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은 시의 수사기교 연구(1)-拗體의 분석을 중심으로-

        홍순석 한국한문학회 200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4

        박은의 시를 평하여 "詩風이 正聲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勁健하고 放逐한 면이 있다"고 한다. 중국의 黃庭堅과 陳師道의 시풍을 함께 배워 성공한 시인으로 海東江西詩派의 맹주로까지 추대된다. 해동강서파의 시에는 奇僻한 典故, 虛字의 鍛鍊, 拗體의 빈번한 구사가 눈에 띈다. 강서시파 맹주로 추대된 박은 시의 수사기교를 이해하기 위해서 요체를 분석한 본고는 그의 문집인 『읍취헌유고』에 수록된 전 작품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박은의 근체시에서는 拗體가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다. 古調·拗調·拗對·拗 등과 같은 拗體는 물론, 吳體가 사용된 사례도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시인들이 기피하는 孤平이나 三平聲을 박은의 시에서는 적잖이 확인할 수 있다. 그의 詩風이 正聲이 아니라고 평한 제가의 평가를 실제로 확인한 셈이다. 이어서 다루게 될 박은 시에서의 奇僻한 典故, 虛字의 鍛鍊 등을 살핀다면 박은 한시의 특징은 물론, 해동강서시파의 시경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ark Eun's poems can not be said to be conforming to the formal pattern in terms of his poetic tendency but lively and liberal. He succeeded by learning the poetic tendency of Whang Chung-Kyun(黃庭堅) and Chin Sa-Do(陳師道) of China and wa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Haedong-Kangseo Poetic School(海東江西詩派). The poems of the school are remarkable in its queer technique of quoting the original text, the refined writing and the frequent command of Yo Style(拗體). This study analyzes the Yo Style(拗體) with a view to understand his rhetorical divices and is the result of studying the whole works found in his series of works, Eupchihunyoogo(挹翠軒遺稿). The Yo Style(拗體) is used in various fashions in his peoms. Not only the Yo Style like the Gocho(古調), Yocho(拗調), Yoodai(拗對) and Yoochum(拗黏) is used but also Oh Style(吳體) is can be found. The Gopyung(孤平) and sampyungsung(三平聲) which poets uusally avoid are found in many places. The criticism that his poetic patterns are not formal is actually confirmed. The above mentioned chacteristics of his poems will help understand the poetic trend of the Haidong-Kangseo Poetic School(海東江西詩派).

      • KCI등재

        포은과 영천, 그리고 일본 사행

        홍순석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This paper suggests awareness of hometown which is noticed in Poeun’s poetry literature and Japan travel records(使行) focusing on ‘Yeongcheon’, ‘Poeun’, ‘Myeoungwonloo(明遠樓)’, and’ Japan travel records(使行)’. Those four are essential to Poeun’s poetry literature. First, regionalism(地緣) of Poeun and Yeongcheon are addressed in this paper. Poeun is reaffirmed as an dominating figure through birth, growth, friendship, and awareness of hometown and so on. That ‘Ekyang(益陽)’ is used on Poeun’s nickname(綽號) indicates Poeun’s representative hometown is ‘Ekyang[Yeongcheon]’. Second, relation of Poeun and Myeoungwonloo(明遠樓) is noted. Through not only Poem was written to Leeyong(李容) but also poetry, <重九日題益陽守李容明遠樓>, it was confirmed that Myeoungwonloo(明遠樓) is built during Ekyangtaesoo(益陽太守)’s term and Naksseongyeon(落成宴), a banquet, was held on Joongyangjeol(重陽節), the ninth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In addition, Poeun and Leeyong are identified as old friends.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dating of the building of Myeoungwonloo(明遠樓) which originated in Joyanggak(朝陽閣). The fact that Leeyong is served was not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Yeongcheoneupjji(榮川邑誌) published in Choson Dynasty. Even, in yeonbogoi(年譜考異), Poeunjip(圃隱集)’s anthology, there was no mention from 1369(King Gongmin18) to 1370(King Gongming 19). Leeyong’s tenure as the public office(府使) of Ekyang(益陽)[Yeongcheon(永川)] was recorded from March 1368 to January 1370 in Youngyangji(永陽誌) published in 1934. On that basis, that the foundation of Myeoungwonloo(明遠樓) is in 1368(King Gongming 17) has been concluded in the poetry of Yeongcheon. However, in the verses of Leeyong’s <九日登明遠樓>, the the building of Myeoungwonloo(明遠樓) was completed in Joongyangjeol(重陽節) in 1369(King Gongmin18), second year as the his public office(府使). Next,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is noticed. in 『東槎日記』 and 『前後通信使座目』. “洪武 丁巳年(1377, King U3) Goryeo Shinsa Jeong Mong-ju” was recorded in the list of the envoys to Japan. In 『海槎日記』, it was mentioned that Poeun opened up friendly relations through Japan travel records(使行) in the Goryeo dynasty(高麗朝). With Japan travel records(使行錄)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cords and poetry on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on1377(King U3) are significant historical sources.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has been recognized as a classic(典範) of Japan travel records(使行) from Joseon Tongsinsa to Sinsayuramdan. That Poeun has been regarded as a classic of Japan travel records has been confirmed in many travel records of 『Haehaengchongche(海行摠載)』 이 논문은 포은의 시문학에서 주목되는 고향 인식과 일본사행을 ‘영천’․‘포은’․‘명원루’․‘일본사행’ 네 개의 문화코드를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포은의 시문학에서 어느 하나를 연구하더라도 이 네 개의 코드는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포은과 영천의 지연(地緣)을 주목하였다. 출생․성장․교우․고향인식 등을 통해 포은이 영천의 대표적 인물임을 재확인한 셈이다. 포은의 작호에 ‘익양(翊陽)’이 사용되었음은 포은의 대표적인 연고지를 ‘익양[영천]’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포은과 명원루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포은집』에 수록된 <중구일에 익양수 이용의 명원루에 제하다> 시편을 비롯하여 이용에게 지어준 시를 통하여 명원루가 이용이 익양태수 재임 기간 중에 건립하고 중양절인 9월 9일에 낙성연을 베풀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포은과 이용이 옛친구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양각의 기원인 명원루의 건립 연도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여러 영천읍지류 문헌에는 이용이 재임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포은집』 <연보고이>에도 공교롭게 1369년(공민왕18)~1370년(공민왕19)간의 기사가 없다. 1934년도 간행한 『영양지』에 이용이 익양[영천]의 부사로 재임한 기간을 1368년 3월부터 1370년 1월로 기록하고 있으며, 영천시에서는 이를 근거로 명원루 창건을 1368년(공민왕17)으로 단정하였다. 그러나, 이용의 <구일에 명원루에 오르다(九日登明遠樓)>의 시구에서 부임한지 2년 되는 중양절, 즉 1369년(공민왕18) 중양절에 준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포은의 일본사행에 대해 주목하였다. 『동사일기(東槎日記)』 「전후통신사좌목(前後通信使座目)」에서는 “홍무 정사년(1377, 우왕 3) 고려 신사 정몽주”라고 하여 역대 일본통신사의 명단에 기록하였다. 『해사일기(海槎日記)』에서 보듯이 고려조에 포은이 일본사행을 통해 우호관계를 열었다고 주목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일본사행록이 기록으로 전하고 있음을 전제하면, 『포은집』에 전하는 포은의 홍무 정사년 일본사행 관련 기록과 시편은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포은의 일본사행은 조선통신사는 물론 신사유람단에 이르기까지 일본사행의 전범(典範)으로 인식되었다. 포은이 일본사행의 표상으로 평가되었음은 『해행총재』의 여러 사행록에서 확인된다.

      • KCI등재

        개성의 포은선생 유적

        홍순석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본고는 개성의 포은 정몽주 사적에 대한 쟁점과 실태를 다룬 것이다. 2013년도 세계유산에 등재된 ‘개성역사유적지구’에 포은 정몽주와 직접 관련된 성균관·숭양서원·선죽교·표충비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조선 태종의 즉위와 함께 포은을 역신에서 충신으로 재평가한 시각은 세종대로 이어졌다. 포은은 길재와 함께 고려왕조에서 절의를 지킨 인물로 재평가 되고, 『고려사』 「열전」에 수록되었다. 『삼강행실도』 「충신」편에 도형과 찬(贊)을 수록하였다. 『포은집』 초간본이 간행된 시기도 세종 때이다. <용비어천가>에는 「포은선생사략」을 상세하게 부록하였다. 조선 시대에 기록된 포은의 사적은 전적으로 세종대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세종대 이전의 기록은 야사로 취급되거나 위작으로 간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은을 숭배화하기 위하여 조선후기의 문인들이 <단심가>와 선죽교를 위작하였다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자들의 단서가 바로 세종대의 기록들이다. 세종대의 포은에 대한 기록은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공고히 하려는 역사관에서 재구성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특히 태종~세종대에 편찬된 실록과 <용비어천가> 기사는 태종 이방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면서 맥락이 바뀐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세종대의 문헌기록만으로 포은의 사적에 대해 이론을 제기하는 것은 무리이다. 조선시대의 많은 문인들이 개성의 표충비·숭양서원·선죽교를 탐방하며 시문을 지어 포은의 충절을 기렸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우국충정을 담아내는 매체로 선죽교를 부각하였다. 개성의 포은 유적으로 성균관, 선죽교, 표충비, 숭양서원이 있다. 성균관은 포은 학문의 산실이다. 포은 성균관에 입사한 이후 성균관 박사에서 대사성까지 오른 인물이다. 포은의 주요 활동은 거의 모두 성균관에서 이루어졌다. 선죽교는 개성시 선죽동 자남산 동쪽에 있다. 포은이 순절한 곳으로 포은과 개성의 상징으로 인식된다. 선죽교 주변에는 여러 기의 석비가 있다. 표충비각은 영조와 고종의 어제어필 선죽교시비를 보관하고 있는 곳이다. 최근 영조 당시에 작성된 원본에 준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는 자료가 발견되어 주목되었다. 숭양서원은 포은의 옛 집터에 건립된 서원이다. 개성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개성의 포은 유적은 현재에도 우리나라 유학(儒學)의 요람, 충절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ssues and the realities of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s historic sites. The fact that the 2013 World Heritage-listed ‘The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includes Seonggyungwan(成均館), SungYang Seowon(崧陽書院), Seonjuggyo(善竹橋), and Pyochungbi(表忠碑) It has a special meaning. The re-evaluation of Poeun as loyalist in Inversion with Taejojong’s succession led to Sejong period. Poeun is being re-evaluated in the Goryeo dynasty with Gil Jae(吉再) to figures kept a fidelity clause. It was included in Koryosa(高麗史)’s Yeoljeon(列傳). and In the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figures and Hymn were recorded. The first edition of Po-eunjib(圃隱集)'s first edition was also published in Sejong period. In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Poeunseonsaengsalyag(圃隱先生史略) was added in detail. Poeun’s historical history recorded in the Joseon Dynasty is based entirely on the records of Sejong period. Records before the Sejong period were treated as unofficial history or considered false. The clue that some researchers falsified Dansimga(丹心歌)> and Seonjuggyo to deify Poeun is the record of Sejong period. The record of Poeun in the Sejong period was re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view to consolidate the legitimacy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Annals of the Taejong~Sejong period and the article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show that the context has changed while reconstructing around Taejong.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argue against Poeun’s historic sites only with the records of King Sejong period. Many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praised Poeun’s integrity while traveling to Kaesong, Seongyangseowon and Seonjuggyo. In particular, he was interested in the bloodstains of Seonjuggyo and Eubbi(泣碑). In the 19C, Seonjuggyo was highlighted as a medium containing the alliance. Poeun has been teaching and researching academics since joining Sungkyunkwan, and has become an ambassador of government. Most of Poeun’s main activities were in Sungkyunkwan. Seonjuggyo is the place where Poeun was killed and is recognized as a symbol of Poeun and Kaesong. There are several monuments around Seonjukyo. Pyochungbigak is the place where King Yeongjo’s and King Gojong’s application of Seonjukyo is kept.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data were regarded as valuable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written at the time of creation. Sungyang Seowon is an auditorium built in the old house of Poeun. It is the oldest structure in Kaesong. Poeun’s remains in Kaesong are still noted as the cradle of Korean Confucianism. and recognized as a symbol of integri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위대한 21세기'의 부흥을 고대하며

        홍순석 두란노 2005 목회와 신학 Vol.- No.193

        해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올해로 제5회를 맞아 평양부흥 운동과 관련해 “20세기 개신교 신앙 부흥과 평양대각성운동”이라는 주제로 지난 5월 25, 26일 이틀 동안 진행되었다. 평양부흥운동 100주년을 맞는 2007년을 준비하는 장신대 국제학술대회는 당시 부흥 운동이 국내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이어 일어나 점을 주목해 부흥 운동 전반에 걸쳐 신학적 되새김질을 해 보는 자리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