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수준의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학교 효율성 척도 연구

        홍사훈 ( Saahoon Hong ),류지훈 ( Ji Hoon Ryoo ),곽노훈 ( Nohoon Kwak ),이동엽 ( Dong Yub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단위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학교단위의 변인들을 바탕으로 네 가지의 학교단위 부가가치모델(value-added model)을 구현함으로써 학교 효율성 척도를 산출하였다. 특히 전체학생들과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대한 학교의 효율성(effectiveness)을 구분함으로써 모집단이 달라짐에 따른 학교 효율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제시된 네 가지 부가가치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같은 과목 내에서의 모델 간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대부분 0.8 이상으로 높았지만, 각 모델 내에서 영어와 수학에 대한 학교 효율성 척도 상관관계는 0.39부터 0.44로 낮았다. 이는 부가가치모델이 학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과목 간의 낮은 상관관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부가가치모델을 통한 효율성 척도는 각 과목별로 해석되고 활용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As student learning gains depend on the quality of school, effective school must be a primary measure of its qua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chool is at best inconsistent, which is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s. This study examines four value-added models (VAMs) to measure school accountability by using panel data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VAM estimates yields the academic growth rates of groups of all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low performing students, respectively, from year to year. The results indicate that VAM estimates from four different VA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particular, correlations between Math and Reading in each VAM vary between 0.39 and 0.44, while correlations among VAM estimates within each subject are above 0.8. The findings suggest that critical school variables could be taken differently to compare the school effectiveness in Math and Reading, respectively. VAM estimates also need to be interpreted by subjects, Math and Reading, separately. Recommendations for policy associated with VAM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운영 만족 예측모형 분석에 근거한 통합교육 개선 방안

        홍사훈(Hong, Saahoon),류지훈(Ryoo, Ji Hoon),박소영(Park, So-Young),유장순(Yoo, J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잠재변인과 외 생변인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도 전체 초․중․고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각 1 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일반교사 445명(39.4%)과 특수교사 683명(60.5%)의 총 1,1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하나의 교사 집단으로 고려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 보다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교직경력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간접효과만을 보였다. 그 밖의 통합교육 담임교사 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와 같은 외생변인은 통합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일반교사가 초등학교의 특수교사보다 통합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경우에 학교공동체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수용태도가 긍정적일 때, 통합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를 때까지 통합교육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원인과 일반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를 보이는 특수교사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1,128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examine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school type,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 with special needs than middle and/or high school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less positive on the attitude toward inclusio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general/speci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had an indirect effect of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via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t also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hallenges and tasks to improve inclusive education that meets special education student needs and teachers with/with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licenses.

      • KCI등재

        의사결정 나무 모형 분석기법을 활용한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 학생의 생태학적 요인 탐색

        홍사훈(Hong, Saahoon),김은지(Kim, Eunji),성정훈(Sung, Junghoon),권오용(Kweon, Oyo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경기종단연구 5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살 생각을 가진 중학교 2학년 위기 학생의 생태학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머신러닝 기반의 의사결정 나무 모형은 자살 생각과 생태학적 요인 간의 교차성을 확인해 주었다. 자살 생각과 관련된 설문 문항에 “매우 그렇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학생들은 정신건강, 애착 소외, 학업 스트레스, 성별, 가구소득, 그리고 비행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위기 학생에 대한 심리적․정서적 필요, 가정환경, 그리고 학교환경과 같은 생태학적 관점의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해 주고 있다. 이와 함께, 의사결정 나무 모형과 같은 데이터 기반 접근이 학교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과 학교 안전 통합시스템에 대한 시사점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cological factors of at-risk students with suicidal thoughts among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5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decision-tree model, one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onfirmed the intersectionality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the ecological factors of students at risk. For students who answered “strongly agree” and “not at all” to the question of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attachment alienation, academic stress, gender, household income, and delinquency factors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 decision-tree model and its results,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eds,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school environment of students in crisi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ata-based approach, such as the decision tree model for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 and the school safety integrated system (Wee project), were discussed.

      • KCI등재

        취약계층학생의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 연구: 잠재프로파일 전이분석

        홍사훈(Hong, Saahoon),김수정(Kim, Su Jung),박소영(Park, So-Young),Rhee, Greg(Rhee, Gre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경기교육종단연구 5년간(2012-2016)의 데이터 중 1~3차년도 초등학생 데이터(2012-2014)를 사용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취약계층 수학과 학습부진학생들의 학습 부진 유형이 3년에 걸쳐서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학습 부진 유형이 수학성취도 향상과 방과후학교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잠재프로 파일전이분석과 공변량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이 1차년도의 경우, 세 가지 유형(고위험군, 중위험군, 학교생활 적응 잠재력이 높은 우수군)에서, 2차년도의 경우, 두 가지 유형(중위험군과 학교생활 적응 잠재력 우수군), 3차년도의 경우, 여섯 가지 유형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동시에 이러한 가변성 이 방과후학교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포함한 보다 확대된 추가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한 교육중재시스템 구축과 지원을 위한 교육 정책적 함의, 학교수준의 교육중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Childhood pover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learning outcomes in multi-aspect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This study longitudinally presents the latent class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 over psychological, school-level, and family-level characteristics. We used data from 2012-2014 K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KEPS), and limited to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the latent profile transition analysis, we investigated whether after-school programs affect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ese children across three different academic calendar periods. We found that after-school programs had critical roles on the latent classes in these children with varying degrees by academic calendar period. The study highlights that after-school programs remain an important intervention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argeted at these vulnerable children.

      • KCI등재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박소영(Park, So-Young),홍사훈(Hong, Saahoon),유장순(Yoo, Jang-Soon),류지훈(Ryoo, Ji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학교형태, 교직경력, 통합교육 연수, 협력교수, 학교공동체 수용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도의 초․중․고등학교 일반교사 445명의 설문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교형태로 측정된 초중고의 구분은 통합교육운영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 다.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도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중․고등학교의 일반교사 보다긍정적이었으며, 이는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경력은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 았으나, 학교공동체의 수용태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통합교육 연수는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연수를 경험한 교사와 통합교육 만족도 간에서 유의미한 총합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 대한 학교공동체의 수용 태도 와 통합교육 연수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교수 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teaching,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445 general education teachers’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by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fi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o the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more likely satisfied with inclusion.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also more positiv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Although co-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no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inclus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clusion had the total effect o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bout inclusion and school professional group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Developing effective co-teaching models is also in need to promote inclusion.

      • KCI등재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박소영(Park, Soyoung),백종남(Baek, Jongnam),홍사훈(Hong, Saahoon),이정윤(Lee, Jungyoon),백상수(Baek, Sangsu)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자녀의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기관 경험을 가지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유아기 의무교육에 관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 의무교육 권리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757명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 경험에서 교육기관 중 국·공립 유치원 이용경험이 높았고, 그 이유는 통합교육을 경험하기 위해서였다. 보육기관 중 민간어린이집 이용경험이 높았고, 이유는 집 근처 통합유치원이 없어서였다. 둘째, 장애유아 의무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의무교육 실행요건으로 교사 자격은 유아특수교사(교육부 자격), 기관장 자격은 국․공․사립 유치원 원장(교육부자격), 배치 기관은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높았다. 의무교육 실행개선을 위해 특수학급 설치유치원에 특수교사 배치, 특수교육을 전공한 방과 후 전담인력 배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치료지원 인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의무교육 지원과 관련된 법률의 개정 및 정책 수립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ght of the compulsor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y identifying parents’ demands for supports. Seven hundreds and fifty seven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recruited from 17 provinces in Korea. The survey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the frequency data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arents perception on the care settings and the education settings, the parents preferred to be enrolled their child into public educational settings rather than care setting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to their child. Second, parents were aware of operation requisite for compulsory education that teachers should have teaching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the chief of the organization should have education director cer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at their children should be enrolled in public preschool. To improve compulsory educational practices, special teachers should be placed at preschool where special class were setup, after school care-givers who majored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laced, and therapy support service providers should be hired at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related to the compulsory education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박소영(So-young Park),백종남(Jongnam Baek),홍사훈(Saahoon Hong),이정윤(Jung Yoon Lee),백상수(Sang soo Baek)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연구목적: 의무대상자인 유, 초, 중등 학교 자녀들을 양육한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의 영 ·유아기 보육과 교육기관 경험과 특수교육대상유아 의무교육에 관한 현황 및 지원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대상유아의 의무교육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7개 시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757명의 설문조사를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퍼센트를 산출하였으며 다만,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에서 여러 개 항목 중 1순위~3순위로 응답하는 경우, 가중치를 주어 환산점수를 구하여 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 경험에서 교육기관 중 국·공립 유치원 이용경험이 높았고, 그 이유는 통합유치원이 없어서였다. 둘째, 장애유아 의무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의무교육 실행요건으로 교사 자격은 유아특수교사(교육부 자격), 기관장 자격은 국.공.사립 유치원 원장(교육부 자격), 배치 기관은 국공립유치원이 가장 높았다. 의무교육 실행개선을 위해 특수학급 설치 유치원에 특수교사 배치, 특수교육을 전공한 방과 후 전담인력 배치,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한 다양한 치료지원 인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의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 경험을 균형 있게 제공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호자 입장에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지원 요구 분석함으로써 관련법과 정책의 기초 자료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The Effect of Performance Pay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Group Achievement

        Hong, Saa Hoon,Ryoo, Ji Ho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1

        Linear Mixed Model(LMM)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ormance pay for teachers in overall educational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reading assessm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effect of performance pay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learning, thus, this study provides the provisional result that performance pay should reorganize its current feature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 1997)과 아동낙오방지법(NCLB, 2001)은 표준화된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들도 예외일 수 없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매년 측정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포함한 다양한 학생 그룹 간의 학력격차를 완화시키고자 함이다.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Q Comp)는 교수 방법의 효율성 증진을 통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Q Comp은 교사 재교육과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통한 교수 관찰의 정례화, 그리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성과급 지급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목적은 Q Comp과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학업 성취도는 미네소타 표준화 학력검사(MCA II)를 통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수집되었다. 미네소타 주에서 MCA II는 3학년부터 8학년까지의 모든 학생들이 치러야 하는 시험이며, 10학년 읽기 시험과 11학년 수학 시험은 미네소타의 고등학교 졸업장을 얻기 위해서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시험이다.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 LMM)을 통해 Q Comp과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Q Comp은 초등학교 3, 4, 5학년의 읽기와 수학 성취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교원성과급제를 통한 학교 개혁의 노력들이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력신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 대한 교원성과급제의 역할과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