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학교무용교육연구의 논제 유형 고찰

        홍애령(Aeryung Hong),이소미(Somi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중등학교 학교무용교육연구의 주요 논제 유형을 탐색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핵심 사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 무용’관련 학위논문 333편 중 79편, 학술지논문 86편 중 22편, ‘고등학교 무용’관련 학위논문 601편 중 12편, 학술지논문 226편 중 5편, 그리고 주제어 검색에서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아 연구제목 및 내용을 검토한 후 분류한 ‘중·고등학교’ 무용관련 학위논문 5편, 학술논문 5편을 포함하여 총 128편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 교과 내에서 표현 영역으로 다루어지는 학교무용의 특성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영향으로 문화예술교육 무용 분야로 가르쳐지는 현장의 특성에 따라 중등학교 학교무용교육 현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실 논제, 가치 논제, 정책 논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학교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hich classified proposition type of research that dealt with current actual state of da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during 10 years from 2008 to 2018 and explored them structurally, aimed to identify key proposition to be discussed most deeply in this field. While da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as performed around regular cours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club activity since the adoption of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study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on how da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had been operated amid diverse educational traits and context such as the exis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free semester system and school sports clubs, and to which proposition type researchers had paid at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f totally 128 pieces: 79 out of 333 dissertations related with "middle school dance", 22 out of 86 journal papers, 12 out of 601 dissertations related with "high school dance", five out of 226 journal papers as well as 6 dissertations related with "middle/high school" dance, five academic treatises - classified after checking the research title and content as they were not distinctly found in keyword search.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d what should be the key fact proposition, value proposition, political proposition for da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light of traits of school dance treated as the field of express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ourse and also the practice of teaching it as one field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fluenced by the support project for art lecturers. Building on this, the study suggested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actual school context and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전문 발레교육자의 성장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발레교수전문성의 발달과정 탐색

        홍애령 ( Hong Aery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활동 중인 전문 발레교육자 25인의 삶, 연습, 교육적 맥락을 살펴보고 뛰어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과정과 발레교수전문성의 발달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전형적 사례 선택 기법(Miles & Huberman, 1994)과 이론적 표본 추출(Strauss & Corbin, 1998)에 근거하여 전문무용, 학교무용, 생활무용 영역의 발레교육자 2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택하여, 문헌고찰, 예비면담,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자료분석의 기법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였고,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의 성찰, 삼각검증법,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발레교수전문성의 발달과정은 발레교수입문기, 발레교수성장기, 발레교수갈등기, 발레교수안정기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발달과정은 순차적이거나 일직선적인 형태가 아닌 복합적·순환적 형태를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전문 발레교육자의 양성을 위해 예비 발레교육자를 위한 맞춤식 교육, 발레교수갈등기의 극복을 위한 해결방안의 모색, 발레전문인으로서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교육, 연수,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owth process of professional ballet educat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llet teaching professionalism. Following qualitative study paradigm, this study considers ballet educator`s life, training, and educational context. Specially based on phenomenological study, this study progressed from March 2011 to December 2012. Research participants are selected by traditional case selection(Miles & Huberman, 1994) and theoretical sampling(Strauss & Corbin, 1998). For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pilot study,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method; Moustakas(1994) and Polkinghorne(1989)`s method. To achieve truthfulness and ethics of the study self reflection,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As a result,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llet teaching professionalism divided into four periods; initiate period of ballet teaching, progress period of ballet teaching, confront period of ballet teaching, and master period of ballet teaching. Each process shows not regular and straight form but complex and circular form. Especially during the progress and confront period show dynamic growths and conflicts. Based on the results and comments, I could propose educational efforts and follow-up research for ballet educat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영역의 재검토 : 교육무용 지향에서 큰 무용교육 지향으로

        홍애령(Ae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한국의 무용교육은 무용예술인 양성에 초점을 둔 전문무용,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무용, 여가와 평생교육으로서 무용을 즐기는 생활무용의 영역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다. 다양한 무용생태계가 공존하고 있음에도 무용교육은 전공자 교육과 비전공자 교육으로 양분되어 실기 중심의 전문무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2005년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이 학교와 지역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면서 전문 예술인과 일반시민의 무용향유활동은 그 수준과 내용에서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무용 창작, 공연, 감상에 대한 교육요구와 기능적, 예술적 수준도 한층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전문무용과 실기지도에 중심을 두고 있는 한국의 무용교육이 향후 지향해야할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영역을 살펴보고 교육무용과 무용교육의 개념이 현재에도 유효한지 점검해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술논문, 신문기사의 문헌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기반으로 한국 무용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하고 현재 무용교육 영역이 지향하는 목적과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무용생태계를 고려하여 교육의 영역을 확대하고 학습자와 사회 요구에 부응하여 다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Dance education in Korea focuses on professional dance, which emphasizes fostering the dance major to produce dance artists, dancing schools for genera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tudents, and the area of lifelong dance in which dance is enjoyed as leisure and lifelong education. Nevertheless, dance education has often been divided into major education and noncommunist education, with goals and lesson content being developed differently. In 2005, a paradig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merged, influencing schools and communities and ultimately leading to the disintegration of level- and content-based boundaries between professional artists’ and ordinary citizens’ dance activities. The educational needs for dance creati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as well as for functional and artistic levels, have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education area in the historical trend of Korean dance education merits exploration, along with th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recent concepts of da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d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academic papers and newspaper articles, our study summarized the historical trend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examine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current dance education field. Results indicated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expand the scope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ance ecosystem and seek ways to diversify this area in response to learners’ and social needs.

      • KCI등재

        영유아 무용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무용교육표준 분석 : SLTDA와 NCAS를 중심으로

        홍애령 ( Aeryung Hong ),이소미 ( Somi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2

        이 연구는 영유아 무용교육표준의 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형 영유아 무용교육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국립무용교육기구(NDEO)가 고시하고 있는 2005 무용교육표준(2005 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in the Arts, SLTDA)과 2014 국가핵심예술표준(2014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in Dance, NCAS)에 포함된 영유아 무용교육(Dance in Early Childhood, Pre K, Kindergarten)의 영역 및 내용을 분석하고 유아무용교육 전문가 5인과의 FGI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두개의 표준은 공통적으로 창작(Creating), 공연(Performing), 반응(Responding), 연계(Connecting)의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각 연령대에서 학생들의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여 발달적으로 적합한 무용교육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교육내용은 모든 무용 장르와 스타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시하고, 다양한 감각적 자극(음악, 소리, 시각, 촉각)에 움직임으로 반응하기, 기초 이동 움직임, 비이동 움직임 탐구와 하나 이상의 무용 요소로 변화시키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영유아 무용교육의 발달단계별 세분화, 다양화 및 연계성의 고려, 기존 교육표준에 대한 적합성 검토, 가이드라인 수요자 대상의 교보재 개발, 안전하고 다양한 수업 환경의 고려가 제안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영유아 시기의 발달단계별 특성을 상세히 목록화 하고 이를 근거로 무용교수학습과정에서 핵심적인 목표, 내용과 방법에 대해 구체화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또한 누리과정 등 국내 교육체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유아 발달단계에 따라 움직임과 놀이를 숙지하고 무용을 지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area, and contents of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standards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guideline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included in the 2005 Dance Education Standards and the 2014 National Core Arts Standards announced by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of the United States (NDEO) were analyzed and FGI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ts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standards consist of four common processes: creating, performing, responding, and connecting, which includ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dance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levels and abilities at each age group. Educational content is suggested to be applicable to all dance genres and styles, and includes responding to various sensory stimuli (music, sound, vision, and touch), exploring basic locomotor movements, non-locomotor movements, and transforming them into one or more dance elements. Second, as implications for guideline development, segmentation, diversification and linkage of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by stage, suitability review of existing educational standards,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uideline consumers, and consideration of safe and diverse classroom environments were proposed. Considering the above, it is requested to list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early childhood period and to specify key goals, contents and methods i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based on thi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uidelines were needed to be provided to guide infants while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movements and pla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early childhoo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such as Nuri Curriculum.

      • KCI등재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홍애령(Hong, Aeryung),조미혜(Cho, M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해 표현 영역에서 가르쳐야 할 역량의 내용과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으로 교과별 역량 함양이 중요한 교육목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수업 내용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방안은 다루어지지 않아 현장교사들이 교육과정 해석과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에서 체육교과 표현 영역 및 무용을 지도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와의 FGI 및 심층면담을 실시 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내용체계를 점검하고,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는 5가지 상위 요소와 각각의 3가지 하위요소, 총 15가지 요소로 구분되었다. 표현 영역의 5가지 역량은 수행역량, 창작역량, 감상역량, 인지역량, 인성역량이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의 대표적인 세 가지 활동(수행, 창작, 감상)과 그 과정에 관여되는 인지, 인성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수행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창작 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만드는 능력이다. 셋째, ‘감상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결과물을 관찰하고 공감하는 능력이다. 넷째, ‘인지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다섯째, ‘인성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과정에 요구되는 태도와 심성이다. 표현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표현 영역 역량 요소에 대한 구체화와 교육내용을 위한 제안을 통해 학교무용교육으로서 표현 영역 지도의 내실화와 체계화를 구축하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내용으로서 표현 영역의 의미를 되새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ystem of contents and elements to be educated in the expression area in school, bracing for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held meetings with field expe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ression activity and dance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s well as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n it suggested competency and element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the study largely divided the elements of competency in the expression area into five main factors and each three sub-factors so totally 15 sub-factors. Meanwhile, the five main factors included performance, creation, appreciation - three typical activities in dance education - cognition and personality involved therein. The study defined as follows. Firstly, performanc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n effective and active manner. Secondly, creation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roduc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 creative and artistic way. Thirdly, cognitiv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acquire and understand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knowledge related with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Fourthly, appreciation competency is the attitude and mentality required in th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This study suggested the structures and elements of capabilitie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of drawing opinions from the field experts. In doing so, the study believes it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substantial and systematic framework fo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area during school dance education and re-illumin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area as one of effective educational courses to cultivate creative and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홍애령(AeRyung Hong),안지연(JiYoun Ah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IOC 올림픽가치교육프로그램(OVEP) 표준매뉴얼 분석을 통해 올림픽가치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에 적합한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OVEP의 국내외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포츠가치교육으로서 OVEP의 실행 배경과 전개양상, 특징과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프랑스 외 12개국의 OVEP 교육현황과 이와 유사한 국내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해보았을 때, OVEP은 교육목적 및 내용의 특성상 체육, 도덕, 사회 등의 교과와 성격이 매우 유사하여 일부 교과 단원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 또한 교육내용적 측면에서 융합교육, 인성교육,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강조하는 현 상황에 적합한 내용요소가 될 것이다. 교육제도적 측면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방과 후 돌봄교실, 사회복지실을 활용하여 초 중등교육의 교과 내와 교과 외 활동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사례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OVEP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현실적 조처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Olympic value program by analyzing standard manuals of IOC Olympic Value Education Program(OVEP). The study also aimed to expl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es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OVEP in order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ce that take account of education circumstances in Korea. Significances of OVEP as sports value educ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background, development, distinct features, and important concepts. Current education examples of OVEP from 13 different countries were also examined including Korea,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and France. For Korea, we could find some possibilities for OVEP to be included in certain subject chapters because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OVEP were similar to those of moral, physical and social education. Contents of OVEP fit well with current status that emphasizes convergence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ystem, OVEP can be variously applied to both a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utilizing creative field work, free learning semester, after-school program or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zone. Practical measures and future studies for effective OVEP appli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