애령(Ae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한국의 무용교육은 무용예술인 양성에 초점을 둔 전문무용,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무용, 여가와 평생교육으로서 무용을 즐기는 생활무용의 영역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다. 다양한 무용생태계가 공존하고 있음에도 무용교육은 전공자 교육과 비전공자 교육으로 양분되어 실기 중심의 전문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05년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이 학교와 지역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면서 전문 예술인과 일반시민의 무용향유활동은 그 수준과 내용에서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무용 창작, 공연, 감상에 대한 교육요구와 기능적, 예술적 수준도 한층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전문무용과 실기지도에 중심을 두고 있는 한국의 무용교육이 향후 지향해야할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영역을 살펴보고 교육무용과 무용교육의 개념이 현재에도 유효한지 점검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술논문, 신문기사의 문헌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기반으로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하고 현재 무용교육 영역이 지향하는 목적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무용생태계를 고려하여 교육의 영역을 확대하고 학습자와 사회 요구에 부응하여 다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Dance education in Korea focuses on professional dance, which emphasizes fostering the dance major to produce dance artists, dancing schools for genera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tudents, and the area of lifelong dance in which dance is enjoyed as leisure and lifelong education. Nevertheless, dance education has often been divided into major education and noncommunist education, with goals and lesson content being developed differently. In 2005, a paradig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merged, influencing schools and communities and ultimately leading to the disintegration of level- and content-based boundaries between professional artists’ and ordinary citizens’ dance activities. The educational needs for dance creati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as well as for functional and artistic levels, have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education area in the historical trend of Korean dance education merits exploration, along with th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recent concepts of da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d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academic papers and newspaper articles, our study summarized the historical trend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examine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current dance education field. Results indicated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expand the scope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ance ecosystem and seek ways to diversify this area in response to learners’ and soci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무용학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홍애령 ( Hong Ae-ryung ),박재근 ( Park Jae-keu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대와 교육수준의 질적 고양에 대한 요청에 따라 전통적으로 무용전문인력을 양성해왔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실적으로 졸업 직후에 무용수, 안무자와 같은 전문적 예술가로의 본격적인 진입과 취업이 매우 힘든 상황에서 학부 졸업생들의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또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학 무용학과의 전공 교과과정에서는 전문무용수와 안무자 등을 양성하는 것과 더불어 모든 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가르치는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향성을 설정하여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 무용학과에서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대학 무용학과 전공교과과정의 운영 상황을 살펴보고, 최근 교육학 및 교육공학에서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활용되는 체제적 교수설계(Instructional System Design, ISD)와 최근 체계적인 학습모듈로 인정받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의 구성 체계와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히기 위한 특강, 워크숍, 로드맵의 제공, 체제적 교수설계모형 적용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요구분석, 과제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무용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능력 단위명, 능력단위 정의, 능력단위 요소명을 도출하는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of social demand for arts & culture education, there unfolds some change in educational target and contents of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as one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stering dance professionals. Along with educ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such as dancers, choreographers,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should pursue to foste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eaching arts & culture education for all learners as an educational dire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major subjects related with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and sought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apply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and educational model. That is, the study examined the aptitude of curriculums for 2nd grade qualification for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major subject courses as of 2017, and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of major subjects certifying an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referring to the system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recently recognized as a systematic learning modu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